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투자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교통안전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정세균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리얼미터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 아동학대
    2025-11-1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41,531
  • 상상인 이어 애큐온까지… EQT파트너스, 애큐온캐피탈·저축은행 매각 착수

    상상인 이어 애큐온까지… EQT파트너스, 애큐온캐피탈·저축은행 매각 착수

    스웨덴계 사모펀드(PEF) EQT파트너스가 애큐온캐피탈과 애큐온저축은행 매각에 착수했다. 최근 상상인저축은행 매각에 이어 대형 저축은행 거래가 잇따르며 업권 전반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EQT파트너스는 UBS증권과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보유 중인 애큐온캐피탈 지분 96%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애큐온캐피탈이 100% 보유한 애큐온저축은행 지분도 함께 매물로 나왔다. 매각가는 약 1조원 안팎으로 거론된다. EQT는 2019년 KT렌탈에서 인적분할된 KT캐피탈(현 애큐온캐피탈)을 인수한 이후 6년 만에 투자금 회수를 추진하고 있다. 애큐온캐피탈의 올해 상반기 별도 기준 누적 순이익은 243억원으로 전년 대비 18.7% 증가했다. 자산은 4조 162억원이다. 애큐온저축은행은 자산 5조 3698억원, 순이익 98억원으로 업계 5위권에 속한다. 업계에서는 거래 규모가 1조~1조 4000억원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주요 금융지주들이 이미 캐피탈사와 저축은행을 보유하고 있어 인수 후보군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의 인허가 절차와 영업구역 규제도 변수로 꼽힌다. 이에 따라 일부 사모펀드(PEF)와 중견 금융그룹이 유력 원매자로 거론된다. 이 같은 인수합병 움직임은 이미 시장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상상인그룹이 상상인저축은행을 KBI그룹에 1107억원에 매각했고, 그보다 앞선 지난 4월에는 교보생명이 SBI홀딩스로부터 SBI저축은행 지분 50%와 1주를 인수하기로 하는 등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 박명원 경기도의원 “농정예산 전국 꼴찌… 농민의 생존예산부터 지켜야”

    박명원 경기도의원 “농정예산 전국 꼴찌… 농민의 생존예산부터 지켜야”

    경기도의회 박명원 의원(개혁신당, 화성2)은 11월 6일 제387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을 상대로 농정예산 축소, 경기국제공항 추진 논란, 화성시 과밀학급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도정질문을 진행하며, “경기도의 혁신은 말뿐이고 현장은 무너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이날 발언에서 “2022년 3.8%였던 경기도 농정예산 비율이 2026년에는 3%까지 하락해 전국 8개 광역도 중 꼴찌”라며 “도지사의 전시행정과 인기몰이용 사업이 도민의 밥상과 농민의 생존을 지켜야 할 예산을 밀어냈다”고 지적했다. 이어 “농민은 적자고 소비자는 포기했다. 말로만 삼농정책을 이야기하면서 숫자에서는 축소하고 있다”며 “농정예산은 단순한 산업예산이 아니라 도민의 생존예산”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농정예산 비율은 감소했지만, 예산 규모 자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농정예산은 지역내총생산 중 농림어업 비중 대비 6.79배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경기도는 “반드시 반영이 필요한 부족 예산에 대해서는 향후 우선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박 의원은 화성시 대표 쌀 ‘수향미’가 MBC 추석특집 ‘전국 1등 쌀 편’에서 1위를 차지한 사실을 언급하며 “지역 단위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경기도가 직접 나서 브랜드 관리, 판로 확충, 수출 지원 등 통합적 육성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는 이에 대해 “쌀 등 농특산물 브랜드는 시·군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경기미 구매 차액 지원, 농식품 할인쿠폰, 경기 농식품 체험페스타 등을 통해 판로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농정해양위원회 회의 중 발생한 예산총괄팀장의 허위 진술 논란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의회를 기만한 행위”라며 특별감사와 징계를 요구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예산총괄팀장이 실제 업무범위에 따라 출연계획 동의안 취합 업무를 하지 않는다고 사실대로 설명한 것”이라며 “예산안과 출연계획 동의안은 절차상 구분되어 있고, 사업부서에서 관리되는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박 의원은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국제공항 사업이 수원 군공항의 화옹지구 이전을 합리화하기 위한 이중기획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지사께서 수원 군공항을 화옹지구로 이전하지 않겠다고 명확히 선언하라”고 요구했다. 경기도는 “경기국제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으로 군공항 이전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박 의원은 화성시가 465억 원을 투입해 추진 중인 ‘서해안 황금해안길 조성사업’을 언급하며 “제부도와 궁평항 등 서부권 관광벨트를 연결하는 핵심사업임에도 도비는 20억 6천만 원에 불과하다. 경기 남부와 동부에 비해 서부권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추가 지원을 요청했다. 경기도는 “2024년에 도비 20억 6천만 원을 지원했고,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이나 화성시의 추가 요청이 없어 2025년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며 “향후 시의 계획에 따라 필요성이 인정되면 관련 규정에 따라 지원 여부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교육 관련 질의에서 박 의원은 화성시 새솔동과 남양읍 지역의 중학교 과밀학급 문제를 지적하며 “초등학교는 다섯 곳인데 중학교는 두 곳뿐이다. 학부모와 학생 모두 불편을 겪고 있다”며 중학교 신설과 예측형 학급수 조정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새솔동 송린중학교는 교실 12실 확보를 위한 리모델링이 진행 중이며, 남양읍은 2026년 3월 새동중학교 개교로 과밀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변했다. 또한 “지역별 특성과 학령인구 변화를 면밀히 검토해 학생 수요 예측 정확성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교사용 PC 노후화 문제도 언급하며 “학생은 최신형 태블릿으로 공부하지만 교사는 10년 된 컴퓨터로 수업한다. 이게 어떻게 디지털 혁신인가”라며 “교원용 PC 전면 교체와 도교육청 직접 예산 편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은 “신규 학교에는 교원용 PC를 보급하고, 기존 학교는 학교기본운영비를 통해 자체 교체 중”이라며 “교체가 지연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도교육청 직접 예산 편성 여부는 실무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해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질의 마무리 발언에서 “농민은 흙에서 울고, 교사는 낡은 컴퓨터 앞에서 한숨 쉬며, 아이들은 과밀한 교실에서 숨 막히고 있다”며 “숫자와 보도자료 중심의 도정을 넘어 사람과 현장이 살아 있는 행정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민이 웃고, 교사가 존중받으며, 아이들이 행복한 경기도를 만드는 것이 진정한 혁신이고 복지”라며 “도정과 교육행정이 현장 중심으로 다시 서야 한다”고 덧붙이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 문화체육관광부-콘진원, ‘2025 프리뷰’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콘진원, ‘2025 프리뷰’ 개최

