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코스피
    2025-11-09
    검색기록 지우기
  • 열대야
    2025-11-09
    검색기록 지우기
  • 연예기획사
    2025-11-09
    검색기록 지우기
  • 편의점
    2025-11-09
    검색기록 지우기
  • 강원도
    2025-11-0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138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대원전선 거래대금 1천7백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대원전선 거래대금 1천7백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원전선(006340)이 4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4,375원이며, 거래대금은 179,433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5%를 넘는 수준이다. 등락률은 +19.86%로 급등세를 보이며, PER 24.44, ROE 6.35로 재무지표도 양호하다. 삼성전자(005930)는 18,416,80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10,500원이며, 거래대금은 1조 9,995억원으로 시가총액의 3% 수준이다. 등락률은 +2.79%이다. PER은 24.68, ROE는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지표를 보인다. 디아이씨(092200)는 거래량 12,211,555주로 3위를 기록하며 현재가 6,420원, 등락률은 +29.83%로 상한가에 근접한 급등세를 보인다. 신성이엔지(011930)와 형지엘리트(093240)는 각각 5,495,436주, 5,274,142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등락률은 각각 +8.23%, -16.37%를 보인다. 한화솔루션(009830)은 5,015,454주의 거래량과 +9.31%의 등락률을 기록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SK하이닉스(000660) ▲8.77%, 삼성중공업(010140) ▲1.02%, 두산로보틱스(454910) ▲12.44%, HJ중공업(097230) ▼2.14%, 파미셀(005690) ▲4.48%, 삼성전자우(005935) ▲2.37%, 두산에너빌리티(034020) ▲0.34%, 한국전력(015760) ▲5.17%, 한화오션(042660) ▲1.89%, 미래에셋증권(006800) ▲4.56%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세를 보이는 대원전선과 디아이씨가 있다. 대원전선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5%를 넘으며, 높은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반면, 형지엘리트는 거래대금이 비교적 낮음에도 불구하고 -16.37%의 급락세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일부 종목의 급등세와 함께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기술주와 제약주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반도체 강세, 차·선 라인까지 질주… 내년 ‘오천피’ 핑크빛 전망

    반도체 강세, 차·선 라인까지 질주… 내년 ‘오천피’ 핑크빛 전망

    코스피 19.9% 상승 24년 만에 최고국민연금 수익 10개월 만에 200조원반도체값 상승 예상치 뛰어넘을 듯자동차 반등… 조선·이차전지 수혜JP모건 “육천피 달성도 가능할 것” 사상 처음으로 4100선 위에서 10월의 ‘불장’을 마무리한 코스피가 더 높은 곳을 바라보고 있다. 일각에선 내년 ‘오천피’(코스피 5000) 달성은 물론, 6000선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핑크빛 전망까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반도체의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과 함께 자동차와 조선 등 업종도 상승세에 힘을 보탤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달 31일 4107.50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4100선을 넘어선 건 사상 처음이다. 코스피는 10월 한 달 동안에만 19.94% 상승했다. 2001년 11월(19.72%) 이후 월간 수익률 기준 24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28.13%, 60.86% 오르며 지수 상승세를 이끌었다. 기록적인 불장 속에 국민연금 수익률도 크게 개선됐다. 지난해 말 1212조원 수준이던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운용자산은 지난달 말 기준 14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증시 호황 덕에 10개월 만에 200조원에 달하는 수익을 내면서 연간 운용 수익률도 지난해(15.32%) 수준을 훌쩍 뛰어넘을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증권가는 코스피의 상승세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연내 4300선을 터치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과 함께 내년 오천피 달성 예상이 힘을 얻는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대내외 요건이 받쳐줄 경우 ‘육천피’(코스피 6000) 달성도 가능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증권가 핑크빛 전망의 배경엔 10월 상승세를 이끈 반도체 업종이 자리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산업 확대로 내년에도 반도체 수요가 공급량을 뛰어넘어 반도체 가격 상승과 업계 호황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김형태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026년에도 반도체 수요는 공급량을 상회하며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가격 상승 흐름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관세 우려로 부침을 겪었던 자동차 업종의 반등도 예상된다.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한미 정상회담 이후 자동차 관세가 15%로 줄어들었고, 현대차는 지난달 31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2026년 관세 비용이 7조 8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며 “관세에 따른 일본 차와의 가격 경쟁 우려 등으로 눌려 있던 주가가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먼저 회복해 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외에도 한미·미중 정상회담 이후 제재 완화 및 사업 추진 기대가 커지고 있는 조선, 대미 수출 확대 가능성이 예상되는 이차전지, 증시 상승세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이는 증권 등도 상승세에 힘을 보탤 것으로 증권가는 예상했다.
  • ‘엔비디아 동맹 효과?’ 삼성전자 신고가 행진 속 코스피도 4100대 진입

