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개최도시는 ‘괴로워’
월드컵 개최를 준비하는 도시들이 월드컵조직위원회와 FIFA측의 잇따른 계획 변경과 수정·취소 등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22일 제주도 서귀포시에 따르면 월드컵조직위는 최근 서귀포시에 대해 브라질-중국전에 한해 경기시작 50분전까지 20분 동안의 개막공연만 허가하고 그 외의 경기에는 경기장내 자축 행사를 일체 하지 못하도록 통보했다.
이로 인해 시가 그동안 추진해왔던 치어리더 공연,하프타임 응원단 공연,경기 종료 후 인기가수 초청공연 등의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월드컵조직위는 “잔디보호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사실은 FIFA가 경기장 전광판을 경기시작전 42분,하프타임중 9분,경기 종료 후 12분을 공식광고로 채우기 위해 내린 조치로 알려졌다.
서귀포시는 또 최근 월드컵조직위로부터 슬로베니아-파라과이전 입장권 1만 3631장을 추가로 넘겨받아 판매에 비상이 걸렸다.당초 국내 판매분으로 배정된 일반석 3만 9300석의 37.7%인 1만 4818석을 소화하기 위해 서귀포시는 도내 각급 기관과 단체,학교,관광업체,축구동호회 등 700여곳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판매에 힘써왔으나 또다시 추가판매분을 떠안아 부담이 가중됐다.
도내 42개 호텔들도 지난해 월드컵 숙박사업단과 총객실5417실의 70%를 월드컵 손님들을 위해 사용키로 협약을 체결했으나 최근 50%대로 재조정됨에 따라 판매전략 수정이불가피하게 됐다.
이같은 사정은 광주·울산 등 대부분의 개최도시들도 마찬가지다.
광주시도 당초 세시풍속인 ‘고싸움 놀이’를 6월2일 스페인슬로베니아전,4일 중국코스타리카전 등 두 경기에서 시연키로 하고 관련예산 2억 5000만원을 마련해 놓았으나 최근 FIFA측의 요구에 따라 경기장 주변 주차장 등지에서 참가국 민속예술공연,사물놀이,마칭밴드 공연,페이스페인팅 등 다른 행사로 대체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FIFA측으로부터 6월2일로 예정된 스페인슬로베니아전 입장권 해외 판매분 1만여장을 배정받아 “팔지 못한 입장권을 개최도시에 떠넘긴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월드컵 개최도시 관계자는 “월드컵에 관한 모든 권리가 FIFA 소유로 돼 있어 개최도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는 데다 월드컵조직위가 개최도시의 지역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준비를 일방적으로 추진해 수정·취소 등이 빈발하고 있다.”며 불만을 털어놨다.
제주 김영주기자·광주 최치봉기자 chejuky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