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정부통합전산센터 12월 착공
광주 ‘제2정부통합전산센터’가 연말 착공, 내년 7월 문을 연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 센터는 오는 12월 국비 2200억원을 들여 서구 풍암동 화방산 일원 1만 3000평 부지에 연면적 7800평 규모로 건립된다. 제2정부통합전산센터는 정부 기관마다 따로 운영중인 전산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곳으로 정보 활용도와 업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로 건립된다. 이곳에서는 건설교통부와 검찰청,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기상청, 기획예산처, 경찰청, 농림부, 농촌진흥청, 문화재청, 법무부, 국가청렴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병무청, 산림청, 식품의약품안전청, 여성부, 외교통상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중앙인사위원회, 통일부, 특허청, 해양경찰청 등 24개 정부 기관의 전산망이 통합·운영된다. 제2센터는 또 유사시 대전의 제1센터(24개 정부기관 전산 통합)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대체 역할을 맡는다. 제2센터가 건립될 경우 생산유발효과(2006년) 1605억원을 비롯해 소득유발효과 307억원, 세수유발효과 59억원, 취업유발효과 1929억원 등 총 지역 유발효과는 3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제2센터는 전남 이전 공공기관(15개) 중 정보통신부지식정보센터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전파연구소·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한국문화예술진흥원·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등 8개 기관과 유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돼 있어 광주·전남 정보기술(IT)인프라를 한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 관계자는 “제2센터 건립으로 IT분야 등에서 500∼600명의 지역 전문 인력이 필요할 것에 대비해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및 지역 대학과 공동으로 해당 분야 인력을 양성할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한몫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