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언론 합의문 교환 의미
남한 언론사 대표단과 북한 언론관계자들이 11일 남북 언론교류에 관한 공동합의문 5개항을 발표한 것은 남북관계가 실질적으로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이다.
동서독 통일과정에서 드러났듯 언론교류는 상호 이질적인 요소를 제거하면서 이해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평가돼왔다.따라서 이번 남북언론교류를 위한 공동합의는 6·15남북공동선언에 담긴 정신을 실현시키는 중요한첫발을 내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남북간 언론교류 합의는 동서독의 경우와 비교해서도 무척 빠른것이어서 주목된다.동서독은 지난 70년 첫 정상회담을 가진 뒤 81년에서야‘언론의 활동여건 개선을 통해 양측간 정보교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그러나 남북한은 지난 6월 남북정상회담을 가진지 두달도 안된 시점에서 언론교류 원칙에 합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 합의문 도출까지 다소 어려움도 있었다. 평양 봉화초대소에서열린 회의에서 북한은 ‘민족의 자주와 존엄을 지키는 언론활동’‘남북 공동성명에 대한지지 환영’을 명시하자고 주장했으나 격론 끝에 최종문안에포함되지 않았다.대신 ‘통일과 민족단합에 도움이 되는 언론활동’‘비방중상 중지’등의 문구가 들어가게 됐다.
이번 합의문에 담긴 내용은 우리측이 사전에 검토했던 바를 대체로 반영하고 있다.이번 사장단 방북을 추진한 신문 및 방송협회 등은 남북언론교류 역시 하나의 남북대화라고 보고 대화창구의 상설화는 꼭 달성하겠다고 내심 작정하고 있었다.대화통로가 만들어지면 남북언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언론활동을 펼치고,나아가 인적 물적 교류를 실현시키자는 복안을 갖고 있었다.답례로 북측인사를 초청하는 것도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는 이번 합의문의 내용을 차근차근 실현시키는 것이 중대과제로 대두됐다.신문 및 방송협회 등은 우선 영상물,특히 방송뉴스의 교차방송 등을 먼저 고려하고 있다.뉴스를 통해 남북한 주민들의 상호 이해 수준을 높이자는것이다.그 다음으로는 특정프로의 공동제작 등을 꼽을 수 있다.이를 통해 인적 물적 교류가 가속화되고,남북이 있는 그대로 서로를 바라볼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이와 함께 학술심포지엄 등을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상황이 개선되면 서울 및 평양주재기자 설치문제 등도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광숙기자 bori@.
* 남북언론기관 공동합의문.
남측 언론사 대표단은 2000년 8월 5일부터 12일까지 평양을 방문하였다.남과 북의 언론사들과 언론기관들은 역사적인 남북공동선언이 조국통일 실현에중대한 의의를 가진다고 인정하고 그 이행에 함께 노력할 것을 다짐하면서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첫째,남과 북의 언론사들과 언론기관들은 민족의 단합을 이룩하고 통일을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언론활동을 적극 벌여 나가기로 한다.
둘째,남과 북의 언론사들과 언론기관들은 새롭게 조성된 정세의 흐름에 맞게 민족 내부에서 대결을 피하며 민족의 화해와 단합을 저해하는 비방중상을중지하기로 한다.
셋째,남과 북의 언론사들과 언론기관들은 언론,보도활동에서 서로 협력하며접촉과 왕래,교류를 통하여 상호이해와 신뢰를 두터이 해나가기로 한다.
넷째,남과 북 언론기관들의 접촉은,남측에서는 한국신문협회와 한국방송협회를 비롯한 주요 언론단체들의 대표가 참여하는 ‘남북언론교류협력위원회’가,북측에서는 ‘조선기자동맹중앙위원회’가 맡아 하기로 한다.
다섯째,남측 언론사 대표단은 북측에서 초청한 데 대한 답례로 북측 언론기관 대표단이 서울을 방문하도록 초청하였으며 북측은 앞으로 적당한 기회에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