    중소방송영상제작사 기획안 공모 시상식서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등 15편 수상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유현석)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가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2025 PREVUE(프리뷰)’ 행사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기획개발 단계에 있는 중소 방송영상제작사의 지식재산권(IP)을 대상으로 사업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으며, 방송 제작·투자·유통, PPL, 상품 콜라보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바이어와 매칭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올해 최초로 단독 기획개발 IP 전문 비즈매칭으로 발돋움했으며, 특히 ▲국내외 바이어와의 비즈매칭 이외에도 ▲우수 기획안 공모전 시상식 등을 더해 차별성을 모색했다.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3개 분야에서 총 349편의 기획안이 접수됐으며, 평균 23.2 대 1의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대상 1편, 우수상 4편 등 총 15편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수상작들은 전문가 컨설팅과 비즈매칭 지원을 통해 실제 사업화로 연계될 전망이다. 드라마 부문 대상은 에이스토리의<선택의 날>(상금 5,000만 원), 예능 부문 대상은 블루플랜잇의 <밀리터리 키친>(상금 3,500만 원), 다큐멘터리 부문 대상은 디엠지와일드의<외눈박이맘과 건달이>(상금 3,500만 원)가 각각 선정됐다. 이번 행사에는 기획안 공모 선정작 15개사, 2024년 공모 선정작 4개사, 기획개발 고도화 협약사 5개사, KOCCA 신진 다큐멘터리 피칭 선정사 4개사 등 총 28개 제작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박인남 방송영상본부장은 “참가사들이 국내외 투자자 및 유통사와 네트워크를 구축해 기획 IP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PREVUE는 단순한 매칭을 넘어 창의적인 기획안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라며 “앞으로도 중소 제작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의 기획안 공모 수상작들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방송영상제작지원 사업 등과 연계해 지속 가능한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 여야, 한미 관세 협상 공방…“성과 어깃장”vs“정신 승리”

    여야, 한미 관세 협상 공방…“성과 어깃장”vs“정신 승리”

    여야는 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한미 관세 협상 세부 내용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관세 협상 결과를 성공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야당의 국회 비준 동의 요구는 ‘어깃장’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규모 대미 현금 투자에 따라 국민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관세 협상 긍정 평가가 61%, 부정 평가의 2배에 달한다”면서 “외신들조차 한국이 큰 성과를 얻었다고 평가하는데, 성과에도 원팀이 돼야 할 국민의힘이 정쟁만을 위한 언어를 쏟아낸다”고 말했다. 이어 “진짜 성과가 나오니 법적 근거도 없이 국회 비준을 받으라며 어깃장을 놓는다”면서 “이젠 새 정부 발목 잡는 후진국형 정치는 끝내야 한다”고 비판했다.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은 “1년에 (미국에 현물 투자로) 200억 달러 준다고 했는데 올해 예산을 놓고 보니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27조 5000억원으로 (규모가) 비슷하다”며 “(대미) 투자 확대로 국내 산업은 문제가 된다고,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를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미) 현금 투자 2000억 달러에 우리 정부가 관여할 여지가 있느냐”면서 “(정부가 설명하는) 위험한 사업에 무리한 투자를 하고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는 것에 여론을 확인해 보니 ‘정신 승리하고 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임 의원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였던 자동차 관세가 이번에 15%로 결정됐다”면서 “정부가 (협상 전) 25%였다가 15%로 (조정되는) 과정을 인하라고 표현하는 것 자체가 말장난이다. 국민들 (사이에서는) 조삼모사라는 여론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존 2.5%였던 유럽연합(EU)·일본과 (자동차 품목 관세가) 15%로 같아졌다”면서 “상대적인 (관세)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관세를) 12.5%로 (협상하는 등의) 노력을 했어야 했다”고 질타했다. 임 의원은 “아직 팩트시트(한미 공동 설명자료)가 나오지 않고 있고 양해각서(MOU)도 안 나오고 있다”면서 “이를 만약 국회 비준을 안 거치고 특별법으로 한다면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반면 황 의원은 “한미 관세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인공지능(AI) 이니셔티브를 담은 경주 선언이 견인됐다”면서 “아마존 웹서비스 등 글로벌사도 13조원 규모 투자를 발표하면서 AI 잠재력을 인정받았다”고 했다. 특히 황 의원은 “이번 정부의 AI 예산도 윤석열 정부와 비교하면 첫 예산부터 10조 1000억원으로 편성됐다”면서 “연구개발(R&D) 예산도 윤석열이 삭감한 것에 비하면 최대 규모”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재정 포퓰리즘이라며 발목잡기를 하는데, 세수 결손은 윤석열 정부가 하고, 기금 돌려막기를 했다”면서 “민생경제 회복, AI 과학기술의 열차를 출발시켜야 되는 골든타임에 발목잡기를 할 구상만 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번 2차 추가경정예산으로 민생 회복 지원금 성격으로 13조원 편성했다”면서 “이는 청년 미래 세대가 갚아야 할 빚이다. 앞으로 이런 사업을 해선 안 된다”라고 했다.
  • 김진명 경기도의원 “경기남부광역철도 국가계획 반영과 청소년정책 혁신” 강력 촉구

