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스피
    2025-09-18
    검색기록 지우기
  • 안락사
    2025-09-1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81
  • 외국인 지난달 국내주식 570억원 사들여…4개월 연속 순매수

    외국인 지난달 국내주식 570억원 사들여…4개월 연속 순매수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4개월 연속 순매수를 이어갔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8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은 상장주식 57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9개월 연속 국내 주식을 순매도하던 외국인은 지난 5월 순매수로 전환했다. 다만 지난달 순매수 규모는 전월(3조 4110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지난달 외국인은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에서 3000억원을 순매도했으며, 코스닥 시장에서 3570억원을 순매수했다. 국가별로는 미국(1조 4000억원), 아일랜드(4000억원)에서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국내 상장주식 보유 규모는 904조 8000억원으로 전체 시가 총액의 27.5% 수준이다. 채권시장에서는 7개월 만에 순회수로 전환했다. 지난달 외국인은 상장채권 4조 4200억원을 순매수하고, 5조 410억원을 만기상환 받아 총 6210억원을 순회수했다. 지역별로는 유럽(1조 2000억원), 미주(6000억원), 중동(6000억원) 등은 순투자를 했으며 아시아에서 2조 4000억원을 순회수했다. 종류별로는 국채 2000억원, 통안채 400억원 등을 순회수했다. 8월 말 기준 외국인은 상장채권 306조 7000억원을 보유해 상장잔액의 11.3%를 차지했다.
  • 3370도 넘긴 코스피...사흘째 ‘사상 최고치’

    3370도 넘긴 코스피...사흘째 ‘사상 최고치’

    코스피가 장중 3370선을 넘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8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79포인트(0.71%) 오른 3367.99를 기록 중이다. 장 초반 3375.67에 출발해 3378.26까지 치솟은 뒤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지만, 여전히 전날 세운 장중 최고치(3344.70)를 웃돌고 있다. 이로써 지수는 지난 10일부터 3거래일 연속으로 기록을 갈아치웠다. 수급 면에서는 외국인이 상승을 이끌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783억원, 806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3325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지난 8일부터 5거래일 연속 코스피 시장에서 매수 우위를 이어가고 있다. 종목별로는 농심(11.27%), 오뚜기(6.48%)가 나란히 신고가를 경신하며 음식료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삼성전자(2.04%), SK하이닉스(5.05%) 등 반도체주가 두드러진 상승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0.71%), KB금융(0.26%)도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0.1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60%), 현대차(-0.67%), HD현대중공업(-2.32%) 등은 약세를 보였다.
  • 외국인·기관 끌고, 경기 부양 기대감… 코스피 이틀째 천장 뚫었다

    외국인·기관 끌고, 경기 부양 기대감… 코스피 이틀째 천장 뚫었다

    3344.20 마감… 장중 3344.70 최고코스피 46·코스닥 57종목 ‘신고가’외인 3024억·기관 8045억 순매수내년 최대 성장률 2%로 개선 전망日·대만 증시도 사상 최고치 기록 코스피가 이틀 연속 장중·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연일 새 역사를 쓰고 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9.67포인트(0.90%) 오른 3344.20에 마감했다. 전날 세운 종가 기준 최고 기록(3314.53)을 단숨에 넘어선 것이다. 장 초반에는 3344.70까지 치솟아 장중 최고치도 새로 썼다. 코스콤에 따르면 이날 하루 동안 코스피 46종목, 코스닥 57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 함께 이재명 정부의 주가 부양 의지가 다시 확인된 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다만 장중 흐름은 출렁였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 도중 3310대까지 밀렸다. 대통령이 대주주 기준 강화에 대해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지만,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국회 논의로 넘기자 투자자들 사이에 실망감이 퍼지면서 ‘셀온(호재 속 주가 하락)’ 반응이 나타난 것이다. 그럼에도 코스피는 다시 완만한 상승세를 회복하며 고점을 지켰다. 수급 측면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의 엇갈린 행보가 두드러졌다. 코스피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024억원과 8045억원을 순매수하며 쌍끌이로 상승을 견인했다. 반대로 개인은 이날도 1조 1313억원 어치를 팔아 치우며 8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다. 최재원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개인이 이익은 빨리 실현하면서 손실 종목은 보유하는 ‘처분 효과(disposition effect)’가 반복되고 있다”고 했다. 증시를 떠받친 또 다른 동력은 경기 회복 기대감이다. 김영일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한국 성장률은 1%에도 못 미치지만, 내년에는 1% 중반에서 2%까지 개선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며 “재정 확대를 통한 경기 부양 기대가 외국인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랠리가 단순한 단기 급등이 아니라 조정을 거친 뒤 이어지는 상승 국면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고, 거버넌스 개선 기대와 미국 금리 인하 전망이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이날 일본과 대만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와 자취안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종목별로는 반도체와 음식료 업종을 중심으로 신고가 행진이 이어졌다. SK하이닉스는 ‘30만닉스’에 안착하며 이틀 연속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고, 삼양식품(5.23%)과 농심(19.17%)도 크게 올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키움증권은 역사적 신고가 대열에 합류했다.
  • 코스피 최고치에 웃은 李대통령… 100일 만에 970만원 수익 올린 듯

