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달러 대미 투자 카드 부상
정부, 10대 기업 투자 의향 모아관세 협상 불발 땐 美시장에서 쏘나타가 日 캠리보다 비싸져
한국 정부가 대미 관세 협상을 위해 국내 주요 기업들과 약 1000억 달러(약 137조원) 이상의 현지 투자 계획을 마련해 미국 측에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삼성, SK, 현대차, LG, 포스코, 롯데, 한화, HD현대 등 10대 그룹의 순수 투자 의향을 모은 것이다. 정부 조달 자금까지 포함하면 투자 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일본이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제시해 자동차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성과를 거둔 만큼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도 긴장과 기대감이 교차하고 있다.
24일 통상업계에 따르면 한국 통상 대표단은 당초 25일(현지시간) 예정됐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회담’에서 이 제안을 미국 정부에 전달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일정 변경으로 협의는 연기됐다.
‘1000억 달러+α’는 일본의 투자 금액에 비해 적지만 일본의 경제 규모가 한국보다 2배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결코 작지 않은 금액이라는 게 재계의 평가다. 또 이는 기업들의 순수 투자 계획만을 집계한 것으로 정부의 조달 자금이 더해질 경우 제안 금액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실제로 정부는 일본처럼 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 투자 외에도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한국투자공사(KIC) 등 정책금융기관을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이날 블룸버그통신도 “한국 정부가 통상 협상에서 미국에 투자 펀드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선 긴장과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한국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관세를 15% 이하로 낮추지 못하면,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에서 일본차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는 일본차보다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앞서왔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현대자동차 쏘나타의 판매 가격은 2만 6900달러(3685만원)로 동급 차종인 도요타 캠리(2만 8400달러), 혼다 어코드(2만 9390달러)에 비해 약 5.3~8.5% 저렴하다. 하지만 한국차에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대차가 오히려 더 비싸져 불리해질 수 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현행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는 월 3500억~4000억원, 기아는 2500억~3000억원의 관세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