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 상승·입주 절벽 겹친 군산…신규 분양이 대안으로
전라북도 군산시의 임대차 시장에 급격한 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최근 전세 매물 감소와 전세가 상승이 맞물리며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매매 전환 수요까지 늘어나며 실질적인 입주가 가능한 신규 단지가 주목받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군산시의 아파트 전세 매물은 2023년 4월 556건에서 2025년 4월 기준 300건으로 약 46% 감소했다. 이는 2년간 연평균 20%가 넘는 감소폭으로, 전세 수급 불균형이 빠르게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전세 매물 부족은 전셋값 상승을 유발했고, 결과적으로 매매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군산 지역 33평형 기준 평균 전세가는 2023년 약 7,500만 원에서 2025년 현재 약 8,200만 원으로 올라 2년 새 6.3% 이상 상승했다.
게다가 군산의 전월세 전환율은 약 6.1%로, 법정 기준치인 4.25%를 크게 상회하면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도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올해 하반기부터 전북 지역의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수요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2026년 전북의 입주 예정 물량은 약 4,500가구로, 연간 적정 수요인 약 8,600가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군산 역시 이러한 ‘입주 절벽’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공급 공백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실입주가 가능한 신규 분양 단지는 실수요자는 물론 임대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는 안정적인 주거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군산시 내에서는 포스코건설, DL이앤씨, 영무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이 신규 아파트 공급을 준비 중이며,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중 영무건설의 ‘군산 신역세권 예다음’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마지막 단지로, 합리적인 분양가와 입주 가능성을 모두 갖춘 점에서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군산 지역은 입주 물량이 제한적인 반면, 임대차 시장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어 실거주 목적이든 임대 전략이든 분양가 안정성과 입주 시점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단지는 희소하다”면서 “‘군산 신역세권 예다음’과 같은 실입주 가능 단지는 매매 전환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