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조작’ 前·後 씁쓸한 이구동성
30일 황우석 교수팀의 권대기 줄기세포팀장을 검찰이 소환, 조사함에 따라 줄기세포 조작의 진실에 수사가 접근하고 있다. 검찰은 수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황 교수를 소환할 방침이다. 하지만 수사팀 구성 이후 2주일 동안 진행된 수사에서 연구원들은 ‘모르쇠’로 일관해 수사에 제동을 걸고 있다. 황 교수 등 책임자급 공저자들이 “몰랐다.”“속았다.”는 주장을 하는 것과 닮은꼴이다. 연구에 직접 참여한 연구자와 논문 저자들이 연구 내용을 몰랐다고 주장하는 ‘우스운’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논문 총책임자인 황 교수는 서울대 징계위원회에 낸 경위서를 통해 “줄기세포가 바꿔치기 됐으며, 나는 속았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의 오른팔 격인 이병천 교수는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지만, 동물복제 이외 연구는 잘 모른다.”고, 왼팔 격인 강성근 교수는 “논문작성만 했을 뿐 연구와 논문 제출 경위는 황 교수가 알고 있다.”고 항변했다. 황 교수팀 대변인이던 안규리 교수와 2004년 논문 교신저자인 문신용 교수는 “정확한 경위를 모르겠다.”고 한 발 뺐었다.
검찰 조사에서 연구원들도 이들과 같은 태도를 보였다. 황 교수팀 연구원 일부는 “3년간 (줄기세포 배양기술이) 있는 줄 알고 연구했다.”며 조사를 받다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나머지 연구원도 자신들의 책임 분야 외에는 연구실 상황을 모르며, 줄기세포 조작이 서로 다른 소속 연구원들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뒷받침할 정황을 설명하기에 바빴다.
지금까지 소환자들은 핵치환, 테라토마 실험, 세포배양 등 부분적인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들이다. 검찰은 연구자들이 서로의 보유기술에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고 보고, 전반적인 연구상황에 대해서도 진술을 얻어내고 있다.
이번 주 소환 대상자들은 연구과정에서 소팀장격이거나 실험 공정별 부분 보고라인에 있는 연구원들이다. 논문조작의 핵심인 사진조작 등에 관여한 연구원과 줄기세포 수립,DNA 분석 등에 관여한 연구자들도 소환된다. 황 교수 등 핵심 저자들의 주장이 공개된 상황에서, 검찰은 이번 주가 수사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