    김진명 경기도의원 “경기남부광역철도 국가계획 반영과 청소년정책 혁신” 강력 촉구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김진명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6)은 11월 6일(목) 제387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김동연 도지사와 임태희 교육감을 상대로 도정 및 교육행정 전반에 대한 대집행부질문을 진행했다. 김진명 의원은 먼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해 “서울 잠실에서 성남·용인·수원·화성을 잇는 총연장 50.7km의 광역철도는 경기 남부 500만 도민의 이동권을 보장할 핵심 교통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이어 “사업 타당성 분석 결과 B/C 1.2로 이미 경제성이 입증됐음에도 4차 국가철도망에는 반영되지 못했다”며 당시 국토교통부가 제기한 보완 요구사항과 경기도의 대응 전략을 구체적으로 질의했다. 또한 김 의원은 “경기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에 본 사업을 반드시 반영시켜야 한다”며 “국비 확보와 국가계획 반영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서울시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도지사가 직접 챙겨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성남 운중·대장동 등 서판교 지역의 교통 사각지대를 언급하며 광역버스 신설 및 철도 대체 교통수단 마련 방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청소년 참여기구인 경기도청소년참여위원회의 제안과 보고회에 도지사가 직접 참여해 의견을 듣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청소년과의 상시 소통이 바로 경기도의 미래를 설계하는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또한 “청소년이야말로 경기도의 가장 확실한 미래 투자 대상”이라며 청소년정책에 대한 도지사의 직접적 관심과 로드맵 제시를 주문했다. 그는 세 가지 긴급 대책으로 ▲노후 청소년시설 개선과 미래기술 중심 프로그램 확대 ▲청소년지도사 처우 개선 ▲경기도형 청소년활동 인증제 등 독자정책 추진을 제안했다. 아울러 “청소년 정책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미래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투자”라며 “도지사께서 지금 즉시 행동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에이비프로바이오 거래대금 374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에이비프로바이오 거래대금 374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는 1억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코스닥 종목 중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319원이며, 거래대금은 37,480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4.13%를 차지하고 있다. PER은 -1.48, ROE는 -13.57로 나타나며, 재무 지표는 다소 부정적이다.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은 거래량 30,905,236주로 2위를 기록했고, 주가는 379원으로 거래대금은 12,421백만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3.41%이며, PER 0.36, ROE -18.03으로 재무 상태는 부진하다. 경남제약(053950)은 29,537,461주의 거래량을 보이며 주가가 894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락률은 +5.92%이며, YTN(040300)은 +19.72%로 급등세를 보이며, 27,102,973주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플루토스(019570)는 23,950,244주의 거래량과 +20.07%의 등락률을 보인다. 소프트센(032680)은 +6.92%, 19,382,918주의 거래량을 기록 중이다. 싸이닉솔루션(234030)은 16,471,814주의 거래량으로 +22.86%의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 노타(486990)는 +16.78%로 15,434,364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한편, 고영(098460)은 거래량 14,728,622주를 기록하며 -5.42%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휴림로봇(090710) ▼9.67%, 더블유에스아이(299170) ▼0.90%, 대한광통신(010170) ▼3.43%, 케이이엠텍(106080) ▼6.88%, 재영솔루텍(049630) ▼5.13%, 피아이이(452450) ▲0.65%, 율호(072770) ▲3.96%, 컴퍼니케이(307930) ▲10.91%, 케이쓰리아이(431190) ▲0.88%, 이노테크(469610) ▲300.0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싸이닉솔루션과 노타가 있다. 싸이닉솔루션은 +22.86%의 상승률과 함께 158,669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6.80%로 나타났다. 노타 역시 +16.78% 상승하며, 거래대금은 858,022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6.98%에 해당한다. 반면, 하락률이 큰 종목으로는 고영과 휴림로봇이 있다. 고영은 -5.42% 하락하며 거래대금은 282,659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17%를 차지하고 있으며, 휴림로봇은 -9.67% 하락하며 거래대금이 84,902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1.13%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싸이닉솔루션과 노타 등의 종목이 높은 거래대금과 함께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일부 종목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11월 7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서울데이터랩]11월 7일 암호화폐 시총 상위종목 동향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은 1억 4845만 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2960조 9925억 원에 이른다. 24시간 등락률은 -1.73%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1시간 등락률은 0.11%로 소폭 상승하여 단기적으로는 반등 가능성이 엿보인다. 거래량은 97조 9337억 원에 달한다. 이더리움의 현재가는 487만 2274원이며, 시가총액은 588조 680억 원이다. 24시간 동안 -2.63%의 하락세를 기록했지만, 1시간 등락률은 0.05%로 소폭 상승하고 있다. 거래량은 55조 3560억 원으로 집계됐다. 리플은 3243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194조 9345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5.70%로 하락세가 뚜렷하지만, 1시간 등락률은 0.35%로 반등의 조짐을 보인다. 거래량은 7조 7754억 원이다. 비앤비는 140만 6439원에 거래되며, 시가총액은 193조 7194억 원이다. 24시간 등락률은 0.27%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시간 등락률은 0.87%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거래량은 4조 3085억 원이다. 한편, 솔라나는 22만 8590원으로 -3.41% 하락했으며, 시가총액은 126조 4895억 원이다. 같은 시각 트론은 416원에 거래되며 -1.09%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269억 원이다. 도지코인은 239원으로 -1.80%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36조 2703억 원이다. 같은 시각 에이다는 786원으로 -0.61%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3097억 원이다. 하이퍼리퀴드는 5만 6291원으로 -5.74% 하락했으며, 거래량은 8004억 3182만 원이다. 체인링크는 2만 1783원으로 -1.19%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조 1800억 원이다. 비트코인 캐시는 69만 9861원에 거래되며 -1.29% 하락했다. 같은 시각 지캐시는 84만 5210원으로 18.48% 상승하여 강력한 상승세를 보인다. 시가총액은 13조 7653억 원이다. 스텔라루멘은 397원으로 -2.20% 하락했으며, 시가총액은 12조 7739억 원이다. 레오는 1만 3474원으로 -2.92% 하락했고, 수이는 2915원으로 -2.12% 하락했다. 거래량은 1조 5486억 원이다. 헤데라는 242원으로 -4.26% 하락했으며, 시가총액은 10조 2926억 원이다. 아발란체는 2만 3953원에 거래되며 -1.26%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종목에서 반등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시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정연호 기자
  •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전자 거래대금 1조 4천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전자 거래대금 1조 4천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가 1,445만8,261주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97,300원이며, 거래대금은 1조 4,243억원에 달한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약 24.73%로 높아 시장의 집중적인 매수·매도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PER은 21.73, ROE는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인다. 대한전선(001440)이 1,144만1,178주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가는 24,650원, 거래대금은 2,915억 4,700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6.34%에 이르러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PER은 158.01, ROE는 5.85로, 재무 상태는 다소 불안정하지만, 거래량이 많아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대원전선(006340)은 현재가 3,940원으로 1.29% 상승하며 7,780,065주의 거래량을 기록 중이다. 카카오(035720)는 62,400원으로 2.80% 상승, 거래량은 7,404,994주에 이르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은 11,080원에 거래되며 19.14%의 급등을 보이며 6,054,978주가 거래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76,800원으로 3.15% 하락, 5,128,148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006800)은 22,900원으로 3.17% 하락, 4,575,101주가 거래 중이다. 에이프로젠(007460)은 현재가 622원으로 7.72% 하락, 4,373,002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전력(015760)은 44,000원으로 4.56% 하락, 거래량은 4,312,306주이다. 삼성중공업(010140)은 25,750원으로 1.53% 하락, 3,824,814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동양(001520) ▼3.04%, 디아이씨(092200) ▼4.31%, 한온시스템(018880) ▲1.79%, HJ중공업(097230) ▼7.64%, 일동제약(249420) ▼6.05%, SK하이닉스(000660) ▼2.53%, 삼성공조(006660) ▲9.16%, 삼성전자우(005935) ▼2.86%, 신성이엔지(011930) ▼4.40%, 금호타이어(073240) ▼1.51%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과 삼성공조가 각각 19.14%, 9.1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경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92.36%로, 시장에서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반면, 에이프로젠과 HJ중공업은 각각 7.72%, 7.64%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두 종목 모두 거래대금 대비 시가총액 비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반적인 시장 흐름은 등락이 엇갈리는 모습이며, 일부 종목에서의 급등락이 눈에 띄는 상황이다. 시장의 변동성은 여전히 높으며,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남창진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방 행감 합동청사 공사비, 소방시설 완공검사 등 지적

