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낵시장 ‘형제 대결’
스낵시장을 놓고 ‘형제 그룹’인 롯데와 농심이 한판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
신격호(82) 회장이 이끄는 롯데제과는 그동안 껌, 초콜릿, 비스킷 등의 과자 분야에 주력해 왔으나 지난 10월 생고구마칩을 새로 출시하며 농심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롯데제과는 농심이 그룹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농심을 배려, 스낵 시장의 진출을 ‘자제’하는 등 제품이 중복되지 않도록 경쟁을 피해왔다.
그러는 사이 신춘호(73)회장 체제의 농심그룹은 라면과 함께 스낵상품 개발에 주력, 시장 점유율 35%를 보이며 스낵시장을 주도해 왔다. 신격호 회장의 바로 아래 동생인 신춘호 회장은 지난 65년 롯데공업을 창업하면서 형으로부터 독립,78년 농심그룹으로 상호명을 바꾼 뒤 라면과 스낵전문 식품업체로 그룹을 일구어 왔다.CJ에 이어 식품업계 매출 2위로, 롯데그룹의 모기업인 롯데제과와 롯데칠성도 일찌감치 따돌리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특히 71년 새우깡을 시작으로 다양한 스낵제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국내 스낵계의 ‘황제’로 입지를 굳혀왔다.“손이 가요, 손이 가. 새우깡에 손이 가요∼.”라는 CM송으로 유명한 새우깡은 30여년이 넘도록 연간 매출 700억원을 낼 정도로 ‘최장수’ 스낵으로 자리 잡았다. 이어 73년 고구마깡을,81년 감자를 이용한 최초의 스낵 포테이토칩,83년에는 양파링 등 출시하는 제품마다 히트를 치면서 농심그룹은 명실상부 스낵문화의 지존으로 자리 잡았다. 스낵류 매출만 연간 2300억여원에 이른다.
농심그룹 관계자는 14일 “경쟁업체는 어디서나 선의의 경쟁을 해야 하는 것”이라면서 “특별히 롯데제과를 의식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제과는 껌, 비스킷, 초콜릿 등의 제품을 강화, 과자 시장 공략에 나서느라 83년 꼬깔콘을 출시한 이후 스낵시장에는 이렇다 할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최근 2,3년 동안 오잉, 딩클, 날씬 감자, 아우터, 칩스웰 등의 다양한 스낵제품을 내놓기 시작,10월 생고구마칩을 출시하면서 스낵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기존 스낵제품은 옥수수, 감자 등을 주 재료로 사용했기에 고구마로 만든 이 제품은 곧바로 스낵시장에서 ‘신데렐라’로 떠올랐다. 불황기에 월 매출 10억원을 기록하는 효자상품이 된 것이다.
롯데제과는 고구마의 경우 감자와 같이 얇게 썰기 어렵고, 가공하면 쪼그라 들어 스낵용으로는 부적하다는 통설을 깨고 3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이 제품을 선보일 수 있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기술력 등에서 경쟁력이 있는 만큼 스낵제품의 비중을 점차 높여 나갈 계획”이라며 농심에 대한 경쟁심을 감추지 않았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