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록 게이트] ‘오너소유 비상장사’로 감시 회피
2003년 대검 중수부에서 대선자금 수사가 한창일 때, 이를 비웃듯 현대차 계열사인 글로비스는 비자금을 조성하고 있었다. 이렇게 대담할 수 있었던 이유가 이번 수사에서 확인됐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2001년 100% 출자해 설립한 글로비스(설립 당시는 한국로지텍)는 현대·기아차그룹의 비자금 조성 창구였던 것으로 검찰 조사결과 밝혀졌다. 글로비스는 ▲단순한 출자구조 ▲계열사를 통한 현금확보가 용이하다는 점 ▲비상장 기업이라는 점에서 비자금 조성에 적임이었다는 분석이다.
출자 구조가 단순해 이사회 등의 견제를 받지 않았고 비상장 종목이라 자금 운용과 회계처리에 유연한 전략을 펼 수 있었다. 게다가 계열사 현금이 순환하는 길목에 있는 물류 회사는 비자금 조성 창구로는 안성맞춤이었다. 대선자금 수사 당시 비자금은 주로 해운이나 카드사, 유통 계열사 등을 통해 조성된 것으로 드러났었다.
이번 수사는 주력 계열사 일감을 수주할 업체를 사주가 설립, 이를 통해 경영권 승계를 위한 안정된 수익을 확보하고, 사주의 자금 창고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싹부터 자른 것으로 평가된다. 대선자금 수사가 정치권 비리수사를 목표로 관련 비자금을 캤다면,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기업의 비자금에 수사력을 집중할 만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이번 수사에서 밝혀질 비자금 총액과 관계없이 재계가 입는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비상장 회사들이 갖고 있던 경영권 승계와 계열사 부당 확장 등에 대한 의혹이 비자금 조성과 맞물리게 되기 때문이다.
정 사장은 4년 동안 글로비스 주식 배당금과 매각 대금으로 1447억여원의 이득을 거뒀다. 회사의 사업 기회를 사주가 가로챘다는 비난이 있었지만, 관련자들을 사법처리할 만한 법 조항을 찾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글로비스가 최소 70억원 이상의 비자금을 조성한 회사라는 이미지가 더해지면서 현대차 그룹 전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씻을 수 없게 됐고, 사주 일가에 대해 비자금 등 개인비리 혐의를 적용한 사법처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