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미만 징역형 무혐의 처분땐 수사기록 즉시 삭제
앞으로 검찰에서 불기소 처분을 받거나 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더라도 법정형에 따라 수사경력자료 보존기간이 최고 10년까지 다양해진다. 수사경력자료란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지문을 채취하고 인적사항과 죄명 등을 기재한 표를 전산입력해 경찰청이 관리하는 자료로 여태까지는 죄의 경중에 관계없이 무조건 5년 동안 보존해 왔다. 법무부는 이런 내용의 ‘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다음달 말부터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개정 법률에 따라 법정형 2년 미만의 징역이나 금고, 자격정지, 벌금, 구류에 해당하는 죄는 무혐의 처분을 받거나 무죄 선고를 받는 즉시 범죄 기록이 삭제된다. 법정형 2년 이상의 징역·금고에 해당하는 죄는 5년간, 법정형이 사형·무기징역·10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는 10년간 자료가 보존된다. ‘국가의 안전보장이나 공공의 안녕 등을 위할 때’라는 식으로 모호하게 표시된 수사경력 조회 요건도 구체적으로 적시됐다. 즉 앞으로는 국가정보원에서 신원조사를 하거나 외국인 체류 허가, 사관생도의 입학 및 장교 임용, 병역의무 부과와 관련돼 필요한 경우에만 관련 기록을 조회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개정 법률은 법무부장관이 전과기록 또는 수사 경력자료 보관·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장에게 조회기록 등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