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최치봉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황경근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홍희경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김상연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 텔레@KWVWS스틸녹스거래방법안락사약구입처안락사약물구매처스틸녹스거래방법안락사약구입처안락사약물구매처
    2025-08-2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562
  • [전통주 이야기] (7)진도 홍주

    진도 홍주는 선홍색 빛깔을 띤 전통 증류주다.진도에서자생하는 자초(紫草,진도에서는 지초로 불리움)라는 생약을 증류과정에 여과시켜 붉은 빛깔을 만들어 낸다.지초는해열·건위제로 알려져 있다. 홍주는 조선조 광해군(1575∼1641)의 형 임해군이 역모죄로 진도에 귀양가게 되면서 전래됐다고 한다.임해군은 귀양길 도중 강화도로 유배지가 바뀌었으나 이 사실을 알지못하고 미리 진도로 내려간 임해군 부인의 친정 조카인 허대(許垈·1586∼1662) 부부는 임해군이 즐기던 술을 만들기 위해 ‘고조리’(증류기구)를 가지고 내려왔다. 이들은 진도에 정착했고 그후 홍주가 농가로 퍼진 것이다. 허대의 후손 가운데는 13세손인 허화자(許花子·72·여·진도읍 쌍정리)씨가 최근까지 홍주의 전통을 지켜왔다. 진도의 아낙네들은 대부분 홍주 만드는 방법을 알고 있지만 대량생산 체제를 갖춘 곳은 진도홍주영농조합법인(대표洪賢珠·35) 등 2∼3곳이 있다.홍씨는 “제조기구 일부만현대화했을 뿐 옛 맛을 살리기 위해 장작불을 사용하는등나름대로 전통지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주의 맛은 잘 발효시킨 밑술에 의해 결정되고 색깔은‘지초’가 좌우한다.찐 겉보리와 물·누룩을 혼합,섭씨 25∼30도에서 1주일 숙성시킨다.밑술에 쌀로 만든 고두밥을함께 넣어 일주일 동안 발효시킨다.이처럼 만든 술 원액을 가마솥에 붓고 솥위에 소주고리(고조리)를 올려 놓은뒤 장작불을 지핀다.밑술이 끓고 증기가 오르면 고조리 아래 부분에 물방울이 맺히고 바로옆 배출구로 흘러내린다. 이 증류주는 지초가 담긴 용기를 통과하면서 자홍색의 술로 변한다.알코올 도수는 40∼45도. 250㎖(4,000원)부터 1.8ℓ(2만원)들이까지 5종류의 포장이 있다.문의(061)543-4010. 글 진도 최치봉기자 cbchoi@. ■국악인 신영희씨의 맛평가. “보리와 어우러진 특유의 지초향이 입안에 가득차는 맛입니다” 진도가 고향인 국악인 신영희(申英姬·59)씨는 “어릴적어머니가 직접 내린 술맛이 입에 배어 지금도 집에 홍주를갖다 놓고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소리를 한 뒤 목이 아플때나 속이 더부룩할 때 홍주를한 두잔 마시면 정신도 맑아지고 거북함이 모두 사라진다”는 그는 “홍주를 세계 술시장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명주”라고 자랑했다. 그는 어릴적에 깊은 산속에 자생하는 지초 주변에는 눈이와도 눈색깔이 붉게 물든다는 얘기를 어른들로부터 들었다며 약용식물을 이용한 전통 홍주를 마셔볼 것을 권했다. 진도 최치봉기자
  • 수도권 공장총량제 완화 한달