    코스피 최고치에 웃은 李대통령… 100일 만에 970만원 수익 올린 듯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 코스피 덕에 이재명 대통령도 상당한 투자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대통령이 지난 5월 말 코스피 지수 추종 상품에 투자한 뒤 계획대로 매달 적립식 매수를 이어왔다면, 11일 기준 100일 만에 약 970만원의 평가이익을 올리게 된다. 수익률로는 약 22.5%다. 이 대통령은 5월 28일 민주당 유튜브 채널 ‘델리민주’ 라이브 방송에서 “1400만 개미와 한 배를 탔다”며 증권 계좌를 공개했다. 계좌에는 코스피200 상장지수펀드(ETF) 2000만원, 코스닥150 ETF 2000만원, 적립식 코스피200 ETF 100만원 등 총 4100만원이 담겼다. 그는 매달 100만원씩 5년간 적립해 1억원 규모로 투자금을 늘리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공개 당시 계획대로라면, 100만원씩 3개월간 추가 매수를 진행해 원금은 4300만원으로 불어났다. 이를 기준으로 평가액은 약 5270만원, 수익은 약 970만원에 이른다. 구체적으로 코스피200 ETF는 2000만원이 2558만원으로 늘어 27.9%(558만원)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코스닥150 ETF는 2000만원이 2352만원으로 증가해 17.6%(352만원)의 수익률을 거뒀다. 적립식 코스피200 ETF 역시 300만원이 360만원으로 불어나 60만원의 차익을 올렸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정치가 정상화되는 것만으로 시가총액이 300조~400조 원이 늘었다”면서도 “주식시장 정상화는 아직도 한참 멀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기업 이익이 늘면 그때부터 다시 또 한 단계 더 우리 주식시장이 업될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에서도 주식 투자 동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매달 ETF 투자로 19.85% 수익률을 기록 중이라며, 추가로 5000만원을 고배당 ETF와 코스피·코스닥 ETF에 나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책 입안자의 직접 투자는 시장과 정책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긍정적 선례”라고 평가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에이프로젠 거래대금 206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에이프로젠 거래대금 206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프로젠(007460)이 2,6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769원으로, 시가총액의 0.82%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3.50%의 상승률을 보인다. 에이프로젠의 PER은 -4.16, ROE는 -37.91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엔케이(085310) 역시 2,400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현재 주가는 1,543원으로 6.05% 상승 중이다. 시가총액의 3.20%를 차지하는 거래대금과 함께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PER은 -77.15, ROE는 0.50이다. 퍼스텍(010820)은 현재가 4,995원으로 13.52% 급등하며 거래량 1,400만주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72,600원으로 보합세를 유지하며 872만주가 거래되고 있으며, 한진중공업홀딩스(003480)는 6,220원으로 7.24% 상승, 834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두산퓨얼셀(336260)은 30,500원으로 14.88% 급등하며 거래량 787만주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HJ중공업(097230)은 32,650원으로 1.36% 하락하며 688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SK오션플랜트(100090)는 25,700원으로 7.76% 상승, 610만주 이상이 거래되고 있으며, 화승알앤에이(378850)는 3,730원으로 3.61% 상승, 584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22,300원으로 3.48% 상승, 566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상상인증권(001290) ▼4.46%, 미래에셋증권(006800) ▼2.64%,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29.96%, SK증권(001510) ▼1.57%, SK하이닉스(000660) ▲2.38%,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92%, 화인베스틸(133820) ▲2.90%, 신성이엔지(011930) ▼0.77%,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003060) ▲1.23%, 한국토지신탁(034830) ▲1.72%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퍼스텍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13.52%와 14.88%의 급등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퍼스텍은 거래량 1,400만주 이상, 거래대금 696억원으로 시가총액의 2.86%를 기록하고 있어 시장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두산퓨얼셀도 거래량 787만주 이상, 거래대금 2,329억원으로 시가총액의 11.65%에 달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강한 매수세를 받고 있다. 반면, 상상인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각각 4.46%와 2.64%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는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종목들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흐름을 주시하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할 전망이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두산에너빌리티 2.08% 하락 시장 엇갈린 흐름

    [서울데이터랩]두산에너빌리티 2.08% 하락 시장 엇갈린 흐름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11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72,4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21% 하락하며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장주식수 5,919만6,638주에 외국인비율이 50.54%인 삼성전자는 PER 16.18,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이고 있다. 반면,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는 현재가 310,000원으로 1.97%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상장주식수 72만8,002주와 외국인비율 55.97%를 기록하며, PER 7.82, ROE 31.06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35% 상승하며 거래량은 16만2,939주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0.68% 상승세를 보이며, 거래량은 3만4,757주에 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3.31% 오르며 활발한 거래량 15만8,951주를 기록 중이다. 반면, 삼성전자우(005935)는 0.51% 하락하며 거래량 74만6,023주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0.23% 하락하며, 거래량은 21만1,567주이다. HD현대중공업(329180)은 보합세를 보이며 거래량 6만6,166주를 기록 중이다. KB금융(105560)은 0.94% 하락하며 거래량은 51만9,245주로 나타났다. 기아(000270)는 0.19% 하락하며 거래량은 29만4,216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08%, 셀트리온(068270) ▲0.12%, NAVER(035420) ▲0.21%, 한화오션(042660) ▼0.09%, 신한지주(055550) ▲0.59%, 삼성생명(032830) ▲0.19%, 삼성물산(028260) ▲0.99%, HD한국조선해양(009540) ▲1.21%, 현대모비스(012330) ▼0.63%, 카카오(035720) ▲0.33%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비율과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이 대통령 “남은 4년 9개월 도약·성장의 시간으로 만들 것”

    이 대통령 “남은 4년 9개월 도약·성장의 시간으로 만들 것”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이 대통령은 남은 4년 9개월의 임기를 “도약과 성장의 시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너진 나라를 기초부터 다시 닦아 세운다는 마음으로 국정에 임한 지 어느덧 100일이 됐다”며 “지난 100일을 짧게 규정하자면 ‘회복과 정상화를 위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00일에 대한 소회를 전하며 “무엇보다 민생경제 회복이 시급했다. 장기간 내수 침체로 허약해진 우리 경제에 긴급하게 심폐소생술을 해야 했다”며 “(오늘 기자회견장에) 오면서 코스피 지수를 살펴보니 3300선을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본시장의 핵심 심장인 금융시장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남은 4년 9개월은 도약과 성장의 시간”이라며 “인수위도 없이 출범한 정부가 이제 본격적인 출발선에 선 만큼 대한민국이 힘차게 도약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또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로 ‘진짜 성장’을 추진하고 결실을 모두가 나누는 ‘모두의 성장’을 이뤄내겠다”며 “기본이 튼튼한 사회를 구축해 국민의 삶도 빈틈없이 지키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당당한 실용 외교로 세계에서 우뚝 서고 국민의 평화로운 일상을 지켜내겠다”며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오늘부터 임기 마지막 날까지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길에 매진하겠다”며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약속에 따라 통합의 정치와 행정으로 나아가겠다”고 약속했다.
  • 코스피, 45년 만에 새 역사… “내년 상반기 3700까지 찍을 것”

