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를 그리는 작가’ 육심원 화가
새침떼는 여자, 예쁜 척하는 여자, 잘난 척하는 여자, 구두를 신을까 말까 망설이는 여자, 주근깨가 볼을 가득 메운 여자….
한결같이 귀엽고, 깜찍하고, 예쁘다.
화가 육심원(32)은 사랑하지 않으면 안될 그런 여인들의 표정들을 화폭에 담아낸다.
‘여자를 그리는 작가’로 불리는 것도 그때문. 여자라기보다 오히려 공주를 그리는 것이 더 맞는 듯하다. 작가 자신도 이를 부인하지 않는다.
“모든 여자들은 공주이기에 공주 대접을 받아야 해요.”
그에게 공주란 ‘미스코리아’가 아니다.“개성있고 표정있는 여자, 무엇보다 자심감으로 당당하게 살아가는 이 세상 모든 여자들이 공주”이다.
꽃무늬가 장식된 핑크빛 니트에, 깜찍한 머리핀을 꽂고 새침 떼는 ‘새침떼기’. 빨간 이브닝 드레스을 입고 예쁜 척하는 ‘나 이뻐’. 빨강 물방울 무늬 원피스를 입고 턱을 치켜 올린 ‘나 어때’…
예쁜 옷 입고 자랑하고 싶은 나의 모습, 거울보며 상상하는 나의 모습이 이렇게 공주들의 작품으로 화려하게 탄생됐다.
“‘새침떼기’는 세일 때 거금주고 산 니트가 너무 예뻐서 옷값을 빼려고 그린 그림이고,‘나 어때’는 미스코리아 수상식에서 상 받는 자신을 상상하며 그린 거예요.”
그림만큼이나 작가도 톡톡튀는 공주와 흡사하다.
아기자기한 만화 같은 그의 그림속에는 ‘자신을 사랑하라.’는 속깊은 메시지가 담겨 있다.“자기를 소중하게 생각해야 해요. 너무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존재인 자신을 잘 관리해 스스로 행복해져야 하니까요. 나쁜 생각을 하거나 나쁜 행동을 하는 여자들이 제 그림을 보고 자신 속에 숨겨진 예쁜 모습을 빨리 찾길 바라요.”
그의 그림들이 전시된 인사동 갤러리 에이엠을 둘러 보면 일상에 지친 피로감과 세상사 우울함이 쏙 가신다. 방안에 걸어두면 모든 여성들은 마치 공주가 되는 ‘마법’에 걸릴 것이다.
“예술이 무겁고 진지해야만 하나요? 그런 틀을 깨고 친근감 있는 그림, 보면 기분 좋은 그림, 갖고 싶은 그림을 그리고 싶어요.”
정경일 갤러리 에이엠대표는 “개인전 4회라는 짧은 경력에도 그의 작품 30점이 거의 다 팔렸다.”면서 “그의 그림을 핸드폰 줄, 엽서, 수첩, 달력 등으로 캐릭터 상품화하는 시도도 곁들였다.”고 말했다. 다음달 30일까지.(02)733-4455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