총장직선제 싸고 재단·교수협 갈등/학생까지 가세… 학사업무 차질
◎계명대 유례없는 「2총장」 사태/연세대,재단 「추천위원」 1명 사퇴파문
총장 직선제를 둘러싼 대학가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상당수 대학에서 폐지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존속을 주장하는 교수들의 반발도 강경해지는 추세다.
재단측은 공약 남발에다 줄서기,편가르기,중상·모략 등 총장직선제의 폐해가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교수들간에 학연과 지연이 얽히는 등 대학가가 정치판을 방불케 할 정도로 혼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실제로 올해 안에 총장의 임기가 끝나는 16개 대학에서는 이같은 폐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대학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들까지 가세,점거·농성 등 실력행사에 나서 학사행정이 마비 상태다.몇몇 교수들은 영향력 확대를 겨냥,일부 과격학생들의 지지를 유도하는 실정이다.
총장 선출을 둘러싸고 교수협의회측과 대립해 온 연세대는 재단이사회가 구성한 「총장후보추천위원회」(추천위)에 학생대표가 참여하지 않은 데 이어 이미 선출된 위원 한 명도 사퇴,간선제 총장선출에 난항을 겪고 있다.
재단측은 13일 『최근 추천위의 사회유지 대표로 선임된 김찬국 상지대 총장이 위원직을 맡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와 곧 후임자를 선임키로 했다』고 밝혔다.
재단측은 김총장의 후임자가 결정되는 대로 학생대표 2명을 제외한 18명만으로 추천위를 구성,늦어도 다음달 초까지 후보를 선정한 뒤 중순쯤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차기 총장을 선출할 계획이다.연세대는 당초 지난달 14일까지 추천위를 구성키로 했었다.
이에 따라 다음달 말에 임기가 끝나는 송재총장과 신임 총장의 인수·인계 작업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수평의회측은 직선제 총장선거 일정에 따라 14일로 예정된 투표를 각 캠퍼스별로 강행하기로 했다.경제학과 박진근 교수와 화공학과 김우식 교수 등 2명이 후보로 나섰다.
국민대 교수협의회(회장 전재근)도 지난 12일 총장후보 추천과정에서 교수협의회의 개입을 배제키로 한 재단측의 방침에 반발,차기 총장 후보 추천 공고를 내고 교수들을 대상으로 총장 후보 모집에 나섰다.
국민대 재단측은 다음달 말 임기가 끝나는 현승일 총장의 후임은 전임강사 이상의 교수 30∼40명의 추천을 받아 재단에 후보로 등록한 교수 가운데서 임명키로 했었다.
같은 문제로 교수협의회와 재단·학교측이 대립하고 있는 대구 계명대에서는 학생들이 지난 12일 하오부터 본관을 점거,농성중이다.
이 대학 교수협의회(의장 강대인 교수)는 13일 하오 1시 총장 직선투표를 강행,2백27명의 투표자 가운데 2백1명의 찬성표를 얻어 단독출마한 이형득 교수(63·교육학과)를 직선총장으로 선출했다.
이 대학 학내분규는 재단이사회가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고 신일희 현총장을 차기총장에 일방적으로 선임한 데서 빚어졌으나 교수협의회가 이날 직선 총장을 선출함으로써 「1대학 2총장」사태를 맞게 됐다.〈황경근·박용현·김태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