    코스피, 45년 만에 새 역사… “내년 상반기 3700까지 찍을 것”

    李정부 99일 22.81%↑… 역대 최고올해 코스피 상승률도 G20 중 1위SK하이닉스 등 무더기 신고가도상법 개정·배당소득 분리과세 주목 코스피가 10일 장중과 종가 기준 모두 역대 최고점을 찍으며 국내 증시는 전인미답의 새로운 길을 걷게 됐다. 코스피는 올 들어 이날 현재 상승률이 38%로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날까지 99일간 코스피는 22.81% 올랐는데, 이는 문민정부 이후 역대 정부 100일간 등락률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기존 최고였던 김영삼 정부 100일간 상승률(12.15%)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다. 이날 국내 증시에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통틀어 110개 종목이 신고가를 경신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반도체 주도주인 SK하이닉스(30만 4000원)를 포함해 DB하이텍, 키움증권,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등 33개 종목이, 코스닥 시장에선 원익홀딩스와 현대무벡스 등 77개 종목이 신고가를 갈아 치웠다. 코스피 시가총액도 2727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직전 코스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21년 7월 6일(2314조원) 대비 410조원 넘게 불었다. 주가지수 3300 시대가 열린 것은 이재명 정부의 ‘코스피 5000’ 정책에 거는 기대와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달러 약세 기조가 맞물린 덕분이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지난 7월까지 거침없이 달리던 국내 증시는 같은 달 31일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요건 강화 방침 발표 이후 일본 미국 등 주요국 증시가 미 금리 인하 호재를 업고 연일 최고치를 경신했던 것과 달리 ‘나 홀로’ 횡보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스피가 뒤늦게 ‘글로벌 신고가 랠리’에 합류하게 된 것은 정부가 양도소득세의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으로 유지한다는 소식이 나온 덕분”이라면서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까지 기정사실화 되면서 국내 증시에 불을 붙였다”고 말했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3대 지수도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0.43%),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0.27%), 나스닥 종합지수(0.37%) 모두 상승 마감했다. 미국 노동부가 비농업 부문 연간 고용 증가 폭을 크게 내리며 고용 우려가 커졌지만, 오는 16~17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이 크게 작용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 코스피가 3700선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 증시 훈풍, 양도세 대주주 기준 유지 이외에도 상법 개정안,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투자자 친화적 정책이 이어진다면 자본시장은 제 궤도에 오를 것이란 분석이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책 환경이 우호적으로 풀린다면 내년 상반기까지 코스피 목표치는 3700”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로 글로벌 증시가 유동성 랠리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전망을 밝게 한다. 미 기준금리 인하로 달러가 약해지면 한국 등 신흥국으로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이 커져서다. 실제 이날 코스피(3시 30분 기준)에서 외국인은 1조 3308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는 지난해 6월 13일(1조 5500억원) 이후 최대다. 외국인이 이날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 1·2위는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로, 각각 6560억원, 3830억원어치씩을 순매수했다.
  • 천장 뚫은 코스피… 불붙는 K증시

    천장 뚫은 코스피… 불붙는 K증시

    코스피가 10일 장중과 종가 모두 사상 최고 역사를 새로 썼다. 코스피는 이날 전장 대비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장을 마쳤다. 외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로 직전 최고치였던 2021년 7월 6일의 3305.21을 넘어선 역대 최고 종가를 기록했다. 전장보다 12.15포인트(0.37%) 오른 3272.20으로 장을 시작하자마자 지난 7월 31일 기록한 연고점(3288.26)을 뚫었고, 거듭 사상 최고점 돌파를 시도하다 결국 장중 3317.77까지 치솟으면서 4년여 만에 사상 최고(2021년 6월 25일 3316.08) 기록도 갈아치웠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하는 내용의 입장을 직접 밝힐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진 것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앞서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종가 기준 종전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이 대통령은 코스닥 시장의 신뢰 회복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약인 ‘코스피 5000’에 대한 의지를 거듭 드러냈다. 그는 이날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코스닥 (시장) 정상화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내부적으로 이야기를 많이 한다”며 “수십년 동안 몇십원짜리 주식이 거의 대부분인데 이런 상황에서 코스닥 시장 전체 신뢰가 많이 떨어져 근본적으로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 국내 금 하루 거래량 사상 첫 1t 돌파… 금값도 최고치 뚫었다

    국내 금 하루 거래량 사상 첫 1t 돌파… 금값도 최고치 뚫었다

    금리 인하 전망에 거래량 3.5배로4000~5000달러까지 상승 전망도코스피도 3260 돌파 ‘연고점’ 경신대주주 기준 10억 철회 기대 반영 국내 금 시장에서 일일 거래량이 처음으로 1t을 돌파하며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피는 ‘10억원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철회 기대감으로 3260을 돌파해 종가 기준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짜리 ‘금 99.99’의 g당 가격은 이날 전장보다 3.74% 오른 16만 7740원에 마감해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KRX금시장의 일일 거래량은 1093㎏에 달한다. 일일 거래량이 1t을 넘어선 건 2014년 3월 시장 개설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올해 일평균 거래량(313㎏)과 비교해도 3.5배에 달한다. 이날 거래대금 역시 사상 최고치인 1794억원에 달했다. 해외에서도 금값이 연일 오름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8일(현지 시각) 런던금시장협회(LBMA)에서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646.29달러(한화 약 506만 3600원)까지 치솟아 또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국제 금값은 올해 들어 37%나 올랐다. 미국의 금리인하 전망, 인플레이션 및 국가부채 증대 우려,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달러화 약세 불안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최근 연일 가격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미국 등 선진국의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추세인 만큼 국제 금 시세가 4000∼5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26% 오른 3260.05에 거래를 마치며 연고점을 새로 썼다. 지난 2일 이후 6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데다 상승폭도 확대됐다. 외국인은 6464억원, 기관은 2648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1조 25억원 순매도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연일 상승세를 기록하던 코스피는 지난 7월 30일(3254.47) 연고점을 찍은 뒤 정부가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현재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하는 세제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급락했고 이후 계속 횡보하다가 다시 반등한 것이다. 결국 양도세 대주주 기준에 대한 정책 완화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훈풍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고위 당국자들의 대주주 기준 강화안 수정 가능성 시사 발언이 계속 나오고 있다. 전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이날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 실장은 이날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대통령께서 어제 야당 대표와 오찬하실 때 ‘정부의 최종 입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말씀하셨다”며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게 드러났고 그런 부분을 정부도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 재계 “배임죄·상법 개정 보완해야” 與 “경제 형벌 합리화 추진”

