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제주 기차타고 가볼까
‘서울에서 기차 타고 제주에 갈 수 있을까.’
제주와 호남을 잇는 해저고속철도의 구체적인 건설 구상안이 제시돼 실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이재훈 박사는 15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 연구포럼(대표의원 이용섭·배영식)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호남고속철도의 종착지인 목포에서 해남(66㎞)까지는 지상, 해남에서 보길도(28㎞)까지는 해상교량, 보길도~추자도~제주(73㎞)는 해저터널로 연결한다는 구상안을 내놓았다.
사업비는 목포~해남 지상구간 2조 8000억원, 해남~보길도 해상 교량구간 3조원, 보길도~추자도~제주도 해저터널구간 8조 8000억원이 소요되며, 사업기간은 타당성·기본계획 수립 1년, 기본설계 1년, 실시설계 1년, 시설공사 8년 등 총 11년으로 예측했다.
제주~호남 해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목포~제주가 40분, 대구~제주 2시간30분, 오송~제주 1시간40분, 서울~제주 2시간26분이 소요돼 육지와 제주도가 1일 생활권으로 편입된다.
이에 따라 구상안대로 2026년 해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현재 항공기와 선박 등을 이용해 육지와 왕래하는 연간 580만여명의 세 배에 이르는 1500만명이 고속철도를 탈 것으로 내다봤다. 10년 뒤에는 2056만명이 혜택을 누릴 것으로 예측했다.
또 해저고속철도 완공으로 호남과 제주지역의 유사산업이 연계해 발전할 수 있고, 바다를 끼고 있는 제주와 호남의 해양문화 발전을 꾀하게 돼 경부축과 호남축의 균형 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적 측면에서도 제주도와 호남지역 여행상품 다양화와 해저터널 건설 경험과 노하우 축적 등으로 생산유발효과는 44조원, 고용유발효과는 34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용섭 의원은 “제주~호남 해저터널이 건설되면 국내외 관광객 증가는 물론 해저터널 설계 및 시공기술 등 선진 기술기법과 경험을 확보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질 해저터널 사업에 우리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며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추가적인 연구와 입법활동을 벌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