    ‘엔비디아 동맹 효과?’ 삼성전자 신고가 행진 속 코스피도 4100대 진입

    코스피가 31일 사상 처음으로 4100선 위에서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와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 간의 연계 기대감이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50% 오른 4107.50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4100선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전날 코스피는 역대 최초로 장중 한때 4100선을 돌파하긴 했지만 장 마감을 앞두고 힘이 빠지면서 4086.89로 거래를 마친 바 있다.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의 선전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삼성전자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3.27% 오른 10만 7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10만 8600원까지 치솟으며 ‘11만전자’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장중 최고가와 종가 기준 최고가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다. 시총 6위 현대차의 주가도 날아올랐다. 현대차는 이날 9.43% 상승한 29만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장중 한때 29만 4000원까지 치솟으며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신고가를 새롭게 썼다. 이 외에도 NAVER(+4.70%)와 기아(3.18%) 등도 엔비디아와의 협력 기대감 속에 큰 폭으로 상승하며 지수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전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간의 ‘치맥’회동이 국내 증시 훈풍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엔비디아와 국내 기업 간의 AI 관련 신규 계약 체결 기대감이 커진 것이 주효했다. 이날 오후엔 엔비디아가 우리 정부와 국내 4개 기업(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투입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매수 심리를 더욱 자극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AI 거품론 우려 등 여파로 일제히 하락곡선을 그렸지만 국내 증시 상승세를 꺾진 못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간밤 미국 증시 정규장에서 기술주들이 하락하면서 장 초반 국내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듯했으나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과 애플이 시간 외 거래에서 상승하면서 기술주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며 “(또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오늘 APEC 연설에서 한국과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을 공개할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기대감을 끌어 올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들은 4일 연속 순매도세를 이어갔다. 이날 외국인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만 6052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투자자들도 201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기관투자자들은 8151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했다.
  • 미장 호황·경기 반등에 세수 실적도 개선됐다

    미장 호황·경기 반등에 세수 실적도 개선됐다

    올해 9월까지 세수가 지난해보다 34조원 더 걷혔다.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1.2% 깜짝 성장하면서 가장 덩치가 큰 소득세와 법인세를 중심으로 징수 실적이 개선됐다. 미국 뉴욕 증시 호황이 장기화하면서 양도소득세도 크게 늘었다.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9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9월 누적 국세 실적은 289조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조 3000억원 더 걷혔다.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기준으로 진도율은 77.8%다. 결산 기준 지난해 진도율 75.9%보다 높고 최근 5년 평균 77.7%와 비슷하다. 특히 법인세가 지난해보다 21조 4000억원 늘어난 76조원 걷혔다. 소득세도 지난해보다 10조 2000억원 늘었다. 근로소득세 증가와 더불어 해외 주식 호황에 따른 양도세수가 증가한 영향이다. 부가가치세는 환급 증가로 4000억원 줄었다. 증권거래세는 올해 세율 인하 영향으로 1조 5000억원 감소했다. 9월 한 달간 국세수입은 28조 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조 7000억원 늘었다. 특히 법인세가 3조 6000억원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기업 실적이 개선됐고, 올해부터 ‘대기업 가결산’이 의무화되면서 법인세 중간 예납 분납분이 늘어난 영향이다. 소득세도 5000억원 늘었다. 근로자 수와 총급여 지급액이 늘어 근로소득세가 많이 걷힌 결과다. 부가가치세는 소상공인·중소기업 부가세 납부 기한 연장분이 지난달에 걷히면서 9000억원 증가했다. 증권거래세는 1000억원 감소했다. 농어촌특별세는 코스피 거래 대금 증가로 2000억원 늘었다. 정부는 향후 국회 세법 논의과정에서 개정된 사항 등을 반영해 세수 추계를 갱신할 예정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11월 중순 이후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의 거시경제 지표, 조세소위 세법 개정 변동을 반영해 국회 심의 과정에 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삼성전자, HBM 내년 물량 사실상 완판했다… “증산 검토”

    삼성전자, HBM 내년 물량 사실상 완판했다… “증산 검토”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경쟁력을 회복하며 올해 3분기 7조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HBM의 내년 물량을 사실상 완판했다며 증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2조 1661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32.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영업이익 7조원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끌었다. 매출은 33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메모리는 HBM3E 판매 확대와 DDR5, 서버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의 수요 강세로 사상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HBM3E는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 중이고, HBM4도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 출하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5세대 제품인 HBM3E를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납품 사실을 공식화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3분기 HBM 판매 추세에 대해 이전 분기 대비 80%대 중반 수준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내년 HBM 생산 계획은 올해 대비 크게 확대해서 수립했다”면서 “다만 추가적 고객 수요가 지속되고 있어 HBM 증산 가능성에 대해 내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4분기 이후에도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일부 제품에서는 공급 부족 현상도 예상된다. 이에 삼성전자는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캐파(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AI 응용처 수요 확대에 대응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내년 메모리 투자는 적극 투자 기조 하에 전년 대비 상당 수준의 증가를 고려하고 있고, 전체 투자 중 D램 비중은 전년 대비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도 폴더블 신모델 출시 효과와 견조한 고급 스마트폰 판매 등으로 매출 48조 4000억원, 영업이익 3조 50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AI 산업의 성장으로 DS, DX 부문 모두 새로운 시장 기회가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삼성전자는 내년 하반기 전망에 대해선 “관세와 AI 관련 반도체 수출 제한 등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불확실성이 있어 더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의 선전으로 코스피는 종가(4086.89)와 장중 최고치(4146.72)를 모두 경신했다. 투자자예탁금도 지난 29일 기준 사상 최대인 85조 9159억원까지 불어나며 개미들을 중심으로 ‘불장’을 이어갔다.
  • 정책 띄우거나, 발목 잡히거나… ‘양날의 검’ 된 고위 공직자 SNS