    정부가 지난 5월 31일 개별공장 건축허용 면적을 지난해보다 16.2%(293만7,000㎡)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 수도권공장총량제 운영계획을 확정한지 한달이 지났다. 경기도는 각 시·군이 요구한 공장건축물량을 채우느라늘어난 양을 거의 소진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산업단지 입주 상담이 뜸해지는 등 비수도권 기피현상이 심해지고 있어 공장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수도권 현황 제도 자체를 폐지하라고 아우성이다.상공인들은 150만㎡의 추가 배정을 바라고 있다. 양주·파주·포천 등 공장입지 선호지역의 경우 한도를모두 소진하고도 시·군별로 4만∼5만㎡의 공장입지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14만1,800㎡를 배정받은 파주시는물량이 모자라 9,000여㎡의 입지승인을 유보한 상태다.20만7,400㎡를 배정받아 9,000㎡의 여유분이 있는 양주군과13만6,300㎡를 배정받아 5,000㎡를 남겨놓은 포천군도 이달 중순이면 모두 사용하고 연말까지 각각 5만㎡의 공장입지가 부족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정부가 최우선으로 입지를 승인해주는 외자유치업체가공장설립을 신청해와도 승인해 줄 수없다고 말한다. 이처럼 공장 입지가 수요에 비해 부족,공장설립 승인지연등으로 피해를 입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동두천시 하봉암동에 지난 3월 공장설립을 승인받은 닭고기 생산업체 ㈜마니커는 시설확장이 늦어지면서 주 수출대상국인 일본이요구하는 작업장 규모 기준 미달로 연간 10억원 이상의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한다.포천군 군내면에 지난 1월 말설립승인을 받은 종이 및 판지제조업체 이그린은 승인지연에 따른 토지매입비 이자,생산차질로 인한 수출 클레임 등모두 4억7,000만원의 손해를 봤다고 한다. 경기2청 김정한(金政韓) 경제농정국장은 “생산활동 여건이 유리한 수도권에 입주한 업체는 수도권밖으로 한사코이전하려 하지 않고 신규 공장입지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현황 공장유치의 안전판과 다름없는 수도권 공장총량제가 완화됨에 따라 비상이 걸려 있다. 특히 수도권과 잇닿은 충남의 경우 지난 3월부터 도청과15개 일선 시·군에 각각 기업유치팀을 만들어 기업유치활동을펼치고 있지만 큰 타격을 입고 있다.도는 지방 이전을 계획했던 수도권 기업들은 물론 지역의 공장들까지수도권으로 몰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재 충남에서 산업단지를 조성중이거나 착공을 준비중인 곳은 석문,인주,대죽,연기 공단 등 모두 88개 단지 7,973만1,000㎡에 이르고 있지만,분양 면적은 49.6%에 불과한 3,960만1,000㎡이다. 당진의 석문단지(1,208만4,000㎡),아산의 인주 1단지(161만6,000㎡) 등 대형 산단마저도 수도권과 인접해 있고 서해안 고속도로가 뚫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있을 것으로 충남도는 우려하고 있다. 충북도청 기업유치팀은 더욱 바빠졌다.다음달이면 서울여의도 면적의 3배가 넘는 944만3,000여㎡ 규모의 청원군오창과학산단 조성공사가 5년 만에 마무리되지만 29일 현재 분양률은 52.7%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기업유치팀원 5명은 1만여 업체에 홍보물을 보내고 200여곳에는 찾아가 입주를 권유했다.그러나 경기가 되살아나지않는데다 수도권 공장총량제까지 완화되면서 공장부지 분양이 저조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분양을 시작한 부산 녹산공단(44만5,500여㎡)의 경우 항만을 끼고 있는 조선기자재,조립금속 등의 업종은 입주하고 있으나 첨단 산업업종이나 정밀기계,문화 관련산업은 수도권으로 몰려가 거의 유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의정부 한만교·수원 김병철·부산 이기철기자 mghann@. **광주시 경제통상국장 “지역간 불균형 심화 우려된다”. “수도권 공장총량제 완화방침은 지방 산업단지를 고사시키고 지역불균형 개발을 심화시키는 불합리한 정책 결정이라고 봅니다” 정광훈 광주시 경제통상국장은 “수도권 공장입지규제완화로 막 태동하려던 지방 산단의 위축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광주지역에는 현재 첨단과학산단 6만6,000평을 비롯 평동외국인기업 전용단지 4,000평,평동산단 1차단지 6만여평등 모두 13만여평이 분양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첨단산단에 LG전자와 화학이 9만여평,삼성전자 8만여평,평동산단에 기아자동차 10만여평 등 모두 33만여평이 분양됐으나 수도권 규제 완화로 이들 공장의 입주가 더미뤄질 위기에 처하게 됐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 국장은“수도권 지자체 및 정치인들이 공장총량제 완화에 이어관련법개정안을 의원 입법으로 국회에 제출해 놓고 있다”며 “이 법안이 통과되면 가뜩이나 취약한 지역경제는 활로를 잃게 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공장 신·증축이 자유로와진 수도권은 일자리가 창출되고인구가 집중할 수밖에 없다.이는 곧 국토개발의 불균형을심화시키고 지역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광주 최치봉기자
  • 농활도 보험시대