    남창진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방 행감 합동청사 공사비, 소방시설 완공검사 등 지적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지난 6일 소관기관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2025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면서 소방합동청사 공사비가 추진 단계별로 크게 변경돼 행정의 일관성이 없고 소방시설 완공검사 현장 확인율이 낮아 오작동으로 인한 출동 등 행정력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 의원은 첫 번째 질의로 소방합동청사 건립사업 총사업비가 2023년 9월 중앙투자심사를 받을 때 4192억원에서 2024년 7월 VE 검토받는 단계에서 5198억원으로 1726억원(41.2%) 급격하게 증가한 원인이 서울시 공사비 가이드라인 단가를 과소 산정하여 발생했고 행정안전부 재심사 및 재조사 용역으로 행정 낭비가 초래됐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이 정하는 공사비 가이드라인과 실제 원가계산 간 격차를 줄이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며 건설기술정책관과 협의를 통해 실 공사비와 차이가 적은 적정 공사비 산출 기준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방재난본부장은 오랜 기간의 기획부터 심의·설계 단계까지 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공사비 변경 폭이 컸으며 지적한 부분을 재검토하고 정해진 기간까지 공사를 마쳐 소방행정에 지장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은 질의에 남 의원은 소방시설 완공검사의 실효성이 현저히 낮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현장 확인 비율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며, 감리결과 보고서만으로 검사를 종결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고 밝히고, 서울처럼 고층건물과 지하공간, 다중이용시설이 밀집한 도시에서 단순 서류 검증만으로 안전을 담보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3년간 비화재경보로 인한 오작동 출동 비율이 13.2%, 화재안전조사 불량 4074건 중 소방시설 관련 지적이 7644건(전체의 약 96%)에 달한다며 감리·시공·검사 전반의 구조적 미비를 문제 삼았다. 추가 질의로 남 의원은 서울소방의 비상발전기 운용 실태 확인 결과 조달청 기준 내용연수(12년)를 훌쩍 넘겨 20년 이상 사용 중인 발전기가 14개소, 특히 A 소방서는 1992년 설치 후 33년째 가동 중인 점을 지적하며 소방서별로도 용량이 60kW에서 300kW까지 큰 차이를 보여 본부 차원의 비상발전기 관리 기준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지막 지역 관련 질의로 2017년 설치된 전통시장 자율소방대 346개 중 184개 시장에 조끼조차 지급되지 않았고 송파구에도 8개 시장 중 7개가 조끼를 못 받고 있으므로 시장의 실효성 있는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해 필요한 예산 7500만원을 확보해서 조속히 지급할 것을 요청했다. 소방재난본부장은 소방시설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판매시설, 노유자시설, 숙박시설 등에 대해 우선적으로 현장 확인 비율을 높이고 감리를 철저히 하겠으며 내용연수를 초과한 비상발전기는 성능점검을 통해 교체해 나가고 노후도에 따라 집중적인 점검을 하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전통시장 자율소방대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유니폼인 조끼를 지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남 의원은 질의를 마치며 “소방행정은 시민들의 안전과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으므로 한 부분이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며 긴급히 꼭 필요한 부분은 의회와 소통하여 보완책을 마련하라”고 당부했다.
  • 전석훈 경기도의원, 대통령은 AI 10조 외치는데, 경기도 인공지능원은 1년째 표류 중