    정책 띄우거나, 발목 잡히거나… ‘양날의 검’ 된 고위 공직자 SNS

    이재명 정부 고위 공무원들이 앞다퉈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SNS)에 뛰어들고 있다.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 홍보를 확대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후문이다. 모바일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시대에 SNS를 통한 정책 홍보가 신문·텔레비전·라디오보다 효과가 탁월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말 한마디가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인식될 수 있는 고위 공직자에겐 SNS가 ‘화근’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상당하다. 경제부처 한 국장급 공무원은 30일 “장관·차관·1급 실장에 이어 국장도 개인 SNS를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고위 공무원에 내려진 ‘SNS 소통’ 지시는 대통령실에서 출발해 문화체육관광부를 거쳐 각 부처에 전달됐다. 관가는 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지시로 인식하고 있다. ‘SNS 권하는 정부’라는 기조에 발맞춰 최근 고위직의 SNS 출연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공개되지 않았던 한미 관세 협상 뒷이야기를 풀어놓았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유튜브 채널 ‘경읽남’(경제 읽어주는 남자)에서 경제 정책을 홍보하는 동시에 자신의 말실수(“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 10”)도 해명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김민석TV’,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윤호중TV’,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김성환TV’,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김영훈TV’,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김윤덕TV’,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전재수TV’,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주병기TV’를 개설하고 일거수일투족을 공개하고 있다. 베일에 싸였던 ‘비공개 회의’까지 엿볼 수 있다. 고위 공직자의 SNS 홍보는 ‘최소 비용, 최대 효과’라는 경제 원칙에 부합한다. SNS는 사실상 무자본이면서 전파력은 막강하기 때문이다. 국민과의 소통 수단으로도 SNS만 한 매체가 없다. 정부 관계자는 “SNS로 정책을 홍보하라는 지시에는 불필요한 홍보 예산을 아끼라는 뜻도 담겼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부작용도 크다. 이상경 전 국토부 1차관이 부읽남TV에 출연해 “돈을 모아 뒀다가 집값이 떨어지면 사라”는 말로 설화를 일으키고 끝내 자진 사퇴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SNS에서 한 번 내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고 순식간에 확산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SNS가 ‘양날의 검’이란 평가도 나온다. 그런데도 “SNS로 국정 과제를 홍보하고 직접 소통하라”는 기조가 이어지면서 난감함을 호소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공직자 본분을 유지하며 점잖게 SNS를 하면 해당 채널에서 싫어하고 조회수가 안 나오는 것은 물론 정책 홍보 효과가 떨어진다. 그렇다고 마음을 터놓고 국민과 소통하면 자칫 말실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사회부처의 한 국장급은 “대통령이나 정치인 출신 장관들은 SNS에 능숙하지만 공무원들은 SNS가 부담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제부처 한 국장급도 “공적인 영역에서 일하는 공무원이 지극히 사적인 영역을 대표하는 SNS를 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불만을 터트렸다. 이 밖에 “고위 공무원이 SNS 소통에 집중하다 본업에 소홀해질 수 있다”, “장차관의 개인 SNS를 관리하는 직원을 별도로 두는 건 혈세 낭비”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 4000 넘긴 코스피, 리서치센터장들 “5000 도약엔 정책 의지 중요”

    4000 넘긴 코스피, 리서치센터장들 “5000 도약엔 정책 의지 중요”