    ‘보험에 들고 농촌봉사활동에 나서자.’ 광주대 인문사회대는 5월 봄농활 때 학생과 공동 부담으로상해보험에 든 데 이어 30일부터 시작되는 하계 농활도 보험에 들고 떠난다.학교의 이같은 조치는 지난해 학생 최모양(21)이 농활에 참여했다가 농기계 사고로 손가락이 절단되자학부모측이 학교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낸 데 따른 것. 최양의 부모는 지난 3월 “농활은 수업의 연장”이라며 학교와 농활 현지 농민회 등을 상대로 5,900만원을 배상할 것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학교측은 재판이 진행중인 지난 봄농활 때 1회 보험비 100만원에 사망시 최고 4,000만원,사고시 의료비 200만원을 지급하는 단체 보험에 가입했다. 학교 관계자는 “보험은 학생 1인당 4,000원을 부담하면 되고 출발과 동시에 효력을 발휘하는 만큼 이번 여름 방학 농활 때도 이 보험을 이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남북사업 ‘지지부진’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이후 광주시와 전남도 등 자치단체와 민간단체들이 경쟁적으로 추진해온 남북교류사업이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 북한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한건주의식’ 전시 홍보 위주로 관련사업을 추진하면서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3월 남북교류사업의 하나로 지역 기업인들과 시와 의회 관계자 등이 방북,각종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시는 오는 10월 김치축제와 2002년 비엔날레에 각각 북한김치와 북한작품 출품을 요구했으나 북측은 이렇다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북측은 북한에 김치공장 설립과 각종 건설장비 지원등을 요구하고 있다.이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차후 실무협의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최근 북측에 포크레인 등 건설장비 지원 등을 위해이를 통일부에 질의했으나 ‘농기계가 아니어서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는 등 사전에 관련 법규 검토도 없이 무리하게 대북사업을 추진해 기대만큼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담양군이 방울토마토,완도군이 미역보내기 운동을 최근추진했으나 후속적인 교류는 불투명한 상태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피서철 숙박 걱정 ‘뚝’ 남도 대학기숙사 개방

    ‘이번 피서에 대학기숙사를 활용해 보세요.’ 전남 남해안에 인접한 대학들이 여름 휴가철을 맞아 기숙사를 ‘공짜’수준으로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이들 대학은 각종 문화유적지 및 해변과 이웃하고 있어 알뜰 피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기숙사를 개방키로 결정한 대학은 목포대·장흥 남도대·여수대 등 3곳. 7월2일부터 8월18일까지 기숙사를 개방하는 목포대는 이미1,300여명의 예약을 받아 놓고 있다.임대 기숙사는 모두 380실이며 2인 1실 기준으로 1인당 하루 6,000원의 관리비만 받는다. 이곳은 서남권의 명산 승달산·유달산과 톱머리 해수욕장,영산호 농업박물관,남농기념관,국립 목포해양박물관,영산강 하구언 등이 이웃하고 있다(061-450-2909). 장흥 남도대학은 7월1일부터 31일까지 28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를 관광객과 향우회,가족단위 피서객에게 개방한다.4인 1실 기준이며 사용료는 무료이다.인근에는 천관산,사자산,제암산 등 유명산 및 자연휴양림과 보림사 등 사찰,득량만 등 해안이 펼쳐져 있다(061-860-8607). 여수대는 다음달 초부터 8월20일까지 콘도미니엄 수준의 기숙사 72실을 세미나·단체연수 대상자 등에게 개방한다.모두 72실(1실 6인)이며 참가자가 원할 경우 단체 급식도 병행한다.이용료는 1인당 5,000원(061-569-2811).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대한매일 초청 모범용사 광주 5·18묘지 참배

