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풍’ 산부인과…출산율 하락 전·폐업 속출
산부인과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갈수록 출산율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비만 클리닉에 눈을 돌리는가 하면 아로마 요법이나 황토방 설치 등 서비스 경쟁도 불붙고 있다.
의료전문 컨설팅업체인 플러스 클리닉에 따르면 2002년 6월부터 2004년 9월까지 2년 남짓한 기간에 서울지역의 산부인과는 558개에서 520개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의 병원 수는 1만 1660개에서 1만 2861개로 늘었다.
우리나라 가임(可姙)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은 1970년 4.53명,1980년 2.83명,1990년 1.59명,2003년 1.19명으로 급감하고 있다. 동네 의원이든 대형 병원이든 산부인과를 찾는 환자가 줄어들면서 생존전략을 마련하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소 산부인과는 경쟁적으로 여성 클리닉이나 비만 클리닉으로 간판을 바꿔달고 있고, 대형 병원은 황토방이나 조리원 등 갖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 은평구 응암동에서 ‘NB 비만 클리닉’을 운영하는 산부인과 전문의 양동윤(43)씨는 대형 병원에서 일하다 1999년 경기 안산에서 개업했지만,3년 만에 ‘백기’를 들었다. 그는 25일 “환자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입도 따라 줄었다.”면서 “유일한 ‘희망’은 경쟁 산부인과가 줄지어 문을 닫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었다.”고 씁쓸해했다.
양씨는 미국 병원을 견학하고 서적을 뒤적이다 지방흡입수술을 최초로 시도한 사람이 산부인과 의사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는 주저없이 비만클리닉으로 업종을 바꿨다.
●비만 클리닉·대체의학 등 병행 살길 찾아
강동구 천호동에서 18년째 산부인과를 운영하는 박노준(53)씨도 최근 간판에 ‘비만 클리닉’이라는 문구를 추가로 넣었다. 박씨는 “1987년 개업 당시에는 6개의 입원 침대가 쉴 틈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병원을 찾는 산모가 한달 2∼3명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갈수록 뜸해진다.”고 전했다.
중구 명동에서 조인 산부인과를 운영하는 민유선(38)씨는 아로마 요법과 대체의학 클리닉을 함께 운영하는 케이스. 민씨는 “시장이 줄어든 상황에서 단순한 산부인과 진료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한방 등을 공부해 대체의학적 치료를 연구하고 있다.”면서 “다른 산부인과 의사의 진출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 창립한 대한여성비만노화방지학회 홍영재(62) 회장은 “학회 회원 1600여명 가운데 산부인과 출신이 절반을 넘고, 가정의학과, 내과, 소아과, 외과 의사 등이 뒤를 잇고 있다.”면서 “산부인과의 사정이 좋지 않아 노화방지, 성문제, 피부미용, 비만 클리닉 등 여성 대상 진료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형병원도 황토방 산후조리원 서비스
대형 병원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눈높이 서비스’를 통해 경쟁적으로 고객 관리에 나서고 있다. 강남의 C병원은 지난해 5월부터 주말 오후에도 2∼3명의 의사가 돌아가며 진료한다. 병원측은 “부인과 함께 병원을 찾고 싶은 남편이 평일 휴가를 내면 눈총을 받기 때문에 주말 진료를 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다.”면서 “아이가 귀해지면서 종합 서비스를 원하는 가족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병원은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해 황토방과 산후조리원까지 운영하고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