    인공지능(AI) 반도체주가 주도하는 국내 증시 급등세 속에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은 내년 코스피가 4000대 중반을 넘어, 낙관적인 경우 5100선 돌파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다만 이를 실현하려면 일관된 정책 의지와 기업 실적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30일 한국거래소가 개최한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시장전문가 간담회’에서 주요 리서치센터장 및 이코노미스트는 국내 증시가 맞이한 새로운 국면과 향후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비롯해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 이병건 DB증권 리서치센터장, 고태봉 iM증권 리서치본부장,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 김진욱 한국씨티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 등이 참석했다. 정 이사장은 모두발언에서 “코스피 지수가 연초 대비 70% 가까이 상승하며 주요 20개국(G20)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과 신뢰받는 시장으로 나아가는 것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증시 상승세가 반도체 실적 회복, 견조한 수출 흐름, 글로벌 유동성 확대 등에 힘입은 결과라면서도, 추가 상승을 위해선 정책 일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병건 D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원화 기준 수출 실적 개선와 반도체 이익 전망치 상향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며 “다만 정부 출범 이후 정책적 변화는 크지 않았다. 지수가 더 움직일 여지는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 세계 신용 팽창이 사상 최고 수준인데다 금리 인하까지 겹치며 유동성 환경이 좋다”면서도 “정책적 의지 표명에 비해 실제 시장 체감 조치는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구체적 과제로는 배당소득세 완화, 상법 개정, 자사주 매입·소각 등 기업 가치 제고 노력을 꼽았다. 증시가 특정 업종과 투자자군에 쏠려 있다는 점도 우려로 제기됐다.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주식거래 주체의 비중 전환이 필요하다”며 “외국인 투자자 유입을 늘릴 수 있는 우호적 정책을 마련해야 국내 시장의 밸류에이션 매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고태봉 iM증권 리서치본부장은 “국민성장펀드가 기업 체질 개선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며 “기업이 성장하지 못하면 배당과 자사주 소각 등으로 국민에게 자본을 환원하는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율 불안 역시 외국인 투자 유입의 걸림돌로 지목됐다. 최광혁 LS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긴 상황에서 구두개입이 더 자주 필요하다”며 “환율이 고점에서 안정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신호가 나와야 외국인이 환차익을 노리고 들어온다”고 말했다. 김진욱 한국씨티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한미 투자협상이 무난히 타결되며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환율 리스크가 여전히 크다”고 분석했다. 내년 코스피 전망에 대해선 낙관론과 신중론이 교차했다. 고태봉 본부장은 “AI 슈퍼사이클이 현실화된다면 주가지수 5000을 넘길 수 있다”며 “상법 개정을 통한 거버넌스 개선과 산업 고도화가 병행된다면 코스피 5100 돌파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반면 이종형 센터장은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정부의 주식시장 부양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가정할 경우 코스피 상단은 4500선 정도로 본다”고 말했다. 최광혁 센터장 역시 “내년 상반기에는 4600선 전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AI 투자가 경제 성장률에 얼마나 실질적 영향을 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엔케이 거래대금 454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엔케이 거래대금 454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엔케이(085310)가 2천7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559원으로, 시가총액의 3.70%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에 비해 3.45%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PER -77.95, ROE 0.50으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삼성전자(005930)는 거래량 2,385만3,585주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104,200원이다. PER 23.27, ROE 9.03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4.02%에 해당한다. 대원전선(006340)는 2,221만6,165주가 거래되며 3위에 올랐다. 현재가는 3,665원으로, 3.97%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KBI동양철관(008970)는 0.66% 상승하며 1,487만5,798주가 거래되었고, 삼성중공업(010140)는 8,930,028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1.67% 상승한 상태이다. 이러한 종목들의 동향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한해운(005880) ▲1.33%, HJ중공업(097230) ▼1.32%, 메타랩스(090370) ▲5.78%, 한화오션(042660) ▲7.88%, 흥아해운(003280) ▼1.97%, 윌비스(008600) ▲3.46%, 동양(001520) ▼3.51%, 삼성전자우(005935) ▲2.75%, SK증권(001510) ▼0.70%, 카카오(035720) ▼5.10%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상승률이 높은 한화시스템(272210)는 1,473만주 이상의 거래량과 함께 14.73%의 급등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반면, 하락률이 큰 종목 중 하나인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시가총액 대비 1.17%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5.50%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 시장은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이 혼재된 가운데, 투자자들의 매수와 매도 공방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계속해서 변동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JP모건 “1년 내 코스피 5000P, 강세장 땐 6000P도 가능”

    JP모건 “1년 내 코스피 5000P, 강세장 땐 6000P도 가능”