    전석훈 경기도의원, 대통령은 AI 10조 외치는데, 경기도 인공지능원은 1년째 표류 중

    전석훈 경기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3)은 7일 열린 경기도의회 AI국 행정사무 감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10조 원대 AI 예산 편성 등 국가적 역량 집중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는 오히려 관련 예산이 축소되고 핵심 사업이 지연되는 등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강력히 질타했다. AI 시대 주도권 확보가 시급한 상황에서 경기도의 안일한 대응을 꼬집었다. 전 의원은 이날 행정사무 감사 현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10조 천억 원 AI 예산 편성 및 NVIDIA GPU 26만 개 공급 약속 등 국가적 노력을 언급하며 질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전 의원이 현장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경기도의 2026년도 AI 관련 예산은 2025년 대비 상당 부분 축소된 것으로 드러났다. AI국의 ‘구축형’ 사업이 ‘운영형’으로 전환되며 발생한 예산 조정이라는 해명에도 불구, 전 의원은 ‘AI 에이전트’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신규 투자가 절실한 시점에 예산이 줄어든 것 자체를 심각한 문제로 지적했다. 전석훈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은 AI 시대에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고 강조했다”며 “전 세계가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사활을 거는 지금, 경기도가 예산 조정을 이유로 투자를 줄이는 것은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한 전 의원은 AI 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AI 에이전트 주권’ 확보를 위한 스타트업 육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경기도 인공지능원’ 설립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관련 조례까지 준비했으나,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도의 후속 조치가 지지부진한 점을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고 표현하며 질타했다. 현재 경기도의 AI 사업이 AI국 외에도 여러 실국과 산하 기관에 흩어져 체계적인 관리(거버넌스)가 부재한 실태를 꼬집었다. 전 의원은 “20년 전 ‘기업 하기 좋은 경기도’ 슬로건이 판교의 성공을 이끌었듯, 이제는 ‘AI 에이전트 주권’ 확보를 위한 파격적인 정책과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며 “흩어진 AI 사업을 총괄하고 시너지를 낼 ‘경기도 인공지능원’ 설립을 더 이상 늦출 이유가 없다”고 역설했다. 더욱이 인공지능원 설립의 근거가 될 ‘경기도 인공지능 종합계획’이 12월에야 수립될 예정인 상황으로,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표명했다. 전 의원은 “AI국은 현 상황을 안일하게 인식해서는 안 된다”며 “AI국의 역할은 단순히 예산을 집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도가 20년 뒤 AI 시대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파격적인 정책을 기획하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라고 당부했다. 전 의원은 향후 도정 질의 및 상임위 활동을 통해 ‘경기도 인공지능원’ 설립 조례안을 조속히 통과시키고, AI 종합 계획 수립 과정을 면밀히 점검하여 경기도의 AI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즉각적인 후속 조치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 청주 명암유원지에 대관람차 들어서나..민간 제안 주목

    청주 명암유원지에 대관람차 들어서나..민간 제안 주목

    청주 명암유원지에 대관람차를 설치하자는 제안이 나와 추진 여부가 주목된다. 청주에는 아직 대관람차가 없다. 청주시는 명암유원지 활성화를 위해 진행한 기획 제안 공모전의 우수 제안작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선정작은 ㈜청명이 제출했다. ㈜청명은 명암보트장 건축물 리모델링과 대관람차·전기레저보트·음악분수·야외공연장 설치 등을 주요 내용으로 제안했다. 총사업비는 170억원으로 예상했다. 청주시는 이 제안을 KDI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사전 검토를 거쳐 기획재정부에 대상 시설 적정성 심의를 의뢰할 예정이다. 대상 시설 적정성 심의는 제안된 시설이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라 사회기반시설로 인정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사업의 민간투자 사업 추진 여부가 결정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는 민간의 창의적 제안을 통해 명암유원지 활성화를 모색한 첫걸음”이라며 “적정성 심의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 여부가 결정될 예정인데, 4개월 정도가 걸릴 것 같다고 ”고 말했다. 적정성 심의를 통과하면 ㈜청명은 대관람차 규모 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청주시에 제출하게 된다. 이어 경제성 등을 따져보는 민자적격성 심사를 받는다. 청주시는 모든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면 2027년쯤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다 죽여버리겠다” 산책하던 여성 살해 이지현 또 전자발찌 기각

