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AI도 모르는 창의력의 비밀(김대현·김귀연 지음, 북랩) 창의성 전문가인 두 저자가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진적인 변화 속에서 인간만이 지닌 창의력이 가장 강력한 무기임을 설득력있게 풀어낸다. 책은 단순히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동시에 AI를 도구 삼아 나만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또한 이론을 넘어 실제 사례와 실험, 창의성 진단을 통해 독자들이 자신의 창의적 유형을 이해·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다. 238쪽, 1만 8000원.
복지가 왜 권리일까?(이창곤 지음, 원혜진 그림, 나무를 심는 사람들) 헌법에 명시된 행복 추구권이 보장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장치는 복지다. 책은 빈곤 대처에서 사회권 보장에 이르기까지 복지의 정의와 복지국가의 탄생 등 복지 역사의 뿌리를 살펴보고 복지 선진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제도를 분석한다. 또한 기후와 생태 등 복합 위기 시대를 대비하고 지구촌의 모든 생명이 함께 사는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해 새로운 녹색 복지국가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등을 살펴본다. 216쪽, 1만 4000원.
월스트리트의 유대인들(대니얼 슐먼 지음, 민태혜 옮김, 생각의힘) 1848년 전후 독일에서 미국으로 온 유대인 이민자들은 행상인에서 시작해 잡화점을 열고 주변 상인들의 어음을 사들여 융통하며 은행가로 변모했다. 이후 이들은 세계 최대의 투자은행으로 성장한 금융기업들을 일궈 냈다. 책은 독일계 유대인 금융가들이 월스트리트의 금융 권력으로 부상하는 과정을 남북전쟁, 파나마운하 실패, 러일전쟁, 1차 세계대전, 러시아 혁명, 수차례의 금융위기와 대공황 등 다채로운 역사와 함께 풀어낸다. 780쪽, 3만 8000원.
전통 미술의 상징 코드(허균 지음, 돌베개) 옛사람들은 나쁜 기운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기 위해 그림, 조형물, 건축물에 다양한 상징을 담았다. 귀신은 두렵지만 동시에 삶을 지켜주는 존재였고 죽음은 끝이 아닌 또 다른 여정의 시작이었다. 책은 길상과 벽사, 삶과 죽음, 공간과 천문관 속에 담긴 전통의 지혜를 풀어내며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도 여전히 이어지는 상징의 문화적 힘을 보여 준다. 296쪽, 2만 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