    대한매일이 초대한 국군 모범용사 60명과 배우자 등 119명은 일정 4일째인 21일 광주 5·18묘지와 전남 여수산업단지,광양제철소 등을 둘러봤다. 이들은 이날 오전 9시쯤 5·18묘지에 도착,분향·묵념하고광주시 관계자로부터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상황과 묘지조성 경위 등을 전해 들었다. 모범용사 대표로 분향한 육군 이석형(李碩炯·55)원사는 “말로만 듣던 이곳에 와 민주열사들이 잠들어 있는 묘지를 보니 숙연한 마음이 들었다”며 “다시는 이같은 불행한 역사가 되풀이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이곳을 처음 방문했다는 육군 문숙희(文淑姬·41·여)상사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된 이 분들이 우리나라를 지켜주고 있다”며 “우리도 이들의 희생에 보답하기위해서라도 국방임무에 더욱 충실하겠다”고 다짐했다.5·18묘지를 참배한 이들 일행은 여수산단 남해화학 등 발전된 산업현장을 둘러본 뒤 주승용(朱昇鎔)여수시장이 마련한 오찬에 참석했다.이어 오동도를 관광하고 광양제철소를 방문했다. 이들은 광양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22일 오전 울산으로 출발한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여천NCC 공권력 투입 유보

    1개월 넘도록 장기파업중인 여천NCC에 대한 경찰 투입이유보됐다.이원화 전남지방경찰청장은 17일 경찰지휘부가 마련된 여천 제일모직 정문초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여천NCC 노사가 동력부문을 정상화하는 등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찾기로 합의함에 따라 당초 이날로 예정됐던 경찰 투입을 유보키로 했다”고 밝혔다. 여천 최치봉기자 cbchoi@
  • 개교 23주년 호남대 윤형섭 총장 “”지역 발전 앞장서는 학교로””

    “호남대를 전국 제일의 명문 사학으로 만들어 가겠습니다” 15일로 개교 23주년을 맞은 호남대 윤형섭(尹亨燮)총장은“교육개방화와 진학인구의 감소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교육현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교직원 모두의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윤 총장은 “우리 대학은 종합대로 승격된 지 9년만에 정보통신특성화 대학,교육개혁 우수대학 등으로 선정될 만큼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며 “합리주의 정신과 교육론에 따라 국제화를 지향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하는 대학으로 거듭 날 것”이라고 다짐했다.호남대는 97년 교육부에 의해 정보통신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된 데 이어 전국 53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종합평가에서도 교육·연구·교수·시설·재정 등 전 분야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아 지방명문 사학으로 떠오르고 있다. 호남대는 15일 광주 광산캠퍼스에서 자매결연한 미국 요크대 후버 이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개교23주년 기념식을 갖는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영광 핵처리장’ 유치 갈등 증폭