    재계 “배임죄·상법 개정 보완해야” 與 “경제 형벌 합리화 추진”

    재계 “상법 개정 속도에 기업 불안”與 “자사주 제도 개선 등 준비 중” 더불어민주당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상법 3차 개정 논의를 예고한 가운데 재계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배임죄 보완 입법과 경영 판단의 원칙 같은 제도 개선이 우선 이뤄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여당도 보완 입법 의지를 표명했지만 법안 처리 속도와 우선순위를 둘러싼 간극은 여전했다. 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코스피5000특별위원회·경제형벌민사책임합리화 태스크포스(TF)-경제8단체 간담회’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상법은 회사 활동의 기본법인데 최근 두 차례 개정은 충분한 연구와 토론 없이 속도감 있게 추진됐다. 상법뿐 아니라 노란봉투법까지 동시다발적으로 법이 개정되다 보니 기업들의 걱정이 많다”고 했다. 이어 “1차 상법 개정 이후 전체 주주에 대한 해석 논란이 있는 상태에서 2차 상법이 개정되면서 기업 불안이 더 커졌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오기형 민주당 코스피5000특위 위원장은 일본의 ‘밸류업 정책’을 사례로 들며 상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한국도 경영진과 투자자가 상생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3차 상법 개정에서는 자사주 제도 개선, 의무공개매수 도입 등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임죄 완화와 형사처벌 합리화 등도 함께 논의해 한 걸음 나아가겠다”며 보완 입법 필요성을 거론했다. 권칠승 경제형벌민사책임합리화TF 단장도 “배임죄만이 아니라 기업 활동을 옥죄는 과도한 형벌 조항들이 많다”며 “민주당은 예측 가능한 법질서 안에서 기업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합리화 작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재계의)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도전적 경영 판단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실질적 책임이 뒤따르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재계는 비공개 회의에서도 배임죄 보완, 자사주 제도 예외 조항 마련, 경제 형벌 합리화를 집중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임죄와 관련해서는 사문화된 상법상 특수배임죄를 폐지하고, 20년 가까이 유지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의 ‘50억원 기준’을 현실에 맞게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자사주 제도에 대해선 소각 의무를 두더라도 임직원 보상이나 미래투자 활용 예외를 인정하고, 현재 1년으로 설정된 유예기간을 충분히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공정거래법을 비롯해 과도한 형벌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재계 “배임죄·상법개정 보완해야” 與 “경제형벌 합리화 추진”

    재계 “배임죄·상법개정 보완해야” 與 “경제형벌 합리화 추진”

    더불어민주당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상법 3차 개정 논의를 예고한 가운데 재계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배임죄 보완 입법과 경영 판단의 원칙 같은 제도 개선이 우선 이뤄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여당도 보완 입법 의지를 표명했지만 법안 처리 속도와 우선순위를 둘러싼 간극은 여전했다. 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코스피5000특별위원회·경제형벌민사책임합리화 태스크포스(TF)-경제8단체 간담회’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상법은 회사 활동의 기본법인데 최근 두 차례 개정은 충분한 연구와 토론 없이 속도감 있게 추진됐다. 상법뿐 아니라 노란봉투법까지 동시다발적으로 법이 개정되다 보니 기업들의 걱정이 많다”고 했다. 이어 “1차 상법 개정 이후 전체 주주에 대한 해석 논란이 있는 상태에서 2차 상법이 개정되며 기업 불안이 더 커졌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오기형 민주당 코스피5000특위 위원장은 일본의 ‘밸류업 정책’을 사례로 들며 상법 개정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한국도 경영진과 투자자가 상생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3차 상법 개정에서는 자사주 제도 개선, 의무공개매수 도입 등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임죄 완화와 형사처벌 합리화 등도 함께 논의해 한 걸음 나아가겠다”며 보완 입법 필요성을 거론했다. 권칠승 경제형벌민사책임합리화TF 단장도 “배임죄만이 아니라 기업 활동을 옥죄는 과도한 형벌 조항들이 많다”며 “민주당은 예측 가능한 법질서 안에서 기업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합리화 작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재계의)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도전적 경영 판단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실질적 책임이 뒤따르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재계는 비공개 회의에서도 배임죄 보완, 자사주 제도 예외 조항 마련, 경제형벌 합리화를 집중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임죄와 관련해서는 사문화된 상법상 특수배임죄를 폐지하고, 20년 가까이 유지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의 ‘50억원 기준’을 현실에 맞게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자사주 제도에 대해선 소각 의무를 두더라도 임직원 보상이나 미래투자 활용 예외를 인정하고, 현재 1년으로 설정된 유예기간을 충분히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공정거래법을 비롯해 과도한 형벌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서울데이터랩]9월 9일 코스피 주요 종목 마감시황

    [서울데이터랩]9월 9일 코스피 주요 종목 마감시황

    9월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상상인증권(001290)은 전 거래일 대비 21.00% 상승한 824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금일 코스피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조선선재(120030)는 20.53% 상승한 131,50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한국주강(025890)은 16.13% 상승한 2,095원에 장을 마감했다. 코리아써키트(007810)는 15.50% 상승한 15,130원으로 장을 마쳤고, 인스코비(006490)는 14.00% 상승한 855원에 거래를 종료했다. 이아이디는 36.27% 하락한 65원에 거래를 마치며 코스피 하락률 1위를 기록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11.89% 하락한 3,225원에 거래를 마쳤고, STX엔진은 7.47% 하락한 44,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아스는 7.19% 하락한 7,870원, HJ중공업은 6.68% 하락한 27,250원에 거래를 끝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가 14,037,345주의 거래량을 바탕으로 2.00%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3,984,408주의 거래량으로 3.97% 상승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168,8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1.02% 상승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73,827주의 거래량으로 0.97% 상승했고, 삼성전자우는 1,227,594주가 거래되며 1.57% 상승했다. 현대차는 407,16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0.23% 상승했다. KB금융은 955,423주의 거래량을 바탕으로 3.00% 상승했으며, 기아는 599,237주의 거래량으로 0.57% 상승했다.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0.63% 하락한 945,000원, HD현대중공업은 1.37% 하락한 504,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금일 코스피 주요 종목들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개별 종목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시장의 변동성을 염두에 두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구윤철 “대주주 기준 의견 청취 중… 정부 결정 꼭 옳진 않아”

