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한국, 무역전쟁서 위험·기회 모두 1위”
미중 무역전쟁이 한국에 ‘독일 수도, 약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중 관세폭탄이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위기이지만, 동시에 중국의 대체재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회이기도 하다는 평가다.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는 4일(현지시간) ‘무역전쟁: 미국 관세로부터 오는 아시아태평양 국가 경제의 리스크와 기회’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대중 관세폭탄으로 발생하는 간접관세 리스크가 가장 큰 나라로 한국을 지목했다.
한국은 전체 수출품 중에서 미국의 관세폭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품이 전체의 1.21%로 가장 높았다. 일본(0.46%), 싱가포르(0.34%), 말레이시아(0.33%)가 뒤를 이었다. 또 한국의 수출품 중 19.5%가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의 경기 둔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몽골(58%), 호주(21.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을 대체해 새로운 물품 공급처를 찾아 나서면서 발생하는 기회 요인도 큰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중간재 부문에서는 한국의 기회지수가 0.102로 가장 높았다. 일본(0.086), 태국(0.065) 등이 뒤를 이었다. 최종재 부문에서도 한국은 기회지수가 0.075로 베트남과 함께 선두를 이뤘다. ESCAP는 “한국과 일본이 미중 무역전쟁의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면서 “특히 가공금속과 화학제품, 전기·광학장비, 기계와 같은 하이테크 분야 수출에 수혜가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무역전쟁의 리스크 요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역 파트너의 다양화와 관민이 협력해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