    전남 영광군 일부 주민들이 최근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유치청원서를 군과 산업자원부 등에 제출한 가운데 주민·의회·자치단체간 입장이 서로 달라 갈등이 커지고 있다. ‘영광군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유치위원회’(위원장 김영득)는 지난 11일 영광원전이 있는 홍농읍 주민을 중심으로 2만5,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유치청원서를 군 등에 제출했다. 이들은 “관련 시설물을 유치할 경우 정부 지원금 2,000여억원을 받게 되고 시설물 운영예산이 1조원에 달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며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영광핵추방협의회 등 70여개 단체로 구성된 ‘핵폐기장 반대 영광군민 대책위’(공동위원장 김윤일)는 13일 기자회견을 갖고 “찬성측 주민들이 제출한 청원서를열람한 결과 한사람이 100명 이상의 대리서명을 하고 현지에 살지도 않은 사람의 이름이 도용되는 등 내용이 조작됐다”며 “군과 의회는 청원서 자체를 반려하거나 폐기처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유치 반대서명에 착수하고 환경단체와 공동으로현지에서 환경 콘서트를 여는 등 유치반대운동에 적극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군은 주민간 찬·반의견 대립이 극심,이렇다할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주민의사에따라 결정돼야 할 사안”이라며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청원서 동의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는 군의회는 관련시설 유치에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의회는 지난 3월 열린 정례회에서 일부 주민들이 제출한유치청원에 반대 했으며 이번 집단 청원과 관련 ‘반대운동’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군은 청원이 접수된 날로부터 2주 안에 의회 동의 절차를밟아 정부에 공식 유치신청을 하게 된다. 한편 한전은 2011년 영광원전 2곳의 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고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난해부터 전국 임해지역 자치단체 46곳을 대상으로 부지공모에 나섰으나 대규모 서명으로 유치를 희망하고 나선 것은 영광주민이 처음이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광주 부실건설업체 발 못붙인다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시장 질서를 문란하게 했던 부실 건설업체들이 대거 퇴출될 전망이다. 광주시는 12일 “건전한 건설산업 육성을 위해 무자격 업체 등 부실 건설업체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건설교통부의 건설업 면허제의 등록제 전환과 공제조합 출자의무 폐지 등의 규제 완화 조치로 부실업체 양산 및부실시공이 우려돼서다. 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건설업등록 건수는 2,265건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2,053건보다 212건(10.3%)이 증가했다.업체 수도 1,400개에서 1,526개로 늘었다. 이에 따라 시는 부실·무자격업체의 시장진입을 막기 위해등록시 사무실 보유,보증능력 확인서 요건을 신설하고 기술자 보유 기준을 강화했다. 건설업체 공사실적 기준도 토건은 6억원에서 10억원 미만으로 올리는 등 분야별로 상향 조정했다.이 기준에 미달하는업체에 대해서는 영업정지 처분하고 2년간 공사 수주실적이없는 업체는 등록 말소하기로 했다. 50억원 미만 공사 낙찰자를 결정할 때도 기술자 보유 현황을 확인,기준 미달업체는 탈락시키기로 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공무원 ‘재산등록 확대‘ 반발