    구윤철 “대주주 기준 의견 청취 중… 정부 결정 꼭 옳진 않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주식 양도소득세를 내는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정부가 세법 개정안을 발표하면 국민 의견을 들어야 하고 지금 그런 과정을 거치는 중”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결정한 정책이 반드시 옳은 것만은 아니다”라며 이렇게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구 부총리의 발언에 대해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자본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정부가 발표한 세법 개정안에 대해 조정 가능성을 열어 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앞서 기재부는 양도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의 종목당 주식 보유액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세제 개편안을 내놨다. 하지만 지난 8월 1일 코스피가 3.88% 급락하자 투자자들은 세제 개편안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주식시장 부양이라는 새 정부 정책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정치권에서 쏟아지면서 기재부가 기준을 다시 검토 중이다. 일각에서는 구간을 세분화하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관련 증세 등 세제 관련 계획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냐’는 질문에 구 부총리는 “가능하면 세제는 부동산 시장에 쓰는 것을 신중히 추진하겠다”며 “부동산 상황이나 응능부담(납세자의 부담능력에 맞는 과세) 원칙 등을 보며 필요하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기재부를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하는 조직개편안이 발표된 것과 관련해 ‘부총리의 경제정책 조율 능력이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정책 조율을 오래 해 왔고 예산의 속성과 논리를 잘 알기 때문에 전혀 걱정이 안 들게 잘 조율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당국의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불법 체류자 단속에는 “외교부 중심으로 구금을 해제하고 한국으로 모셔 올 것”이라며 “제대로 설명하면 미국도 비자를 새로 하든지, 양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앙·지방, 교육재정 등 공공 부문 투자를 촉진해 연말까지 7조원을 추가 집행할 계획”이라며 “가용 재원을 총투입해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질서 재편기, 韓엔 기회… AI 혁신경제·재정 개혁·평화… 李정부 담대하게 미래 걷자” [문소영의 브라운백 미팅]

    “세계질서 재편기, 韓엔 기회… AI 혁신경제·재정 개혁·평화… 李정부 담대하게 미래 걷자” [문소영의 브라운백 미팅]

