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올드보이’들
우리 사회의 ‘허리’인 30∼40대 가출·실종인 비율이 급증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영화 ‘올드보이’의 주인공처럼 어느날 갑자기 가족의 품에서 사라지고 있다.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30∼40대는 10대 등에 비해 가출·실종 신고가 적은 점을 감안할 때 실제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5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에 신고된 가출·실종인 4만 2269명 가운데 30∼40대가 1만 8821명으로 전체의 44.5%를 차지했다.2006년부터 가출인 기준을 9세에서 14세 이상으로 올렸지만 전체 가출·실종인 수가 줄어드는 추세를 감안하면 2004년 38.5%(2만 4344명),2005년 35.9%(1만 6553명)에 비해 비중이 크게 늘어난 셈이다.
30∼40대 가출·실종은 다른 연령대와는 달리 다양한 이유에서 이뤄지고 있어 정확한 원인 분석이 쉽지 않다.
다만 서민경제 압박과 가족 해체 등 가장으로서의 사회적 부담이 점차 늘어나는 세태가 원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난해 경찰에 신고된 가출·실종인은 10대(14∼19세) 9390명,20대 8138명,30대 1만 372명,40대 8449명,50대 3030명,60대 1307명,70세 이상 1583명이다. 납치·유괴 등 범죄 연루 가능성이 큰 10대를 제치고 30대가 가장 많다. 가출·실종된 30∼40대는 하루 평균 51.5명에 이른다.
30∼40대 가출·실종이 사회 문제로 제기된 것은 지난 1월 실종됐다가 지난달 12일 숨진 채 발견된 공인회계사 손모(47)씨 사건이 계기가 됐다. 이 사건은 딸이 인터넷과 TV에 “실종된 아빠를 찾아주세요.”라는 사연을 올려 주목을 받았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5일 “부검 결과 폐안에서 플랑크톤이 검출돼 익사로 추정된다. 외부 힘에 의한 외상이나 약물 반응은 없었으며 타살로 볼 만한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유족들은 “가출이나 자살을 할 이유가 없다.”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30∼40대 가출·실종이 경찰 수사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홀대받기 쉬운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30∼40대 가출·실종은 10대에 비해 원인이 불분명한 데다 명확한 정황이 없어 5% 정도만이 범죄 관련성이 있다고 추정해 수사하고 있다.
표창원 경찰대 행정학과 교수는 “성인 가출인의 5%가량이 범죄 관련성이 있다고 하지만 오차범위 등을 감안해 10%는 수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30∼40대 실종자가 늘어나는 것은 심각한 상황으로 나머지 연령대와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면서 “범죄와 연관된 경우를 제외하면 급격한 가족 해체와 노숙자 및 행방불명자 증가, 서민 경제의 압박으로 채무를 피해 주거지를 옮겨다니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등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함축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도 “경찰에서 그동안 유괴 등 10대 가출에만 관심을 기울인 감이 있다.”면서 “경찰에서도 성인 실종자들을 단순가출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가출인의 가정 환경이나 경제력 등 다양한 원인을 분석해 추적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