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재래시장 살리기
서울 양천구가 주민에게서 외면받는 재래시장을 살리기 위한 ‘구원투수’를 자임하고 나섰다. 양천구는 지역 재래시장에 신용카드 단말기 도입은 물론 시장 홍보용 발광다이오드(LED)전광판, 대형마트와 같은 광고전단지 배포, 전통시장 마켓론, 쿠폰·상품권 발행 등 각종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유통산업 개방으로 지역마다 대형 마트와 백화점은 물론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골목까지 확장됨에 따라 재래시장과 영세상인의 생존권이 위협받기 때문이다. 구는 이번 대책의 초점을 재래시장의 서비스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맞췄다.
추재엽 구청장은 “재래시장이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곳이 아니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정(情)을 나누는 소중한 곳”이라면서 “전통시장이 지역경제의 중심축이자 지역문화 발산의 장 구실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통시장을 지역경제 발전 축으로”
구는 재래시장을 살리기 위해 서비스 ‘차별화’ 전략을 세웠다. 즉 시설 현대화뿐 아니라 쿠폰·상품권 사용, 주차장 신설 등으로 대형마트 부럽지 않은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신월1동 신영시장을 찾은 염승희(45·양천구 신정1동)씨는 “동네 전통시장이 상품권 제도와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하고 또 LED 전광판까지 있어 무척 놀랍다.”면서 “현대화된 깔끔한 시설과 더불어 전통시장만의 멋인 정(情)도 함께 느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신영시장은 대형마트와 같은 광고지 배포, 매주 금요일 가격 특화상품 판매, 카드단말기 도입, 상인교육을 통해 서비스 수준을 높였다.
또 시장입구에 설치된 LED 홍보전광판에는 그날 대폭 할인하는 이벤트 품목이나 특별행사 같은 시장정보를 제공하는 등 주민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통시장에 대해 구청의 각종 정책적 지원은 SSM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단비’와 같다.”며 김동용 신영시장 상인회장은 반겼다.
●자금융통·경영지원 원스톱 지원
양천구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설 현대화와 전통시장 가는 날, 상인대학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목4동 시장과 신영시장에 설치된 2개의 LED 전광판 외에도 앞으로 경창시장, 목2동시장, 목3동시장, 월정로시장에 대해서도 LED전광판을 설치함으로써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와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시장골목을 따라 개방형 지붕(아케이드) 설치에 65억 7000만원을 투입, 4개 시장에 설치했으며 올해도 29억원을 들여 목3동 시장 공사를 하고 있다.
상인들의 서비스정신 고취와 시스템적 경영을 위해 상인대학도 운영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3개월 과정으로 무한경쟁시대에 적합한 고객관리 기법, 최신 정보습득 등을 내용으로 주 2회씩 운영하여 지금까지 11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이밖에 상인들에게 낮은 금리로 경영자금을 지원하는 ‘전통시장 마켓론 사업’은 상인상호간 연대보증으로 점포당 500만원까지 이율 4.5%로 긴급자금을 빌릴 수 있다. 김광호 지역경제과장은 “구는 대기업과 중소유통업체간의 갈등을 막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형 슈퍼마켓 사업조정권 시행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아울러 재래시장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각종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