    첨단 기술이 외교·안보인 시대AI·기후 테크·바이오 분야 핵심다국적 기업 아시아본부 유치와세계적 기업 M&A 적극 나서야정부가 주택·보육·의료 해결해야720조 예산 제로베이스서 ‘새 판’ 국민연금 토지임대부 주택 투자출생 1억원 펀드 ‘연금제’ 고려를李대통령 임기 트럼프 3.5년 겹쳐한미가 함께 한반도 평화 열 기회북극항로 남북 관계 개선 가능성확실한 ‘내란 설거지’ 박수 받을 것당면한 내란 세력 척결이나 관세 전쟁, 정상 외교 등에 대응하느라 한국의 미래를 조망하며 큰 그림을 그리는 전략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현안은 현안대로 해결하고 미래는 미래대로 조망해 가야 이 혼란한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을 것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으로 ‘FTA의 강자’ 한국을 만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모이자 전략가인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을 지난달 27일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만나 한국의 미래를 탐색해 봤다. 개항기 이후 150년 만에 찾아온 세계 질서의 재편기에 이재명 정부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현시대를 세계사적으로 규정한다면. “인공지능(AI) 등 핵심적인 기술 전쟁에 기초한 세계 질서 재편기라고 볼 수 있다. 18세기 말 산업혁명기에 기술 경쟁에서 뒤처진 국가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19세기 영국과 중국의 아편 전쟁이 상징적으로 보여 줬다. 이번 재편기에는 미국과 중국이 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기술 경쟁의 핵심은 AI이며 기후 위기를 극복할 기후 테크(에너지) 활성화, 인간 수명 100세 시대를 대비하는 바이오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첨단 기술 자체가 외교이자 안보인 시대가 다시 도래했다.” -이 시기를 한국은 어떻게 돌파해 나가야 하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법을 차용해 볼 수 있겠다. 외환위기에서 탈출하고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최고경영자(CEO) 빌 게이츠를 청와대에서 면담한 뒤 벤처 육성에 올인하면서 정보기술(IT) 시대를 열었다. DJ 정부 때 기술주 중심의 코스닥 시장도 신설했다. 닷컴 버블 논란이 있었지만 IT 강국으로 불렸다. 이재명 정부도 AI와 바이오, 기후 테크 육성을 선언했다. 첨단 혁신기술 투자에 힘을 모으고 자금과 사람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한다면 ‘코스피 5000 시대’ 개막이 가능하다.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 등도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더 높여 신기술 발전의 마중물이 돼야 한다.” -혁신경제 성장에서 한국이 벤치마킹할 만한 나라들이 있나. “싱가포르 전략이 있다.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면서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 헤드쿼터(HQ)가 싱가포르로 다수 이전했다. 그 결과 HQ는 싱가포르 4000개, 홍콩 2000개, 중국 상하이 1000개, 일본 500개, 한국 82개 순이다. 1990년대와 달리 21세기의 한국에는 HQ 유치에 좋은 조건들이 형성됐다. 최근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세계적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인지도와 호감도가 급등했다. 전략적으로 다국적 기업의 HQ를 서울로 유치할 기회다. 두 번째로는 에마뉘엘 마크롱의 전략인데, 빅테크 기업 대표들을 한국에 초청해 이들의 비전을 전 부처 장관들은 물론 국민에게까지 공유·확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빅테크 기업들의 비전이 미래의 비전이다.” -산업화·민주화 시대 이후 한국 사회의 방향성은. “세계적인 기술 격변기에 한국이 성장할 수 있느냐, 성장한다면 과연 국민행복으로 연결될 수 있느냐, 국민행복으로 중산층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느냐 등과 연결돼 있다. 첨단 기술 경쟁에서 압도적인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국민의 일자리와 소득을 지킬 수 있다. ‘국민행복 5형제’로 주택, 보육, 의료, 노후연금, 문화생활 등을 손꼽을 수 있는데 이 중 정부가 주택·보육·의료를 해결해 줘야 한다.” -주택·보육·의료를 정부가 어떻게 해결하나. “재정에서 제로베이스 예산을 짜야 한다. 예산 구조조정이다. 전두환 정부와 노무현 정부 때 딱 두 번 해 봤다.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가 안 될 때와 1만 5000달러일 때, 3만 5000달러일 때 각각 돈 쓰는 구조가 달라야 한다. 내년 국가 예산 편성이 720조원을 넘는데 주택 정책과 보육·교육, 의료에 집중해야 한다. 매년 8조원이 들어가는 도로는 이제 그만 닦자. 집 문제는 싱가포르처럼 토지주택공사(LH) 등이 주체가 돼 토지임대부 주택을 운영해 보자. 국민연금이 해외 부동산에 50조원을 투자하는 대신 토지임대부 주택에 투자해 보자 등등이다. 또 공교육(70조원)과 사교육(40조원)에 110조원이 쓰이는데, 입시 교육으로 교사나 학생 모두가 괴로워한다. 효율적인 미래 교육이 필요하다. 부처를 따지지 말고 국가 소유의 땅을 잘 활용해서 국립 어린이집을 다수 확보해 육아를 돕는 방안도 있다. AI 시대에는 노후연금이 국민연금보다 더 잘 설계돼야 한다. 신생아가 탄생하자마자 1억원의 펀드를 조성하는 ‘평생국가연금제’ 도입도 고려할 수 있다. 네덜란드는 8만 농가가 130조원을 수출하는 반면 한국은 100만 농가가 13조원을 수출하는 구조다. 약 20조원인 농업 예산을 좀더 합리적으로 써야 한다.” -각국에서 이른바 극우가 득세하고 있다. “유럽식 복지 모델로는 중산층의 붕괴, 일자리 감소로 인한 정치적 양극화 등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이해한다. 유럽은 인구 6억 5000명인데 국내총생산(GDP)이 25조 달러이고, 미국은 3억여명인데 GDP가 30조 달러다. 생산성 차이가 3배이다. 유럽이 혁신경제 경쟁에서 실패했다는 의미다. 미국인들은 미국 우선주의에 열광한다. 유럽도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정당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각국이 혁신경제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를 늘리고 생산성을 높이지 못한다면, 이런 추세를 해결하기 어렵다.” -한국 젊은이들의 우경화에 대한 평가는. “한국 젊은이들은 새로운 기회를 원하고 있다. 집값은 올라가고 주식도 돈이 있어야 하니 세금이 없는 코인 거래에 쏠린다. 코인 거래량이 코스닥 거래량을 압도하지만, 정치권은 이 생태계를 방기했다. 20대 남성에게는 군대 문제도 심각하다. 혁신경제 시대에 걸맞은 일자리, 정치권이 이 문제를 해결한다면 우경화 현상도 점차 해소된다.” -한국 혁신경제가 겪는 문제는 무엇인가. “미국의 테크 기반 서비스 기업들이 한국에 와서 좌절했다. 대표적인 게 ‘우버의 좌절’이다. ‘일론 머스크가 한국에서 사업하면 교도소 간다’는 말이 있다. 규제 샌드박스로 규제 완화를 시도했는데, 해결하지 못했다. 자율주행차도 원격의료도 막혔다. 특히 원격진료는 코로나 때 일부 진행하다가 추가적 실험이 안 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미국의 경우 메타, 구글,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 등이 MS와 애플의 뒤를 이어 신경제를 이끌어가지만 한국에서는 네이버나 카카오 이후 걸출한 ‘2세대 기술 기업’이 나오지 않는다. 젊은이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려면 규제를 확 풀어 신경제로 전환하는 게 필요하다. ‘강남언니’(미용의료 플랫폼), ‘로톡’(법률상담 플랫폼)과 같은 플랫폼 기업들이 성공해야 한다.” -한국은 AI 혁신경제에서 얼마나 뒤처졌나. “2016년을 기점으로 할 때 박근혜 정부 1년+문재인 정부 5년+윤석열 정부 3년을 통틀어 9년이 늦었다. 2016년 3월 이세돌 9단이 AI인 알파고와 바둑을 둬 4대1로 패배하면서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줬다. 미국과 중국은 총력전을 펼쳤다. 한국도 그때 AI 개발에 뛰어들었어야 하는데, 낡은 리더십 탓에 못 했다.” -문재인 정부 때는 왜 못 했나. “적폐 청산에 너무 힘을 많이 뺐다. 2020년 총선이 끝난 뒤 ‘뉴딜 전략’을 제기했지만, 임기 중반 이후라 정책이 힘을 받지 못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2019년 방한해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게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라며 AI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투자를 강조했는데 정책 구현이 잘 안됐다. 게다가 2008년 이후로 미국과 중국 등에서는 국가의 역할이 강조됐는데, 한국 정치권은 경제성장을 여전히 시장 몫이라고 판단했다. 국가 ‘기획’ 경제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변화를 놓친 것이다. 사실 코인과 블록체인도 한국이 가장 빨랐지만, 여의도나 정부가 그 생태계를 외면했다. 스테이블코인 도입 시대에 한국은 크립토 경제에 벤처 지정도 안 해 주는 나라다.” -한국의 혁신경제 전략으로 추가할 만한 것은. “한국은 혁신경제에 필요한 원천 기술이 거의 없다. 세계적인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에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 문재인 정부 때도 미국의 크라이슬러나 웨스팅하우스, 영국 스탠다드차타드 아시아본부에 대한 M&A를 검토했었다.” -국가 연구개발(R&D) 개혁이 필요한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국가적 R&D 분배 때 세계적 석학을 모셔서 자문받을 필요가 있다. 한국은 연구 과제 중 98%가 성공한다. 잘못됐다. 성공률 20~30%인 도전적 과제에 뛰어들어야 ‘유의미한 실패’를 거둘 수 있다. 삼성 등 대기업이 내부에서 연구하기보다 대학들과 협력하는 산학 합동 연구를 하기를 권장한다. 대학의 연구 자금이 1조원대로 올라간다면, 결과 자체가 달라진다.” -이재명 정부에 조언을 한다면. “이재명 대통령과 한국 국민에게 기회의 시간이 왔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은 ‘정치적 IMF’였다. 그 여파로 서민 경제가 치명타를 입었다. 그래서 반전의 기회도 왔다. 첫째는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3.5년의 임기를 함께한다. 한반도 평화를 한미가 함께 열어 갈 기회가 있다. 특히 북극항로 개막과 관련해 미국·러시아와 함께 남북 관계 개선의 시나리오가 나올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 둘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외환위기 시기에 대기업 구조조정 틈에서 벤처 육성의 기회를 얻었듯이 이 대통령도 AI 혁신경제 생태계 형성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경제 위기를 극복할 제로베이스 예산과 같은 재정 개혁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넷째 특검의 ‘내란 설거지’는 야당의 자업자득인 만큼 각종 개혁에서 정치 보복 프레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미래로 담대하게 발걸음을 옮기기만 한다면 박수를 받을 것이다. 중도를 확실하게 안고 가야 한다.” ■이광재 전 사무총장은 강원도 출신으로 연세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 23세 때 국회의원 노무현의 보좌관을 시작으로 30대 후반에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40대에 국회의원(17·18대), 45세에 최연소 도지사(2010년)로 일했다. 그 후 칭화대, 민간 싱크탱크인 ‘여시재’를 거쳐 제21대 총선에서 당선됐고 2022년 국회 사무총장으로 일했다. 민주당 내 비전 제시와 후진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대한민국 어디로 가야 하는가’, ‘노무현이 옳았다’, ‘세계의 미래를 가장 먼저 만나는 대한민국’ 등이 있다. 문소영 대기자
  • ‘증시 달래기’ 나선 김민석 총리...거래소 방문해 ‘코스피 5000’ 의지 강조

