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관 도덕성 문제” 여론에 법원 긴장
사표를 낸지 며칠 되지 않은 전직 고법 부장판사 조모 씨의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하루 앞둔 7일, 법원은 “원칙대로 하겠다.”고 밝혔지만 긴장을 감추지는 못했다. 조씨를 구속할 수 있는 칼은 법원의 손으로 넘겨졌지만, 실제로 법원이 운신할 수 있는 폭은 좁아 보인다.●혐의 부인하며 방어막 친 고법 부장판사 조씨는 혐의를 일관되게 부인한다. 뿐만 아니라 금품제공을 받은 일이 없다며 참고인들에게 확인서를 받아 놓기도 했다. 검찰 조사를 받고 참고인들이 “검찰이 조 부장에게 금품이 갔는지 물었지만 부인했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닐 정도였다. 사건이 보도되고 김씨의 진술이 흔들리자, 조씨는 자신이 김씨에게 금품을 받지 않았다는 내용의 진술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법원에 김씨 증언에 대한 증거보전 신청을 내기도 했다. 이런 조씨의 태도는 8일 오후 2시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실질심사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은 김씨와 조씨에 대한 계좌추적 결과와 정황증거, 참고인들의 증언을 증거로 제출할 계획이지만, 조씨측은 방어권 보장을 이유로 불구속수사를 강하게 주장할 태세다.●법리논쟁보다 법관 도덕성 문제에 관심있는 여론 검찰 역시 구속영장 발부에 대비해 준비를 완벽하게 했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조씨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지만, 조씨는 “전별금 등의 명목으로 김씨에게 금품을 받은 적은 있지만, 대가성 있는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조씨의 알선수재 혐의에 대한 참고인 진술이 서로 엇갈리는 것 역시 조씨의 혐의에 대한 신빙성을 떨어뜨린다. 구속영장이 발부돼도 법원의 고민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조씨가 구속되면 다음 관심은 자연스레 조씨가 실제로 다른 재판부 사건에 개입했는지 여부로 쏠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김씨가 청탁한 사건의 대부분이 김씨의 뜻대로 처리된 것으로 확인됐다는 점이 관련 의혹을 증폭시킨다. 영장기각을 둘러싼 여론도 법원에 우호적이지 않다. 여론은 대가성 입증 등의 법리싸움보다는 법관의 도덕성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검사와 경찰서장은 혐의 인정 피의자 신분이던 김씨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리고 1000여만원을 받은 김모 전 검사와 김씨에게 사건을 청탁받고 3000여만원을 받은 민모 전 경찰서장은 수사 초기부터 혐의를 시인했다. 이들이 혐의를 시인하고 있어도 수사기관에 속한 공무원이 업무와 관련해 금품을 받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씨에게 사건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은 검찰 직원과 경찰관도 모두 구속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