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시설공단 14개 사규등 ‘부패영향평가’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 등 철도기관에 대한 국가청렴위원회의 ‘부패 영향 평가’결과가 오는 7월쯤 발표될 예정이다. 부패 영향 평가란 법령·제도에 내재하는 부패 유발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제거해 나가려는 부패 방지 시스템이다. 미리 부패 요인을 정비, 행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패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취지에서 지난해부터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부패방지법상 공기업·준정부기관은 부패 영향 평가 대상 기관이 아니다. 부패 영향 평가는 중앙행정기관의 법률·대통령령·총리령·부령 및 그 위임에 따른 훈령·예규·고시·공고·조례·규칙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은 지난달 자체 사규에 대해 이례적으로 청렴위에 부패 영향 평가를 스스로 받겠다고 나섰다. 청렴위도 반기는 눈치다.많은 공기업·준정부기관이 정부의 규제적 보호 아래 독점 시장을 형성하다 보니 낮은 생산성, 방만 경영, 도덕적 해이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만큼 부패 영향 평가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현재 청렴위와 두 기관은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사규에 대한 부패 영향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청렴위에서는 법무관리관실장, 철도공사는 감사실장, 철도시설공단은 경영혁신단장 등 6명이 멤버다. 그 아래 ‘컨설팅팀’이 실무를 챙기고 있다. 컨설팅팀은 청렴위 법령분석관리팀 등 모두 4명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청렴도가 낮고 부패 유발 요인이 높은 14개 사규가 도마에 올랐다. 이들 기관이 우월적 지위에서 행하는 인·허가 및 점검 관련 업무, 계약 및 조달행위와 관련되는 사항, 업무의 민간 위탁, 민간 위탁 등과 관련되는 사항들이다. 입찰 계약과 공사·용역 및 토지 보상, 영업 관련 규정들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사규 평가는 법령 조문의 부패 유발 요인을 분석·검토하는 평가와 더불어 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부패 사례를 수집·분석해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실태조사가 함께 병행되고 있다.사규 분석에는 현행 법령 평가와 마찬가지로 1개 사규당 몇개월씩 걸리다 보니 단계적으로 평가가 실시된다. 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간의 유사한 사규끼리 묶어 1단계,2단계,3단계로 나눠 평가된다는 설명이다. 청렴위 관계자는 13일 “조문별로 분석도 하고, 현장의 이해 관계자와 전문가를 직접 만나 부조리 실태를 파악해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공기업·준정부기관 등은 공적자금을 받아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기관인 만큼 보다 엄정하고 공정한 윤리 경영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