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선 꿈 못꿀일 여기서 해냈어요”
|딜리(동티모르) 홍희경특파원|“Welcome to our family.(당신은 우리 가족, 환영합니다)” 지난 달 28일 동티모르의 수도 딜리 시내의 돈보스코 성당에 환영 플래카드를 들고 나온 30여명의 아이들을 본 지원단원의 얼굴에 일순 곤혹스러운 표정이 스친다. 플래카드라 해봤자 코카콜라 종이 상자를 찢은 뒷면에 어설프게 만든 것이다. 그들이 불러주는 환영 노래가 17박18일의 긴 여정이 시작됐음을 일깨운다. 그러나 이 나라에서 ‘우리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인천공항을 출발해 이곳에 오기까지의 긴 비행 중 단원들의 머릿속을 떠나지 않던 물음이 맴돌기만 했다.
●“도와줄 수 없어서 화나.”
국제청소년지원단과 한국천주교 살레시오 소속 청소년 30여명은 딜리에 여장을 풀고 닷새를 보냈다. 본격적인 지원활동을 할 오큐시 이동을 앞두고 봉사에 필요한 장비를 사고, 독립전쟁 전적지도 방문하면서 1999년 인도네시아에서 독립해 국가 재건의 삽질이 한창인 인구 80만명의 동티모르와 친숙해져 갔다.
지난 1일 그들은 배에 올라 공해를 거쳐 12시간을 항해해 오큐시에 닿았다. 섭씨 40도를 오르락거리는 이곳은 수도는커녕, 전기조차 없고, 이불마저 모자랐다. 샤워도 못한 채 준비해온 손전등과 침낭에 의지해 밤을 보냈지만 정작 봉사단을 괴롭힌 것은 한국과 비교할 수 없는 환경보다는 이들에게 제대로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이었다. 송정민(19·대학생)양은 “참가를 결정할 때는 봉사를 핑계로 또래들과 여행을 해보고 싶다는 불순한 의도도 있었던 게 사실”이라면서 “와보니 어디서부터 도움을 줘야 할지조차 모르겠고, 그런 것을 치밀하게 생각하지 못한 자신에게 화가 났다.”고 말했다.
●동티모르 아이들 응원 속 페인트칠과 우물 파기
그러나 한가한 이런 생각도 잠시. 곧 새 교회당 건물을 페인트로 칠하는 팀, 양수기를 설치하는 팀 등으로 나뉘어져 활동에 들어갔다.
혹독한 더위 속에서 하루 종일 페인트칠을 하고는 샤워도 못한 채 쓰러져 잠든 지 1주일 만에 교회당 건물은 하얗게 변했다.
김진(17)양은 “흰색과 파란색을 유난히 좋아한다는 동티모르 사람들에게 깨끗한 건물을 선사했다.”면서 “한국이었다면 못했을 일을 날마다 몰려와 구경하는 동티모르 아이들 덕분에 힘을 얻어 해치울 수 있었다.”고 자랑스러워했다. 또 설치된 양수기에서 콸콸 물이 쏟아져 나올 때 박수를 치기까지 했다.
지원단장인 이명천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장은 “봉사활동 자체에도 의미가 있지만,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남을 배려하고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도 큰 수확”이라고 말했다. 지원단 대부분이 부모의 권유로 참여했기 때문에 봉사 목적을 혼자서 깨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아이들의 큰 웃음 배웠습니다”
이 단장의 말대로 지원단원들은 봉사활동을 하고 동티모르 사람들과 부대끼는 날이 거듭될수록 생각도 자라고 있는 듯했다.
의사가 돼서 의료봉사를 하고 싶다는 정한나(16)양은 “이곳 아이들을 보니 내가 도울 사람이 누군지 알겠다.”면서 “막연했던 꿈이 확실해지는 기분”이라고 털어놨다.
지원단의 활동과 동티모르 사람들의 생활을 촬영해 방송국에 보낼 생각이라는 이충범(21)씨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밝게 웃는 이들의 모습이 신기한지 페인트칠을 하다가도 사람들이 웃을 때마다 비디오카메라를 들이댔다.“돈도 없고 일자리도 없고 단지 있는 건 희망뿐인 이곳에서 어떻게 다들 저런 큰 웃음을 지을 수 있죠.”라며 되묻는 충범씨의 미소는 이미 그들을 닮아 있었다.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