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無보직 국장급 100여명
공영방송인 KBS의 전국 25개 지방방송국 가운데 상당수가 카메라맨이나 제작 PD 등이 없어 실질적으로 자체 프로그램 제작이 어려운 것으로 감사원 감사결과 나타났다.
KBS는 지난 99년 감사원으로부터 지방방송국을 통·폐합하라는 권고를 받고도 여태껏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있다.
무보직 국장급이 100여명에 이르며,대부분의 공기업이 퇴직금 누진제를 폐지했지만 KBS는 여전히 시행하고 있다.예비비 120억원 중 112억원을 임직원 성과급으로 지급한 사실도 확인됐다.
29일 감사원과 KBS에 따르면 KBS 25개 지방방송국 가운데 순천방송국 등은 라디오방송만 하고 자체 TV방송을 하지 않고 있어 독립방송국으로서 기능이 미약한 것으로 조사됐다.충주방송국은 라디오나 TV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PD가 한 명도 없고,군산방송국과 목포방송국에는 영상제작을 위한 카메라맨이 없는 실정이다.안동방송국 등은 뉴스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TV중계차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감사원 관계자는 “지난 99년부터 지방방송국을 통·폐합하는 등 과다한 지방방송 조직 구조를 개선하라고 했으나 지역주민의 반대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국장(관리직급) 및 국장급(1직급)은 지난해 9월1일 현재 정원 401명보다 12명이나 초과한 413명이다.관계자는 이들 가운데 무보직 국장급이 100여명이나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회사인 KBS 아트비전은 지난 99년이후 계속적인 적자로 2001년 무려 33억원의 당기 순손실이 발생해 자본금 32억원이 완전히 잠식됐다.그런데도 퇴직금 누진제를 시행해 경영을 악화시켜온 것으로 적발됐다.이들 직원 143명에 대한 퇴직금제도를 누진제에서 단수제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2004년 퇴직금 12억 7000여만원을 추가부담하게 될 전망이다.
감사원은 또 지난해 국회에서 부결처리됐던 2002년 KBS 결산부분을 감사한 결과 예비비 120억원 가운데 112억원을 임직원 성과급으로 지급한 것을 밝혀냈다.예비비는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지출에 써야 하는 것으로,임원들 성과급을 복지후생비가 아닌 예비비로 처리한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대해 KBS 관계자는 “감사원이 지적한 무보직국장급에는 해설위원,심의위원,대기자,대PD 등이 포함돼 있다.”고 해명했다.감사원은 조만간 감사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감사결과를 심의할 예정이다.
최광숙기자 b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