    정부는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증식 방지와 공무집행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재산등록 대상범위를 대폭 확대했다. 하지만 이달 말까지 재산등록을 해야 하는 해당 공무원들은 특정 직종 공무원을 비리집단으로 매도하는 처사이자 사생활 침해라며 반발하고 있다. 각 지자체들은 이달말까지 건축·토목·환경·식품위생분야 등에 근무하는 5급 이하 7급 이상 공무원들의 재산을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등록하기 위해 해당 공무원들로부터 관련 서류를 제출받고 있다.등록범위는 지난 5월말 기준으로 해당공무원과 배우자,직계존비속이 소유한 전 재산이다. 지난 1월 개정된 공직자윤리법에 따른 것으로 종전의 4급이상 공무원 및 감사·세무분야(5∼9급)로 제한해 오던 것을 확대한 것이다. 부산의 경우 등록 대상자는 2,716명이며 시에서 268명,구·군에서 664명이 추가됐다.광주시와 각 구청에서는 600여명이 늘어났다.경북 경산시도 지난해 시장을 비롯해 4급 이상 7명과 감사·세무 2개 부서 25명 등 모두 32명에 그쳤으나 올해 8개 부서 101명이 추가됐다. 이에 대해 상당수 해당 공무원들은 비록 법을 근거로 한 재산등록이라 하더라도 말단 지방 공무원에게까지 의무화한 것은 문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력감축 등으로 업무추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공무원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재산등록을 추진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경산시 A모 간부는 “고위 공직자나 국회의원 등에 적용하는 등록 기준을 지방공무원에게까지 적용하는 것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정부가 열악한 여건속에서도 묵묵히 일하는 대다수 지방공무원들을 마치 ‘도둑놈’으로 모는 것 같다”고 말했다.경산시 B모씨(7급)도 “공무원의 사생활도 보호돼야 한다”며 “부정한 돈이 생겼다면 등록할공직자가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부산의 6급 토목직 공무원은 “소위 이권부서로 통하던 시절이 끝났는데 공무원 재산등록을 통해 부패를 막겠다는 생각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공직자 재산등록은 공무원의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아니다”며 “공직의투명성 확보 조치인 만큼 공무원들이 따라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산 김상화·부산 이기철·광주 최치봉기자 shkim@
  • 7차교육과정 반대 확산

    내년 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도 적용될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부산지역 100개 고교 교사 대표(전체대표 노영민·신도고)들은 4일 부산시교육청 앞에서 교육인적자원부의 7차 교육과정 시행중단과 수정고시를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새 교육과정은 현재의 학교시설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잦은 이동수업으로 학급 공동체의해체와 학업 성취도의 저하를 가져올 것”이라며 “결국 상류층의 자립형 사립고교를 도입,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사 대표들은 “교육부가 교원단체와 교원노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7차 교육과정을 강행하고 있다”며 “이 제도의 시행중단과 수정고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실무적인준비 거부와 서명,리본패용, 농성,집회 등 불복종운동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전남지역 100개 고교 교사대표(전체대표 한종원·영광고)들도 오는 11일 전남도교육청 앞에서 7차 교육과정의 시행중단 등을 요구하는 ‘대표자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광주지역 50여개 고교대표(전체 대표 김성중·광주예술고)역시 15일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대표자 선언대회’를 갖고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대대적인 불복종 운동을 펴나가기로 했다. 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지부는 9일,경남지부는 15일현장 교사의 불만을 토대로 반대 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경기도내 176개,대전시내 42개,충북도내 76개고교의 전교조 소속 교사들은 최근 “학교시설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비현실적 탁상정책”이라고 비판한 성명서를발표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7차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개인별 능력에따라 수준별 교육을 하고 배우고 싶은 과목을 학생들이 선택할 권한을 주는 것이 골자로 지난 2000학년도에 초등학교1,2학년부터 적용을 시작, 2002년 고1에 이어 2004년 고3까지 연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부산 이기철·광주 최치봉기자 chuli@
  • 경제5단체장 회동…노조夏鬪 대책 논의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대한상공회의소 등경제5단체장은 최근의 노사문제와 관련,4일 오전 11시 신라호텔에서 긴급 간담회를 갖는다. 경총 관계자는“오는 12일 총파업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밝힌 민주노총 등 노동계에 파업 자제를 촉구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3일 밝혔다.이와 관련,국내최대 에틸렌 생산공장인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여천NCC㈜파업이 19일째 계속되고 있으나 공권력 투입에 대한 경찰의신중한 태도로 사태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다. 주병철·광주 최치봉기자 bcjoo@
  • 내년 광주비엔날레 주제 ‘멈춤’