    국내외 기관들, 전망치 잇따라 높여빚투 열기, 신용융자 잔고 25조 육박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이재명 정부의 ‘오천피’(코스피 5000) 구상을 넘어 ‘육천피’(6000) 가능성까지 제시했다. 코스피가 1년 내 5000선을 돌파하고, 강세장에서는 6000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0.74 포인트(1.76%) 오른 4081.15에 마감했다. 지난 27일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넘어선 지 불과 이틀 만에 4100선을 눈앞에 뒀다. 이날 코스피는 4051.54에 상승 출발해 장 초반 등락을 거듭하다 오후 들어 4070선을 돌파, 장 막판 4084.09까지 오르며 장중·종가 기준 최고치를 모두 새로 썼다. 기존 최고치는 지난 27일 종가(4042.82)였다. 간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두 번째 정상회담 기대감이 지수를 밀어 올렸다. 이날 오후 2시 12분쯤 이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북 경주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며 무역 협상 타결 기대감이 높아졌다. 여기에 SK하이닉스가 개장 직전 발표한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11조 3834억원)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삼성전자는 다시 10만원대를 회복했고 SK하이닉스도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며 55만 8000원에 마감했다. 국내외 기관들은 코스피 전망치를 잇따라 높이고 있다. JP모건은 코스피 12개월 목표치를 5000으로 올리고, 강세장 시나리오에서는 6000선 돌파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불과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연말 코스피 밴드를 3200~3500선으로 전망하며 2년 내 5000선을 제시했는데 이번 보고서에서 ‘오천피’ 달성 시점을 6개월 이상 앞당겼다. 추천 업종으로는 메모리반도체, 금융, 지주사, 방산, 조선, 설비투자 등을 꼽았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KB증권이 내년 연간 목표치를 5000선으로 제시하며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KB증권은 현재 장세를 3저 호황(1968~1989년)과 브릭스(BRICS) 시대(2004~2007년)에 이은 ‘세 번째 강세장’으로 평가했다. 한편 증시가 호황을 보이면서 ‘빚투’(빚내서 투자) 열기도 달아오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4조 8230억원으로 25조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달 초와 비교하면 1조 4772억원 늘었다. 신용거래융자는 증권사가 투자자 주식 등을 담보로 일정 기간 매수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다.
  •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전자 거래대금 1조 2천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전자 거래대금 1조 2천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전자(005930) 거래대금 1조 2천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2위 두산퓨얼셀(336260) 3위 파미셀(005690) 4위 두산에너빌리티(034020)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1,242만8,837주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00,400원으로, 시가총액의 20.92%에 해당하는 1조 2,438억원의 거래대금이 발생했다. PER은 22.43, ROE는 9.03으로 재무 상태는 양호하다. 두산퓨얼셀은 12,175,417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42,550원이다.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1,779.64%에 해당하는 496,016백만원으로, PER은 -154.17로 적자를 보이고 ROE는 미제공 상태다. 파미셀은 18,100원으로 10.37% 상승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11,918,429주로 3위를 차지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93,900원으로 8.68% 상승하며 거래량 9,606,238주를 기록 중이다. 메타랩스(090370), 카카오(035720), 메타케어(118000), 대원전선(006340), 삼성중공업(010140), 신성이엔지(011930)는 각각 거래량 4위에서 10위에 랭크되어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한전선(001440) ▲6.41%, 동양(001520) ▼3.85%, 현대건설(000720) ▲6.68%, HJ중공업(097230) ▲0.08%, SK하이닉스(000660) ▲5.57%, 신원(009270) ▼6.04%, 한세엠케이(069640) ▲26.50%, 이수화학(005950) ▼0.64%, 한국전력(015760) ▲1.82%, 대한해운(005880) ▼1.33%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메타랩스와 한세엠케이가 있다. 메타랩스는 9.24%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거래대금은 21,827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3.8%에 해당한다. 한세엠케이는 26.50% 급등하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639.39%에 달하고 있어 시장에서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신원과 대한해운은 각각 6.04%와 1.33%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다양한 종목들이 뚜렷한 상승세와 하락세를 보이며 엇갈린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종목은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아 급등하는 모습이지만, 동시에 다른 종목들은 거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 -4.48%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서울데이터랩]파마리서치 -4.48%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파마리서치(214450) -4.48% 하락하며 가장 큰 등락폭 기록 에코프로(086520) -3.91%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51% 코오롱티슈진(950160) -2.64%...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469,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47% 하락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은 250,942억 원이며, 외국인비율은 13.78%로 나타난다. PER은 265.87배, ROE는 29.52%를 기록하고 있으며, 거래량은 163,247주로 집계된다. 그 뒤를 잇는 에코프로비엠(247540)은 현재가 172,300원으로 1.03% 하락했다. 시가총액은 168,512억 원, 외국인비율은 12.87%다. PER은 -217.55배, ROE는 -6.26%를 기록하고 있으며, 289,092주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3위부터 10위까지의 종목을 살펴보면, 에코프로는 3.91% 하락,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0.44% 상승, HLB(028300)는 1.57% 상승, 펩트론(087010)은 1.15% 상승, 파마리서치는 4.48% 하락, 리가켐바이오(141080)는 1.53% 하락, 삼천당제약(000250)은 0.23% 상승, 에이비엘바이오는 2.51%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시가총액 20위권 종목들은 리노공업(058470) ▲1.22%, 보로노이(310210) ▼1.69%, 코오롱티슈진 ▼2.64%, 케어젠(214370) ▼1.64%, 원익IPS(240810) ▲8.88%, 휴젤(145020) ▼2.61%, 클래시스(214150) ▼3.06%, 이오테크닉스(039030) ▲3.04%, HPSP(403870) ▼2.37%, JYP Ent.(035900) ▼1.5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주요 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며, 일부 종목들은 보합세를 유지하는 반면, 하락세를 기록한 종목들도 다수 존재한다. 특히 파마리서치가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내년 상반기 코스피 5000 달성도 가능”

    “내년 상반기 코스피 5000 달성도 가능”

    AI·반도체가 지수 상승 핵심 동력PBR 1.33배… 대만·중국보다 낮아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한 가운데 ‘5000 시대’ 진입 가능성을 둘러싼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인공지능(AI)과 반도체가 지수 상승의 핵심 동력이라고 진단하면서 산업 구조와 기업 실적이 지속적으로 뒷받침한다면 5000선 돌파도 가능하다고 봤다. 서울신문이 28일 의뢰한 전문가 9명 가운데 6명은 내년 상반기 코스피 5000선 돌파가 ‘가능하다’고 봤다. 나머지 3명은 코스피가 과대평가 돼있다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신승진 삼성증권 팀장은 “AI 투자 확대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이익 추정치가 올라가고 있으며, 외국인 비중이 확대돼 지수 상단을 지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AI 기반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지속되고 정부의 부양 기조가 이어질 경우 5000선 돌파 가능성을 충분히 열어둘 수 있다”며 “다만 정책 추진력이 끊기지 않아야 한다”고 조건을 달았다. 김영일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도 “글로벌 금리 인하와 재정 확대가 결합하면 AI·반도체 실적 개선을 통해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코스피 5000 시대 관건으로 ‘정책 일관성과 자본시장 체질 개선’을 짚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노란봉투법·중대재해처벌법 등 기업 규제에 따른 문제가 없을지 점검하고 첨단산업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김영일 센터장은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여전히 글로벌 주요국 대비 낮은 만큼 정책 신뢰가 유지되면 외국인 자금이 구조적으로 유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기준 코스피지수의 PBR은 약 1.33배로, 대만(3.6배)이나 중국(1.6배)보다 낮다.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미 통상협상이 지연될 경우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했고, 최재원 서울대 교수는 “퇴직연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돼야 수급이 안정된다”고 했다. 이종형 센터장은 “정책 일관성과 세제 개편이 유지돼야 시장 기대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실적 기반이 약한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5000 시대는 열리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 교수는 “지금 코스피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23% 과대평가돼 있다”며 “GDP 성장률(명목 4%)을 고려하면 내년 기대 수익률 역시 5~6% 수준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증시도 실물 경제가 좋아져야 개선된다”며 “내년 경제가 올해보다 좋겠지만 코스피를 5000까지 끌어올릴 정돈 아니다”라고 했다. 김학주 한동대 ICT창업학부 교수 역시 “이번 반도체 강세는 구조적 상승이 아닌 ‘사이클 장세’”라며 “AI 추론형 수요와 IT 교체 수요가 맞물리며 단기 랠리를 만들었지만 산업 기반의 지속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라고 했다. 또 “상법 개정안 통과 시 외국인 자금 유입은 확대될 수 있지만, 국내 제조업 경쟁력은 여전히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주도주로는 조선·방산·증권·금융·첨단산업이 꼽혔다. 이종형 센터장은 “조선·방산·증권 등 실적이 뒷받침되는 업종이 2차 상승을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 내수 깜짝 활기에… 올해 1%대 성장 ‘파란불’