    “다 죽여버리겠다” 산책하던 여성 살해 이지현 또 전자발찌 기각

    2심 “무기징역 선고로 재범 방지 효과”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 실패 등에 대한 분노로 산책 중이던 일면식 없는 여성을 흉기로 찔러 살해한 이지현(34)이 항소심에서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위치추적 전자장치(전자발찌) 부착 명령은 또 기각됐다. 대전고법 형사1부(부장 박진환)는 7일 이지현의 살인, 살인예비 혐의 선고공판에서 1심과 같은 무기징역을 선고하고, “전자장치 부착 명령을 내려달라”는 검사의 항소는 기각했다. 이지현은 지난 3월 2일 오후 9시 45분쯤 서천군 사곡리의 한 도로변에서 일면식도 없는 40대 여성을 흉기로 찔러 살해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경찰은 주변 상가 폐쇄회로(CC)TV를 분석해 이지현을 유력 용의자로 지목하고 이동 동선을 추적해 서천 주거지에서 긴급 체포했다. 이지현은 경찰 조사에서 “사기를 당해 돈을 잃었고 극심한 스트레스로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그는 암호화폐 투자 실패로 수천만원의 손실을 보고, 이후 대출이 거부되자 극심한 불안과 분노에 빠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지현은 범행 한 달 전부터 ‘다 죽여버리겠다’는 등 메모를 남기고 흉기를 미리 준비해 사건 장소를 여러 차례 배회하며 대상을 물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1심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구체적 목적이나 동기 없이 이뤄지는 이른바 ‘묻지마 범죄’로 다수에게 큰 공포감을 야기하는 만큼 죄책에 상응하는 엄중한 처벌이 불가피하다”며 이지현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하고 5년간 보호관찰 받을 것을 명령했다. 다만 검찰의 전자장치 부착 명령 청구는 기각했다. 항소심 재판부의 판단도 같았다. 2심 재판부는 “피고인은 초범으로 성인 재범위험성 평가 결과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고, 무기징역 선고와 보호관찰 명령·준수사항 부과로 상당 부분 재범 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검사의 항소는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판시했다.
  • 김하성보다 먼저 팀 찾은 ‘다재다능’ 배지환, 뉴욕 메츠 합류…올해 트리플A 타율 0.292

    김하성보다 먼저 팀 찾은 ‘다재다능’ 배지환, 뉴욕 메츠 합류…올해 트리플A 타율 0.292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의 외야수 배지환이 8년 동안 몸담은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방출된 뒤 뉴욕 메츠에 둥지를 틀었다.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 나온 김하성보다 먼저 팀을 찾았다. MLB닷컴은 7일(한국시간) “메츠 구단이 외야진 보강을 위해 배지환을 웨이버 클레임(선수에 대한 권리 양도)을 통해 영입했다”며 “메츠가 공식 영입 발표를 하지 않았지만 배지환을 40인 로스터 명단에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배지환은 외야 세 포지션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 몸값이 낮고 다재다능한 선수”라고 소개했다. 메츠는 주전 중견수 타이론 테일러가 올 시즌 OPS(출루율+장타율) 0.598에 머무는 등 고전했다. 내셔널리그(NL)에서 신시내티 레즈와 승률이 0.512(83승79패)로 같았던 메츠는 맞대결 전적에서 4승7패로 밀려 와일드카드 결정전 티켓을 내줬다. 이에 대수비, 대주자 등이 가능한 배지환을 선택한 것이다. 배지환의 올해 연봉이 리그 최저 연봉 수준(76만 달러)인 77만 5000달러(약 11억 2000만원)인 점도 메츠가 영입 부담을 던 요인이다. MLB닷컴은 “테일러는 재계약 포기 후보다. 이에 따라 메츠가 중견수 공백을 어떻게 메울지 아직 미지수”라며 “최고 유망주 카슨 벤지가 있어서 메츠가 외부 영입에 큰 투자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2018년 3월 피츠버그에 입단한 배지환은 마이너리그 육성 과정을 거쳐 2022년 빅리그에 입성했다. 이듬해 MLB 111경기에 출전해 77안타(2홈런) 54득점 32타점 타율 0.231로 가능성을 보였으나 고관절, 오른 손목 등을 다쳐 전력 이탈했다. 배지환은 지난해 MLB 29경기 14안타 타율 0.189, 올해 13경기 1안타 타율 0.050에 머물렀다. 다만 배지환은 올해 마이너리그 트리플A에선 67경기 264타수 77안타 55득점 21타점 타율 0.292 출루율 0.380 장타율 0.424로 녹슬지 않은 실력을 뽐냈다. 미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2루수, 유격수까지 넘나들었기 때문에 메츠에서도 유틸리티 강점을 살릴 것으로 보인다.
  • 대구시, 내년 예산안 11조7000억원 편성…4년 만에 지방채 2000억원 발행

    대구시, 내년 예산안 11조7000억원 편성…4년 만에 지방채 2000억원 발행

    대구시가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세수 감소로 고강도 지출 구조 조정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4년 만에 지방채를 신규 발행하고 투자 사업 우선 순위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핵심 사업에 예산을 집중 투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7일 대구시에 따르면 전날 오준혁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기자설명회를 통해 11조 7078억원 규모의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2%(7831억원)이 증가한 규모다. 시는 내년 예산안은 민생안정, 미래 성장동력, 시민안전 3대 핵심분야를 중심으로 마련했다. 복지 예산은 전체의 49.1%인 5조7501억원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내년도 예산안의 가장 큰 특징은 세입 감소에 따른 고강도 지출 구조 조정이다. 시는 내년도 공동주택 입주 물량 감소로 취득세 수입이 전년보다 1100억원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는 10년 전보다도 낮은 수준이라는 게 대구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방세도 4년 연속 줄어 전년 대비 410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올해 기준 8대 특·광역시 중 대구시 재정자립도는 6위, 재정자주도는 7위로, 2022년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며 평균 이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대구시는 지출 구조 조정을 벌여 2500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도로 건설 등 일부 사업의 경우 추진시기를 조정해 총 2332억원을 줄였다. 또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을 통해 총 91억원을 절감했다. 특히 공공부문 경비절감 차원에서 업무추진비 등을 10% 이상 감액해 총 41억원을 아꼈다. 핵심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신규 지방채 2000억원을 발행키로 했다. 2022년 이후 지방채 발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3대핵심 분야 중 지역사랑상품권 발행(300억원), 골목 경제권 조성(14억원) 등 민생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2659억원을 배정했다. 생애주기별 복지체계 구축 등 사회안전망 강화에는 6조3304억원을 편성했다. 이를 통해 노인 일자리 사업(2242억원), 의료급여진료비 지원(8265억원),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2311억원)를 시행한다. 이 밖에도 재난 대응 역량 강화에는 9066억원을 들이기로 했다. 미래산업 전환을 위해서는 AI(인공지능), 로봇, 미래 모빌리티, 헬스케어 등을 중심으로 3645억원을 투자한다. 특히 지난 8월 예타면제가 통과돼 총사업비 5510억원 규모로 추진되는 ‘지역거점 AX(인공지능 전환) 혁신 기술개발 사업’에 8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대구간송미술관 운영 81억원을 편성해 내년에는 신윤복의 ‘미인도’ 영인본 제작 및 미인도 연간 상설 독점 전시 등을 새롭게 추진하는 등 글로벌 문화 도시 조성을 위한 예산 2845억원도 편성됐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이번 예산안에 대해 “지방세 감소와 경직성 경비 증가로 재정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이라면서도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민생안정, 미래 성장동력, 시민안전 등 핵심 3대 분야에 집중 투자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내년도 대구시 예산안은 제321회 시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를 거쳐 다음달 15일 최종 확정된다.
  • 김옥순 경기도의원, ‘사립학교 운영 개선·학교급식 공공성 회복·경기RE100 실효적 추진’ 촉구