    ‘증시 달래기’ 나선 김민석 총리...거래소 방문해 ‘코스피 5000’ 의지 강조

    김민석 국무총리가 한국거래소를 찾아 “역대 어느 정부보다 자본시장을 존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8일 거래소 임원 및 자본시장 전문가들과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새 정부 국정과제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윤수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주요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투자은행 이코노미스트 등이 참석했다. 김 총리는 “자본시장 등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 유입을 촉진해 경제 활력을 높이겠다”며 “성장 과실이 투자자에게 환원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겠다”고 자본시장 부양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참석자들은 최근 증시 상승세가 새 정부의 자본시장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코스피는 지난 6월 2일 이후 18.6% 상승해 스탠더드앤푸어스(S&P) 500(9.5%), 닛케이225(13.6%), 상하이종합지수(12.0%) 등 주요 글로벌 지수를 웃돌았다. 김 총리는 “현 정부 5년이 우리 경제의 명운을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자본시장의 기대에 부응하고 경제 활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이후 김 총리는 지난 7월 거래소 내 설치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을 방문해 불공정거래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그는 “불공정거래를 철저히 색출하고 엄정 대응해 투명하고 공정한 자본시장 육성의 토대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 [서울데이터랩]KB금융 1.75%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

    [서울데이터랩]KB금융 1.75%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

    코스피 주요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8일 오후 12시 20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005930)(액면가 100원)는 현재가 69,9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58%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비율 50.35%에 거래량 5,472,519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PER 15.61,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반도체 대장주인 SK하이닉스(000660)(액면가 5,000원)는 현재가 278,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65% 상승하며, 거래량 1,210,999주로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비율은 55.35%, PER은 7.01, ROE는 31.06으로 나타나 수급과 재정 지표 모두 양호한 상태다. 시가총액 3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2.99% 상승하며 주목받고 있다. 반면, KB금융(105560)은 1.75% 하락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셀트리온(068270) ▲0.89%,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94%, NAVER(035420) ▼1.09%, 한화오션(042660) ▼1.78%, 신한지주(055550) ▼0.93%, 삼성생명(032830) ▲0.33%, HD한국조선해양(009540) ▼1.63%, 삼성물산(028260) ▼0.14%, 현대모비스(012330) ▼1.08%, 카카오(035720) ▲1.11%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높은 외국인비율과 거래량을 바탕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거래량이 적은 종목들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금리인하 기대에 美 채권으로 ‘머니 무브’…국내 보관액 3거래일 만에 최대치 경신

    금리인하 기대에 美 채권으로 ‘머니 무브’…국내 보관액 3거래일 만에 최대치 경신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채권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매력이 한층 부각되고 있어서다. 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4일 국내 투자자의 미국 채권 보관금액은 216억 2259만 달러(한화 30조 445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최대치였던 지난 1일 216억 2080만 달러 기록을 3거래일 만에 갈아치웠다. 특히 지난달 한 달 동안에만 미국 채권 보관금액이 16억 4564만 달러(한화 2조 2866억원)가 늘며 증가 속도가 가팔라졌다. 7월 말 199억 1127만 달러였던 규모가 215억 5691만 달러로 약 8% 확대됐다. 7월 증가분(6억 7373만 달러)의 두 배가 넘는 수준으로, 6월 중 증가액 9억 5703만 달러와 비교해도 크게 앞선다. 이달에도 미국 채권 보관금액은 6568만 달러 추가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을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린 결과로 해석한다. 제롬파월 연준 의장이 최근 잭슨홀 미팅에서 물가보다 고용시장 둔화 위험에 더 무게를 둔 발언을 하면서 연내 최소 2차례 이상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힘이 실렸다. 금리가 내려가면 기존 채권 이자가 더 매력적으로 된다. 특히 미국 국채는 안정성이 높아 사실상 ‘무위험 투자처’로 평가된다. 6~7월 코스피가 크게 오를 때와 달리 8월 이후 증시가 잠잠해지면서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돈을 굴릴 수 있는 채권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에도 고용지표 부진이 이어지면서 연내 3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런 기대감은 주식시장보다 채권시장에 먼저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열린세상] 코스피 5000, 경제사에 기록될 것