    내수 깜짝 활기에… 올해 1%대 성장 ‘파란불’

    정부는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다”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 3분기 소비쿠폰 효과에 따른 내수 회복과 반도체 중심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예상(1.1%)을 웃도는 1.2% 성장률을 기록하면서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서 지난 3분기 GDP가 전기 대비 1.2%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이에 따라 올해 1% 성장률 달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4분기에 전기 대비 성장률이 -0.1∼0.3% 정도 나오면 연간 1%(0.95∼1.04%)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면서 “기존 전망대로 4분기에 0.2% 성장하면 연간 성장률은 1%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8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3분기와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1.1%, 0.2%로 제시했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도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3분기 성장률이 (기재부) 내부 전망보다 더 좋았다”면서 “미중 및 한미 관세 협상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기존 전망(0.9%)보다는 1% 성장률을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3분기 성장은 내수가 주도했다. 민간 소비, 정부 소비, 설비투자 등 내수가 끌어올린 성장률이 전체 1.2% 가운데 1.1% 포인트를 차지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민간 소비 증가율은 1.3%로 2022년 3분기(1.3%) 이후 3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승용차와 통신기기 등의 재화 소비와 음식점과 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물건비와 건강보험 급여비 위주로 1.2% 성장했는데, 2022년 4분기(2.3%) 이후 2년 9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이 소비 회복세를 이끌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이 국장은 “소비쿠폰이 지난 7월 21일부터 지급됐는데 음식점, 병원, 의류·잡화, 안경, 이·미용 등 다양한 품목에서 사용됐다”면서 “3분기 민간 소비 증가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수출은 미국 관세 우려에도 반도체, 자동차를 중심으로 1.5% 증가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부진 등으로 0.1% 감소했다. 6분기 연속 역성장이다. 다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고 소비쿠폰의 효과가 줄어들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이 국장은 “관세 탓에 미국 수출이 줄어드는 자동차 등이 4분기에 어떻게 대응할지 봐야 한다”면서 “2차 소비쿠폰 효과, 안전사고 관련 공사 중단 등이 건설투자에 미칠 영향과 불확실성도 향후 경제 성장에 중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증시 호조에도 의미를 부여했다. 김 국장은 “외국인이 6월 이후로 약 20조원을 순매수하고 있다”면서 외국인의 ‘바이코리아’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시중 자금 흐름이 부동산에서 자본시장 등 생산적 부문으로 대전환해 ‘코스피 5000’을 달성하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 “‘바이 더 딥’ 전략에 ‘바이 코리아’ 계속된다”

    “‘바이 더 딥’ 전략에 ‘바이 코리아’ 계속된다”

    ‘코스피 4000’ 돌파 등 국내 증시 호황을 이끈 외국인 투자자 사이에 ‘바이 더 딥’(Buy the Dip·저가 매수) 전략이 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K증시 호황이 계속 이어질거란 전망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최근 경제상황 관련 브리핑에서 “외국인이 6월 이후 약 20조원을 순매수하고 있다”면서 “외국인의 ‘바이 코리아’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 매력을 긍정 평가하면서 목표 주가를 상향하거나 ‘바이 더 딥’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외국인 투자자 사이에 한국 증시가 투자할 만한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또 “상법개정,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등 정책 효과도 증시의 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김재훈 경제정책국장은 “앞으로 시중 자금 흐름이 부동산에서 자본시장 등 생산적 부문으로 대전환해 ‘코스피 5000’ 달성하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10월 28일 코스피 주요 종목 마감시황

    [서울데이터랩]10월 28일 코스피 주요 종목 마감시황

    10월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두산퓨얼셀(336260)은 전 거래일 대비 29.94% 상승한 40,8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금일 코스피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진칼우(18064K)는 29.90% 상승한 40,40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메타랩스(090370)는 29.77% 상승한 2,110원을 기록했다. 두산퓨얼셀1우(33626K)는 22.05% 상승한 8,910원에, 두산퓨얼셀2우B(33626L)는 18.21% 상승한 13,24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 하락률에서는 한화가 8.40% 하락한 98,200원을 기록하며 하락폭이 가장 컸다. 에스엠벡셀은 8.32% 하락한 2,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오션플랜트는 7.16% 하락한 22,050원, SK스퀘어는 6.69% 하락한 272,000원, 한화엔진은 6.04% 하락한 48,200원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LG에너지솔루션이 553,394주의 거래량을 바탕으로 3.03% 상승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62,6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1.99% 상승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9,619,962주의 거래량으로 5.49% 상승 마감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19,830,209주가 거래되며 2.45%의 하락세를 기록했고, SK하이닉스는 5,546,461주의 거래량으로 2.62% 하락했다. 삼성전자우는 2.63% 하락, HD현대중공업은 4.81% 하락을 기록했다. 금일 코스피 주요 종목들은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모습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동성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투자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금테크 대박’ 김구라, 알고 보니 투자 귀재 “‘이 주식’ 수익률 100%…돈 자랑 아냐”