    김옥순 경기도의원, ‘사립학교 운영 개선·학교급식 공공성 회복·경기RE100 실효적 추진’ 촉구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옥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은 6일(목) 열린 제387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사립학교 운영 개선 ▲학교급식 공공성 회복 ▲경기RE100 정책의 실효적 추진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도와 교육청의 실질적 대응을 촉구했다. 김옥순 의원은 “경기도 내 일부 사립학교에서 법인의 폐쇄적 운영과 회계·인사 비위가 반복되고 있다”며, “최근 3년간 1,200여 건의 감사 지적이 있었지만, 동일 유형의 비위가 재발해 감사와 행정이 분리된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북부 지역 일부 학교의 경우 기간제 교사 비율이 50%를 초과하고 있다”며, “교원 처우 격차 해소를 위한 단계별 지원계획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교급식 조리종사자 1인이 하루 평균 100~120명분의 식사를 담당하는 열악한 현실에서 자율선택급식 확대는 노동강도와 안전위험을 높일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며, “충분한 인력 확충과 노동환경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친환경 무상급식은 지역 농가·학생·조리실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공공조달체계 유지에 방점을 둬야 한다”며, “급식 인력 운영의 외주화 역시 고용불안과 위생·안전 관리 공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공공성과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옥순 의원은 “경기RE100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도·민간 공동투자 체계 강화 ▲인허가 절차 간소화 ▲주민참여형 모델의 안정적 운영 및 수익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며, “의왕시가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된 만큼 도는 관계부처 협의와 제도적·재정적 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 스팸문자 1년 만에 74%↓…월평균 3통 온다

    스팸문자 1년 만에 74%↓…월평균 3통 온다

    올해 상반기 국민 1인당 휴대전화 문자스팸이 한 달에 약 3통꼴로 수신돼 1년 전의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새 가장 적은 수준이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7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했다. 방미통위와 KISA는 전국 만 12~69세 휴대전화·이메일 이용자 3000명을 대상으로 실제 수신한 문자·음성·이메일 스팸량을 조사했다. 올 상반기 1인당 월평균 문자스팸 수신량은 3.04통으로 지난해 상반기(11.59통)보다 74% 감소했다. 이는 최근 5년 사이 반기별 최저 수치다. 휴대전화 문자와 음성, 이메일을 모두 합한 스팸 수신량은 1인당 월평균 7.91통이었다. 이 역시 지난해 상반기보다는 51.6%, 지난해 하반기보다는 31.8% 각각 줄어든 수치다. 다만 음성 스팸은 올해 상반기 월평균 2.13통으로 39.2% 증가했다. 문자스팸은 도박(로또) 1.22통, 금융(투자 유도) 0.61통 순이었고, 음성스팸은 금융(투자 유도)·불법 대출이 각각 0.61통, 통신 가입이 0.30통이었다. 전체 문자스팸 신고·탐지 결과 건수는 3193만건으로 1억 7957만건 줄었다. 음성·이메일을 포함한 전체 스팸 신고·탐지 건수는 3883만건으로 82.9% 감소했다. 정부는 부적격 사업자의 대량 문자 발송 진입을 제한하고, 문제 사업자를 퇴출하기 위한 법령 개정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전송 자격 인증제 도입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과, 불법 스팸으로 얻은 부당이익 환수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도 조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다.
  • 롯데케미칼 인니 석유화학공장 준공…신동빈 “20억 달러 부가가치 창출”

    롯데케미칼 인니 석유화학공장 준공…신동빈 “20억 달러 부가가치 창출”