    제4회 광주비엔날레(2002년 3월 29∼6월 29일) 전시 주제가 ‘멈춤(Pause)’으로 확정됐다.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는 1일 기자회견을 갖고 제4회 행사 주제를 ‘멈춤’으로 결정하고 전시구성 기본 방향을 확정했다. 광주비엔날레는 “‘멈춤’은 현대사회의 숨가쁘고 다이내믹한 진보 앞에 한발 쉬어가는 일종의 동양적 성찰의 의미를 부여하는 개념”이라며 “이는 단순한 ‘멈춤’이 아닌새로운 도약을 위한 ‘움츠림’이라고 설명했다. 비엔날레는 또 이날 ▲성완경(한국)▲찰스 에셔(영국) ▲후 한루(프랑스) 등 3명의 공동 큐레이터를 선정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본인 확인 안하고 인감 발급 구청서 5억 손해배상 판결

    광주시 동구가 위조된 외국인 등록증을 제대로 확인하지않고 인감증명서를 발급했다가 5억여원의 손해배상금을 물어야할 처지에 놓였다. 서울고법 민사 19부는 최근 ‘본인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발급한 허위 인감증명서를 믿고 9억원을 대출해 손해를입었다’며 S보험사가 동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심대로 피해액의 60%인 5억4,000만원을 배상하라”는 1심판결을 그대로 인용했다. 이에 대해 동구는 곧바로 대법원에 상고했다. 이 사건은 대만출신 화교가 운영하는 동구 충장로 1가 모음식점 아들 손모씨(당시 30)가 97년 아버지의 외국인 등록증과 인감도장을 훔쳐 등록증의 사진을 바꾸는 수법으로발급받은 인감증명서와 아버지 소유의 건물을 담보로 S보험측으로부터 9억원을 대출받은 뒤 해외로 잠적한데서 비롯됐다. 동구 관계자는 “대법원의 판결이 확정되는 대로 광주지법에 해당 음식점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고당시 인감을 발급해준 직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광주 시청~비엔날레전시관 ‘김치대축제’ 퍼레이드

    ‘전국 김치는 모두 모이세요’ 2001광주김치대축제가 오는 10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광주시립민속박물관 일대에서 열린다. ‘세계와 함께 하는 광주김치 한마당’이란 주제로 열리는김치축제는 김치담그기를 비롯해 다양한 문화행사가 곁들여진 문화축제로 치러질 전망이다.김치의 우수성에 대한 전승발전과 관광상품화를 통한 국제 경쟁력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광주시는 28일 이같은 내용의 행사 계획안을 확정했다. 올해는 처음으로 개막일인 17일 광주시청∼광주역∼전남대사거리∼비엔날레 전시관에 이르는 김치깃발 퍼레이드가 이어진다.외교관 김치담그기 경연과 전통민속인 고싸움 놀이,초등학생 김치담그기 경연도 준비됐다. 어린이 김치백일장,전국김치생산업체 직원 경연,특수김치 시연,호텔주방장 초청경연,군인 김치 담그기,김치명가 시연,학술토론회 등이 이어진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박봉 쪼개 남몰래 이웃돕기 20년 이승언 경사

    박봉에 시달리면서도 20여년 동안 남몰래 불우한 이웃을 도와온 경찰이 있다. 주인공은 광주 동부경찰서 지산파출소 이승언(李承彦·48)경사. 이 경사가 소외계층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경찰에 투신한지 1년여만인 81년.당시 전남경찰청 제7기동대에 근무하던그는 귀가도중 우연히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나모(당시 68세) 할머니를 발견하면서 부터.자식들이 없이 홀로 살며 굶주림에 지쳐있던 할머니를 집으로 모셔다가 식사를 대접했다. 그 할머니는 허름한 셋방에 홀로살며 끼니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다.그후 그는 매월 쌀 20㎏과 연탄 30장 등을전달하며 ‘자식노릇’을 했다. 당시에는 이 경사의 아버지(84년 작고)와 어머니(87년 작고)가 모두 암투병 중이었다. 이 경사는 99년 나모 할머니 역시 3년간의 암투병 끝에 숨지자 시신을 거둬 자신의 선산에다 장례를 치렀다. 3남2녀중 장남인 그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어머니가 ‘좋은 일을 많이 하고 살라’는 말을 항상 가슴에 품고 있다”며 “이런 일이 세상에 알려져 오히려 부끄럽다”고 말했다. 그의 선행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 다.지난 93년부터는 비인가 복지시설인 광주시 동구 학동 천혜경로원과 화순군 춘양면 소향원에 쌀과 과일·라면 등 생필품을 전달하고 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 ‘새만금 개발’ 전북道 환영