    ‘금테크 대박’ 김구라, 알고 보니 투자 귀재 “‘이 주식’ 수익률 100%…돈 자랑 아냐”

    방송인 김구라가 삼성전자 주식 투자를 통해 100%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 지난 22일 김구라의 유튜브 채널 ‘그리구라’에는 ‘전력이 미래다? 지금 주목해야 할 종목 톱3’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날 영상에서 김구라는 “주식 거래 앱에서 보유 종목을 수익률 기준으로 정렬해 본다”며 “마이너스 종목이 위쪽에 있고 수익률이 좋은 종목은 아래쪽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가장 아래쪽에는 삼성전자가 있다”며 “100% 정도 수익률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 27일 사상 처음으로 10만원 선을 돌파했다. 지난해 3월 8만원을 넘긴 뒤 하락세를 보였던 삼성전자 주가는 같은 해 11월 장중 4만9900원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들어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한 이후 주가 회복세가 뚜렷해졌고 최근 코스피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상승 흐름에 탄력을 받았다. 여기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력 강화와 잇따른 대형 수주 소식도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테슬라와 약 23조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700조원 규모로 알려진 오픈AI의 인공지능(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도 참여한다. 한편 김구라는 최근 ‘금테크’ 성공담을 전해 주목받았다. 그는 “5년 전에 금을 1억원어치 샀다”며 “몇 년 전 금값이 많이 올라 팔려고 했지만, 아내가 말려서 그대로 뒀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얼마 전에 시세를 봤더니 3억4000만원이 돼 있었다”라고 해 놀라움을 자아냈다. 이 소식은 국정감사에서도 언급됐다. 지난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은 “김구라 씨가 5년 전 금을 1억원어치 샀는데 현재 시세가 3억4000만원이 됐다는 보도를 보셨냐”며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금 시장에 대응했다면 외환보유고가 더 높아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구라는 지난 25일 자신의 채널을 통해 “포털에 ‘김구라 금 투자 대박’ 내용이 담긴 기사가 떴더라. 그런가보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걸 국감장에서 발 빠르게 가져다 붙였다”라고 말했다. 그는 “내 이름을 얘기하면 그나마 주목도가 있으니까”라면서 “제가 돈 자랑 하려고 말한 게 아니다. 제 나이가 지금 55세인데 전처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손해를 봤지만, 그 후에 일을 열심히 해서 이제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실 그 정도 재테크는 바보 천치가 아닌 이상 다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덧붙였다. 김구라는 2015년 전처의 채무와 보증에 의한 재산 가압류 문제로 이혼했으며 이후 약 17억원의 빚을 3년 만에 모두 상환했다. 2020년 12살 연하 비연예인과 재혼한 그는 이듬해 딸을 품에 안았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중공업 거래대금 4,478억원 기록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삼성중공업 거래대금 4,478억원 기록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중공업(010140)이 1,50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29,850원으로, 거래대금은 4,478억원에 이르며 시가총액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PER 92.70, ROE 1.77을 기록하여 다소 높은 가치 평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2,592,201주가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99,850원으로 거래대금은 1조 2,574억원에 달하며 시가총액의 2.12%를 차지하고 있다. PER 22.30, ROE 9.03으로, 안정적인 수급과 재무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메타랩스(090370)는 현재가 2,020원으로 폭등하며 +24.23%의 등락률을 기록했고, 거래량은 10,481,245주에 이른다. 두산퓨얼셀(336260)은 36,900원으로 급등하며 +17.52%를 기록, 거래량은 10,206,068주로 나타났다. 이수화학(005950)은 12,920원으로 +16.08%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9,667,247주이다. 동양(001520)은 보합세를 유지하며 거래량 9,049,941주를 기록했고, 대한전선(001440)은 19,510원으로 +2.90% 상승하며 7,514,781주가 거래됐다. 대원전선(006340)은 3,185원으로 +0.16% 소폭 상승했으며, 7,361,338주가 거래됐다. 신성이엔지(011930)는 2,005원으로 +2.77% 상승, 거래량은 6,397,807주를 기록했고, 에이프로젠(007460)은 650원으로 +5.18% 상승하며 5,753,730주가 거래됐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32%, HJ중공업(097230) ▼5.86%, 애경케미칼(161000) ▲2.85%, 카카오(035720) ▲4.76%, SK증권(001510) ▲1.12%, SK하이닉스(000660) ▼3.36%, 한국전력(015760) ▲2.09%, 후성(093370) ▼0.21%, 대한해운(005880) ▲2.23%, 파미셀(005690) ▼3.12%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메타랩스와 두산퓨얼셀이 있다. 메타랩스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4.16%에 해당하며, 폭등한 등락률을 기록하여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두산퓨얼셀 역시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5%에 이르며 급등한 등락률을 보이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2.11%, ▼3.36% 하락하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2% 이상을 차지해 매수 매도가 치열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코스피 시장은 이날 엇갈린 흐름을 보이며, 일부 종목에서는 강한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2% 이상을 기록한 종목들 중에서는 급등 또는 급락 종목들이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코스피 4,000 돌파에도 소형주 소외, 대형주 독주 우려