    롯데케미칼이 5조 7000억원을 들여 인도네시아에 지은 대규모 석유화학단지가 3년 만에 준공돼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반텐주 찔레곤시에서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비롯해 이영준 롯데케미칼 총괄대표,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박수덕 주인도네시아 대사대리 등 양국 주요 인사 및 내외빈 300여 명이 참석했다. 신 회장은 축사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내 한국 기업의 최대 규모 투자 중 하나로, 양국 간 견고한 파트너십을 상징함과 동시에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산업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에틸렌, 프로필렌 등 주요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며 20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인도네시아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롯데그룹처럼 인도네시아에 투자하는 해외 기업들이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이번 준공식이 좋은 선례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 산업에서 신흥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 지역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해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계획했다. 이는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뉴 에틸렌’의 영어 앞 글자를 딴 라인(LINE)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라인 프로젝트는 39억 5000만 달러(약 5조 7200억원)를 투입해 33만평 부지에 2022년부터 착공에 들어가 5월 완공했다. 이곳에서는 연간 에틸렌 100만t, 프로필렌 52만t, 폴리프로필렌 35만t, 부타디엔 14만t, 벤젠·톨루엔·자일렌(BTX) 40만t 등을 생산한다. LCI는 국내에서 축적된 선진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에너지 효율과 탄소 저감 성능을 갖춘 공장으로 조성했다. 주요 원료인 나프타 외에도 LPG를 최대 50%까지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해 원가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극대화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 중인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구상에서 석유화학 산업은 5대 핵심 육성산업 중 하나로 선정됐고, 연평균 5%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내수 시장은 지난해 에틸렌 기준 현지 자급률이 44%에 불과해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LCI가 앞으로 인도네시아 내수 시장에 석유화학 제품을 공급하면 현지 기업들의 수입 의존도가 점차 완화돼 에틸렌 기준 자급률을 최대 90%까지 끌어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케미칼은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무역수지 개선과 고용 창출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11월 7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005930)가 개장 5분 만에 10.49%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98,7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50% 하락하며 보합권에 머물고 있다. 거래량은 2,488,211주를 기록했으며, 시가는 96,400원이다. 이어 SK하이닉스(00066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0.17%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1.13% 하락하며 순조롭게 출발하는 모습이다. 검색비율 4위 NAVER(035420)는 개장 초반부터 0.57%의 하락률로 하락 중이다. 검색비율 5위 한화오션(042660)은 2.03% 하락하며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6위 에코프로(086520)는 등락률 0.00%로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7위 고영(098460)은 3.73%의 등락률로 주가가 하락 중이다. 8위 삼성SDI(006400)는 1.24%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9위 현대차(005380)는 1.67% 하락하며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10위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하락률 3.58%로 주가가 다소 하락하고 있다. 이 밖에도 디앤디파마텍(347850) ▲1.17%, 카카오(035720) ▲1.48%, 에이피알(278470) ▲0.21%, 삼성중공업(010140) ▼0.76%, 로보티즈(108490) ▼0.93%, 알테오젠(196170) ▼1.28%, 한국전력(015760) ▼1.41%, HLB(028300) ▼1.88%, 더존비즈온(012510) ▼5.25%, HJ중공업(097230) ▼6.37%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주식·코인 아니라고?…“직장인 83%, 이 방법으로 재테크한다”

    주식·코인 아니라고?…“직장인 83%, 이 방법으로 재테크한다”

    국내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재테크를 하고 있으며, 이 중 60%는 실제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재테크 방식은 주식이나 코인이 아닌, 안정형 자산인 ‘저축’인 것으로 조사돼 눈길을 끈다. 7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3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결과, 국내 직장인의 92.2%가 재테크를 하고 있었다. 재테크를 하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방식은 저축(83.0%)이었다. 안정적인 자산 관리에 대한 직장인들의 선호도를 보여준다. 이어 국내 주식(63.5%), 해외 주식(43.9%), 펀드 및 ETF(37.4%), 코인(30.0%), 현물(19.0%), 부동산(18.1%) 순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는 저축(92.6%)과 해외 주식(63.0%)에 적극적인 반면 50대는 부동산(29.6%)과 펀드(37.8%) 등 비교적 전통적인 방식의 비중이 높았다. 40대는 부동산(21.4%)이 현물(17.1%)보다 높아 가장 다양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미혼과 기혼 모두 저축(미혼 88.5%, 기혼 77.1%)과 국내 주식(미혼 61.7%, 기혼 65.3%)이 상위권이었으나, 부동산에서는 미혼 8.7%, 기혼 28.2%로 가장 큰 격차를 보여 기혼자의 부동산 중심 투자 성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장인 49.6% “여유 자금 확보하려고 재테크” 직장인들이 재테크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목돈·여유 자금 확보(49.6%)였으며, 노후 자금 마련(30.3%), 내 집 마련(12.5%) 등이 뒤를 이었다. 재테크 성과에 대해서는 ‘이익을 얻었다’는 응답이 60.1%로 과반을 넘었다. 특히 20대(72.2%)가 가장 높은 이익 비율을 보였고, 50대 이상은 28.6%가 손실을 봤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6%가 ‘업무 시간에도 투자 활동을 한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40대(52.9%)와 30대(52.7%)가 가장 적극적이었으며, 퇴근 후 투자 시간은 비교적 짧은 편(30분 미만 51.0%)이었다. 한편, 재테크를 하지 않는다는 직장인 7.8% 중 절반은 그 이유로 ‘여유 자금이 없어서’를 꼽았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는 ‘방법을 몰라서’, 40·50대는 ‘자금이 없어서’를 주된 이유로 답했다.
  • 조미자 경기도의원, 경기북부상상캠퍼스 조성으로 경기 남·북부 지역문화격차 해소해야

    조미자 경기도의원, 경기북부상상캠퍼스 조성으로 경기 남·북부 지역문화격차 해소해야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조미자 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3)은 6일(목) 열린 경기도의회 제387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대집행부 질문에서 경기도 문화체육관광 예산 증액과 경기북부상상캠퍼스 조성을 강력히 촉구했다. 조미자 의원은 “2026년도 경기도 예산은 39조 9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지만, 문화체육관광국 예산은 1.44%, 전년 대비 12.94% 삭감됐다”며,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 수준으로, 이는 도민의 문화복지 수준이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화는 단순한 여가가 아니라 도민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영역”이라며, “재정 효율성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도민을 위한 투자로서 문화체육관광 분야 예산을 최소 2% 이상으로 증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또한 문화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기북부의 문화격차 해소를 위해, 남양주 진접읍 85정비대대 이전 예정부지를 ‘경기북부 상상캠퍼스’로 조성할 것을 제안했다. 조 의원은 “문화는 공간이 있어야 사람과 콘텐츠가 모이고 확산된다”며, 지역문화공간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며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정책토론회, 5분 자유발언 등을 통해 문화 기반 조성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날 도정질문에서는 이 외에도 ▲36개월 미만 영아의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 ▲교복은행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 ▲학교 인접 위험요소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등 도민 생활과 밀접한 현안들에 대한 정책 제안도 함께 이뤄졌다. 조 의원은 “정책은 완성이 아닌 과정이며, 현장의 작은 목소리를 모으는 그 자체가 의미 있는 성과”라며, “도민 삶의 변화를 위해 의회와 집행부가 함께 걸어가야 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