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상품 뜯어보기] 영단어 암기학습기로 대박낸 임형택 원샷보카 대표
지난해 178억원, 올해 400억원 예상. 이른바 ‘깜빡이’로 불리는 영단어 암기 학습기 보카마스터의 매출 실적이다. 이 제품을 개발, 판매한 원샷보카는 사실상 임형택(39) 대표의 1인 회사이다. 게임파크가 기기를 만들고, 세일즈코리아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이밖에 광고를 담당하는 회사를 따로 쓰는 등 업무 대부분이 아웃소싱 형태로 이뤄진다.
깜빡이는 동영상 재생 기능을 갖춘 기존의 전자사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임 대표가 개발한 ‘깜빡이 학습법’을 구현한 독창적 프로그램이 매출을 이끌었다. 1990년대 인지과학을 공부하러 미국 유학을 떠났다가 좌절하고 돌아온 임 대표가 스스로 가장 효율적인 암기법을 프로그래밍한 제품이다. 영단어가 2초 정도 나온 뒤 한글뜻이 연달아 나오는 방식으로 시각적 자극을 반복적으로 받은 뇌가 단어를 체계적으로 오래 암기한다는 경험칙에 착안해 만들었다. 인지과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익힌 컴퓨터 기계어를 활용해 직접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최초의 깜빡이는 임 대표가 유학을 접고 직장생활을 하던 1997년에 탄생했다. 무선호출기에 프로그램을 내장해 단어를 보여주는 방식이었지만, 판로를 개척하지 못했다. 2002년 두번째 버전을 내고 직접 판매에 나섰다. 전국 영어학원 원장들에게 깜빡이를 소개하는 편지를 보내고, 깜빡이 원리를 설명하는 공개강연도 여러 차례했지만, 역시 판로는 뚫리지 않았다. 전라도 광주까지 내려갔다가 학원측 사정으로 면담도 못한 채 헛걸음을 했고, 순차적으로 원장·부원장·선생을 설득하느라 대구까지 세 번 발품을 팔아 제품 한 대를 팔기도 했다. 임 대표는 당시를 “장돌뱅이 시절”이라고 회상하더니 문득 “그 때는 소비자들이 너무 많이 사랑에 실패해 두려움에 휩싸인 채 다시는 사랑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사람 같았다.”고 말했다.
2006년 음성 기능을 추가한 세 번째 버전이 히트를 기록한 건 우연히 낸 신문광고 덕분이었다. 임 대표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제품, 하고 싶은 얘기나 다 쏟아내 보자는 심정으로 광고를 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첫날부터 문의전화가 쏟아졌다. 영단어 암기를 위한 궁여지책으로 깜빡이를 개발하던 그 때처럼 임 대표는 다시 유학생 신분이 됐다. 지난해 8월부터 중국 베이징대에서 중국어를 배운다. 지난해 우연히 중국에 관광을 갔다가 중국인들이 영어를 받아들이는 모습, 병음을 통해 한자의 디지털화를 모색하는 모습 등에 매료됐고 아예 중국어를 공부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그렇게 중국과 그들의 언어를 익힌 뒤 천천히 중국어판 깜빡이를 내놓을 계획도 갖고 있다. 스스로도 내년쯤 내놓을 중국어 학습 깜빡이를 통해 깜빡이의 효과를 재점검할 계획이다.
임 대표는 “결국 유학 시절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생각해 왔고, 생각을 나타내는 언어와 어휘에 대한 호기심이 끊이지 않았었다.”고 회상했다. 임 대표는 중국어에 익숙해지면 이집트 상형문자를 연구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그는 이어 “젊은 나이에 교수가 된 친구의 도움으로 미국에 연구소를 낼 길이 열렸다.”고 했다. 임 대표가 좌절을 맛보았던 유학길에서 성공한, 임 대표를 마냥 부럽게 했던 친구이다. 지금은 임 대표도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꿈을 이뤘다고 인정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