    [열린세상] 코스피 5000, 경제사에 기록될 것

    최근 경제부총리의 “국내 증시 주가순자산비율(PBR) 10” 발언을 듣는 순간 투자자들은 귀를 의심했다. 일각에서는 경제수장의 자본시장 문해력을 비판하며 코스피 5000시대를 이끌 부총리로서의 자질론까지 제기했다. 더욱이 7월 말 기획재정부의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하향 등 세제개편안 발표 직후 시장 폭락을 경험했던 투자자들은 현 정부의 코스피 5000 추진 의지에 대해서도 의문부호를 던진다. 투자자들의 문제 제기가 침소봉대일 수도 있고, 부총리의 해명대로 PBR을 ‘주가수익비율’(PER)로 착각했을 수도 있다. 만일 그가 몰랐다면 이번 일을 기화로 자본시장 이해도를 높이면 되고, 실수였다면 향후 코스피 5000의 토대를 놓음으로써 자신의 진면모를 보여 오해를 씻으면 된다. 핵심은 이미 벌어진 해프닝이 아니라 향후 정책에서의 실효적 성과다. 하지만 코스피 5000 달성은 말처럼 간단치 않다. 낡은 한국 경제의 근본 틀을 뒤집고, 부동산에서 자본시장으로 머니무브를 일으켜야 하는 까닭이다. 우선 이제까지 정치권력은 주로 지배주주 손을 들어 줬다. 사익 편취 등 불·편법적 행위에 대해 관대했다. 관대한 만큼 소수 주주들은 피해를 입었다. 그 후과는 ‘자본시장의 기울어진 운동장’이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다. 스포츠도 기울어진 운동장 경기는 흥행할 수 없다. 최근 상법 개정 논의의 목적은 기업 지배구조의 평평한 운동장을 통한 자본시장 흥행, 곧 활성화다. 다음으로 부동산 불패 신화와 그것에 기댄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장사는 한국 가계 자산의 부동산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 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한국의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은 78%이지만 금융자산은 22%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 미국, 영국은 각각 부동산 40%, 35%, 40%이고 금융자산은 60%, 65%, 49% 수준이다. 우리의 과도한 부동산 편애를 웅변해 준다. 이처럼 코스피 5000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국 경제의 불공정성과 부동산 불패 신화 레거시를 깨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하지만 크게 두 가지 허들이 있다. 첫째, 정무적 허들이다. 다층적 이해관계가 분출하는 우리 사회에서 정부가 특정 정책을 밀어붙이면 지지층도 적이 되고, 반대층은 더 적이 되는 정치적 사면초가에 몰릴 수 있다. 재계와 부동산 대출 장사를 하는 은행권 등 기득권 카르텔과 척을 질 수 있다. 둘째, 단기주의 허들이다. 각종 거시지표의 가시적 성과에 연연하면 과거로부터의 관성, 즉 경로의존성에서 빠져나오기 어렵다. 어떻게 풀어 가야 할까. 우선 당정대 간 명료한 정책 우선순위와 위계 설정이 필요하다. 코스피 5000 정책을 최우선 과제에 놓으면 최적 로드맵을 설정하고 그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확장해 나가야 한다. 동시에 거시, 통화, 세제, 재정, 산업, 자본시장, 연기금 투자 정책 등을 코스피 5000에 맞게 일렬 정돈해야 한다. 최상위 목표 달성을 위해 여당의 조세 정의 원칙도 일정 기간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한다.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이 중요하다. 대통령실이 운전대를 잡고 유관 부처들을 설득하면서 추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부처 이기주의와 칸막이, 언론을 경유한 기득권의 반발, 관료사회의 보신주의와도 맞서야 한다. 명확한 시간표, 구체적 핵심성과지표, 공정한 성과 평가와 보상 등의 기제도 동시에 작동시켜야 한다. 신정부 출범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 새로운 문제들이 돌출되면서 당초의 목표는 잊혀지거나 희석될 수 있다. 새로운 도구적 목표가 원래의 목표를 대체하기도 한다. 그러나 생산적 자본시장 활성화를 통한 경제 대전환은 우리의 근본 과제이자 시대 요청이다. 이재명 정부가 이 과업 하나만 완수해도 역사는 그것을 기록하며 기억할 것이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 이재명 정부 증시 거래대금 석 달 새 36% 급감

    이재명 대통령 취임 3개월이 지난 가운데, 국내 증시 거래대금이 정권 출범 초보다 4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세제개편안 발표 직후 코스피가 박스권에 갇히면서 시장의 활기가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 3개월째인 지난달 4일부터 이날까지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9조 9023억원으로 집계됐다. ‘허니문 랠리’(정권 초 증시 상승)가 한창이던 출범 첫달(6월 4일~7월 3일) 일평균 거래대금 15조 5062억원보다 36.1%나 줄었다. 두달째(7월 4일~8월 1일)의 일평균 거래대금(12조 7837억원)에 비해서도 22.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일본의 닛케이지수 일평균 거래대금은 3조 3375억엔(약 31조원)에서 3조 6082억엔(약 34조원)으로 8% 이상 늘었다. 거래대금이 줄었다는 것은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줄고 대체 투자처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울 보여준다. 실제로 지난달 개인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2조원 가량을 순매도한 반면 미국 주식은 8763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 자금도 이탈했다. 외국인들은 새 정권 출범 첫 한달 동안 코스피 시장에서 3조 589억원을, 두달째에는 5조 1299억원을 사들이며 순매수 규모를 늘렸지만 석달째인 지난달엔 3909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가 주춤했던 8월 미국의 S&P500과 일본의 닛케이지수는 수차례 신고가를 경신하며 각각 1.9%와 4.0% 상승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