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쇼형식 ‘이야기공연’ 뜬다
아늑한 거실로 초대받은 느낌을 주는 무대. 멀게만 느껴졌던 음악가와 발레리나 등 예술가들이 도란도란 무대 위에서 나누는 편안한 대화. 예술과 삶이 하나가 되는 순간들이다.
최근 ‘이야기’가 있는 공연이 뜨고 있다.
거액을 들여 지명도 높은 예술계의 거장들과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초청하는, 이른바 ‘빅 공연’이 아니지만 관객들의 호응이 뜨겁다.‘토크 쇼’형식의 공연은 무대 위의 예술가와 객석의 관객들과의 거리를 좁히면서 친근감을 준다는 것이 장점. 특히 어려운 클래식과 발레공연도 ‘해설’이 곁들어지다 보니 자연 눈과 귀가 트인다.
●이야기 있는 클래식 콘서트 줄이어
예술의전당의 ‘이야기 콘서트’는 연주자와의 격의 없는 대화와 교감이 이뤄지는 자리로 인식되면서 인기 프로그램으로 급부상했다. 지난 2002년 ‘피아니스트 김대진씨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첼리스트 양성원, 피아니스트 강충모·피호영씨가 각각 무대에 올라 연주도 하고, 우정과 사랑 등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들려주며 관객과 호흡을 같이했다. 오는 22일 이야기 손님은 소프라노 박미혜씨다.
토크 형식의 콘서트는 평소 만나기 어려운 예술가 출신의 예술 행정가들을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 발레리나 출신의 최태지 정동극장 극장장은 ‘정동 데이트’를 열어 직접 사회를 보며 발레리나 출신 문훈숙 유니버설발레단 단장, 피아니스트 출신의 김용배 예술의전당 사장을 초대해 그들로부터 예술가의 삶과 행정가의 삶의 얘기를 들었다.(02)751-1500.
특히 이야기 콘서트로 ‘스타 탄생’도 이뤄지고 있다. 솔직한 성격의 김용배 사장의 이야기 솜씨는 예술의전당 히트작으로 손꼽히는 오전 11시 콘서트에서 그 자신이 해설을 맡으면서 이미 검증된 상태. 그는 아줌마 팬들을 몰고 다닐 정도로 인기가 높아 전석 매진이다.
출연자들의 영역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호암아트홀의 ‘리빙 클래식’에는 젊은 연주가들에게 무대를 내줘 그들의 연주는 물론 사랑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되면서 객석을 꽉 메우게 하고 있다.
예술의전당 관계자는 “연주자들의 육성으로 음악, 인생 얘기를 듣다 보니 음악적 이해가 더욱 깊어지게 되고, 연주자들도 자신의 예술세계를 친근한 분위기에서 보여줄 수 있어 좋아한다.”고 말했다.
●해설 공연의 원조는 발레
공연무대에 ‘해설’ 장치를 끌어들이는 시도는 기실 발레 쪽에서 먼저 시작됐다.1997년 국립발레단이 기획한 ‘해설이 있는 발레’가 이른바 국내 ‘해설 공연’의 원조격.
소수층의 고급예술로 이미지가 굳어 있던 발레를 대중에게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된 공연 컨셉트가 크게 주목 받았다. 국립극장에서 조심스럽게 무료공연으로 시작했다가 기대 이상으로 관객의 호응이 커지자 유료로 바꿨을 정도.
9년째를 맞은 ‘해설이 있는 발레’는 올해도 2월부터 9월까지 총 8회의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연례 공연으로 팬들에게 널리 알려진 덕분에 9월 공연티켓이 2월에 동이 나버릴 만큼 호응이 컸던 것. 지금껏 발레 해설을 맡은 이들 가운데는 유열, 박상훈, 도지원 등 스타들이 많았다.
국립발레단의 한 관계자는 “‘해설’이 붙는 공연에는 관객층이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면서 “해설이 붙다보니 공연규모가 조촐해지고, 그런 만큼 생소한 예술장르라도 위압감을 느끼지 않고 공연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인기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국립발레단은 해설발레 10회째인 내년에는 수도권 극장으로 무대를 옮겨 관객폭을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한국발레협회도 올 가을에는 특별한 레서피의 무대를 기획했다.‘해설’ 대신 ‘문학’을 양념으로 동원한 ‘문학과 함께 하는 발레’가 그것이다.11일 오후 7시30분 리틀엔젤스 예술극장에서 열리는 무대는 문학 속의 삶과 사랑, 기쁨, 슬픔 등의 감정을 몸짓언어로 변주해낸 이색 공연.‘사랑방 손님과 어머니’(황규자 얀 발레단),‘구두’(발레노바),‘춘향 어데로 갈꺼나’(리 발레단) 등이 선보이며,7세 이상이면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02)538-0505.
최광숙 황수정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