    정부의 새만금사업 지속 추진 결정에 대해 전북도는 “환영한다”며 크게 반기는 반면,환경운동단체들은 ‘시국 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전북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도민의 숙원인 새만금 사업을 계속 추진하게 돼 200만 도민과 더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정부는 이 사업을 친환경적으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시한 것으로,우리 도민은 이를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유종근(柳鍾根) 전북지사는 이와 관련 “그동안 환경단체가 주장한 환경오염에 대한 경고는 새만금사업을 친환경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데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전기가 됐다”며 “환경단체들도 이제는 이 사업이 가장 모범적이고 기념비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도와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북도 새만금간척지원 사업소 이희영(李喜瑛·41)기술담당은 “새만금사업이 완료되면 2만8,000여㏊의 농경지와 10억t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만경·동진강 유역의 1만,2000㏊의 농경지가 상습침수지역에서 해제된다”며 “이밖에도 국토의 균형발전과 세계최장 방조제를 중심으로 한 종합 관광권 형성으로 얻어지는 무형의 이익은 수치로 환산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는 종교계·사회단체·학계 등 1,4000여명이 서명한 ‘새만금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정부의 간척사업 지속 추진 방침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전주 최치봉기자 cbchoi@
  • 3일간의 투지로 장애 ‘정복’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희망을 얻었습니다.” 1급 시각장애인으로 캐나다 스쿼미시 거벽의 치프봉 수직암벽 700m에 도전해 정상(해발3,000m)에 오른 송경태씨(40·전북 시각장애인 도서관장)는 “참으로 견디기 힘든 나와의싸움에서 승리한 기쁨을 맛봤다”고 말했다. 그는 로프에 매달려 하루 2∼3시간씩 토끼잠을 자며 2박3일간의 사투를 벌였다.마침내 지난 20일 오후 3시 정상에 올랐다. 치프봉은 로키산맥에서도 정상인도 오르기가 힘든 어려운수직 암벽으로 꼽힌다.히말라야 K2봉을 등정한 산악인 문종국(33)씨 등 일행 3명과 팀을 이룬 그는 16일 1차 도전에서실패한 뒤 18일 베이스 캠프를 떠나 다시 암벽에 도전했다. 무전으로 방향을 안내하는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살을 에는듯한 칼바람과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손바닥으로 더듬어 바위벽을 올랐다.송씨는 23살때 군복무중 폭발사고로 시력을 잃었다.그는 99년과 지난해 월드컵 홍보를 위해 미국 도시 2002㎞를 횡단한 의지의 한국인. 전주 최치봉기자 cbchoi@
  • 공장총량 규제 완화 非수도권 반발 확산

    정부의 ‘수도권 공장총량 규제 완화’ 방침에 대한 비수도권 자치단체 및 의회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부산 대구 광주 울산 경남·북 전남·북 등 ‘영호남 8개시·도’는 최근 정부의 수도권 공장 입지제한 대폭 완화 방침에 대해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방침은 철회돼야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시장·지사들의 해당부처 집단 방문 등 강경 대응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들 시·도는 최근 실무협의를 통해 이 문제를 다음달 15일 경북에서 열리는 제6회 영호남시도지사협력회의에 공식안건으로 채택하고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대책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기로 했다. 안건 채택을 제안한 광주시 관계자는 “각 시·도가 각각수십만평대의 지방공단을 조성해놓은 상황에서 입지규제가완화된다면 제반 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도권에 생산시설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며 “각 시·도가 절박한 심정으로공조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