    [서울데이터랩]코스피 4,000 돌파에도 소형주 소외, 대형주 독주 우려

    코스피 지수가 4,000점을 넘어서며 시장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대형 주식의 급등으로 인해 소형 및 중형주들이 주목받지 못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특히 유가증권 시장에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주요 대형 주식들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소형주들의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은 이러한 시장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형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소형주에 대한 관심을 높임으로써 시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이 소형주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재 코스피 시장에서 대형주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소형주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에게 큰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소형주에 대한 투자에 나선다면, 보다 다양한 주식들이 주목받고 시장이 더욱 균형 있게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변화 가능성을 주시하며 각자의 투자 전략을 재정비하고 있다.
  • [사설] 주저앉는 계층 사다리… ‘금수저 흙수저’ 점점 굳어져서야

    [사설] 주저앉는 계층 사다리… ‘금수저 흙수저’ 점점 굳어져서야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어제 내놓은 ‘2023년 소득이동통계’에 따르면 소득분위 이동성이 34.1%로 3년째 떨어졌다. 1100만명의 근로·사업소득을 분석한 결과다. 상위 계층 이동은 17.3%에 그쳤다. 2022년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이듬해 소득분위가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이라는 의미다. 소득분위별 유지율은 상위 20%(5분위)가 85.9%로 가장 높다. 진입은 어렵지만 일단 상위 계층이 되면 하락할 가능성이 적다. 저소득층인 1분위는 70.1%로 두 번째다. 하위 계층으로 떨어지면 벗어나기가 힘들다. ‘돈이 돈을 버는’ 부동산·주식 등 자산소득이 더해지면 이동성은 더 떨어지고 불평등이 심해진다. 국회입법조사처가 그제 발표한 ‘다차원적 불평등지수’는 2011년 0.176에서 2023년 0.190으로 상승했다. 소득·자산·교육·건강 등 부문별 불평등을 반영했는데 다른 부문과 달리 자산 불평등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가구 자산의 75%가 부동산인 만큼 집값 상승이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코스피가 어제 사상 처음 4000을 넘었지만 서민경제는 냉골이다. ‘똘똘한 한 채’는 연일 신고가를 기록하는데 지방은 미분양에 시름하고 있다. 자영업자 중에서 소득 하위 30%의 연체율은 2.07%(6월 말 기준)로 석 달 사이 0.15% 포인트 뛰었다. 반면 고소득과 중소득 자영업자 연체율은 줄었다. 청년(15~29세) 고용률은 17개월 연속 떨어져 근로소득 접근 자체가 어렵다. 자산소득이 근로소득을 압도하고 부의 대물림이 고착화되면 건강한 노동윤리가 형성되기 어렵다. 불평등이 대물림되지 않도록 부동산·금융·고용 등 모든 분야에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불평등은 경제는 물론 사회 통합에 악영향을 미쳐 국가 발전을 저해한다. 당장 벼락같이 오르는 집값부터 잡을 수 있는 공급대책이 나와야 한다. ‘코스피 4000’이 국민들의 자산 증식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배당소득 등 관련 법안도 속히 손질하길 바란다.
  • 코스피 1989년 3월 31일 첫 1000P 돌파… 2008년 금융위기에 1000선 무너지기도

    코스피 1989년 3월 31일 첫 1000P 돌파… 2008년 금융위기에 1000선 무너지기도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며 새 역사를 썼다. 이는 장기간 정체와 수차례 위기의 역사를 거친 뒤 가파르게 상승해 얻은 값진 결과물이다. 국내 주식시장은 1956년 3월 첫 거래를 시작했다. 12개 상장사로 개장한 이래 기업들의 상장이 이어지면서 이들의 가격을 종합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지수를 몇 차례 만들어 사용했다. 그러다가 1983년 1월 4일부터 1980년 1월 4일의 가격을 기준지수 100으로 삼은 시가총액 방식의 코스피 지수를 산출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코스피는 1989년 3월 31일 3저(저유가·저금리·저환율) 호황을 등에 업고 처음으로 1000포인트를 돌파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등으로 1000대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코스피는 2000년대 들어경제 회복과 중국의 경제 급성장 등에 힘입어 2007년 7월 2000대로 올라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오면서 다시 1000선 아래로 밀려났다가, 2010년 이후에도 약 5년 동안 1800~2200대 박스권에 머물렀다. 2017년 들어 세계 반도체 경기 호황에 힘입은 코스피는 그해 10월 2500선을 넘어서기도 했지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주도한 무역분쟁 탓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2020년 3월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아 1500선까지 추락했다. 그러던 중 ‘동학개미’들이 국내 증시로 몰리고, 세계 각국이 ‘제로 금리’ 정책으로 경기 부양에 나서면서 코스피는 다시 반등했다. 2021년 1월엔 3000포인트에 도달했고 그해 6월 25일엔 장중 3316.08로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지난해엔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도 국내 비상계엄 사태로 한때 2300선까지 밀리면서 주요 20개국(G20) 주가 지수 상승률 꼴찌의 불명예를 안았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증시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지난 6월 3000에 이어 이날 4000을 넘으면서 올해 주가 지수 상승률(이달 27일까지)은 68.49%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