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사운드 ‘음악의 전설’이 온다
중후하고 화려한 색채, 폭발적인 사운드. 그 어떤 최상급의 언어적 수사도 뛰어넘는 음악의 제왕, 베를린 필하모닉오케스트라. 그들이 온다.
1984년 전설적인 거장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과 함께 한국을 찾은지 21년만이다. 지휘봉을 잡고 기도하는 듯한 카라얀의 모습으로 우리의 뇌리에 깊게 새겨진 베를린 필하모닉오케스트라. 이번에는 영국 출신의 젊은 거장 사이먼 래틀(50)경이 불어넣는 패기와 열정의 사운드를 맛볼수 있다. 오는 7,8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은 신세대 지휘자를 영입한 베를린 필의 음악적 변신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
2002년 9월 베를린 필의 6대 음악감독에 취임한 이후 그는 중국, 한국, 타이완, 일본 등 아시아 4개국 6개 도시를 돌며 서양 음악사의 걸작품들을 선보여왔다.
베토벤의 3번 교향곡 ‘영웅’을 비롯,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영웅의 생애’, 베를리오즈의 ‘해적 서곡’, 하이든 ‘86번 교향’ 등이 그의 지휘로 새 생명을 얻었다. 특히 21세기 새로운 거장 토마스 아데의 ‘아쉴라’는 한국 초연.
1974년 존 플레이어 국제 지휘 콩쿠르에 우승하면서 본격적인 지휘자로 활동을 시작한 그는 25세에 영국 버밍엄 시립 교향악단을 맡아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로 탈바꿈시키며 명 지휘자의 반열에 올랐다.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음악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123년의 역사를 가진 베를린 필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1922∼1954년)의 뒤를 이은 카라얀(1955∼1989년)시대에 탁월한 기량과 완벽한 사운드를 갖춘 오케스트라로 명성을 높였다. 현재 세계적인 성악가로 종횡무진하고 있는 소프라노 조수미의 성공 뒤에는 카라얀의 격려가 컸을 정도로 클래식 음악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 인물이 바로 카라얀.
35년간의 카라얀 체제 이후 독일통일 시대를 맞은 클라우디오 아바도(1989∼2002)는 공연 때마다 ‘방랑자’ ‘파우스트’ 등의 테마를 설정하는 등 현대화 작업을 벌여 활기를 불어 넣었다. 그가 시즌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밝히면서 베를린 필에 세대교체의 길을 열어 놓았다. 래틀은 단원 대부분의 지지를 얻어 새 지휘봉을 잡게됐다.
래틀은 특히 베를린 필의 음악영역을 공공·예술·교육 분야로까지 확대, 예술이 단순히 감상거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일부임을 보여주는 노력으로 주목받는다. 베를린 필하모닉의 문을 활짝 열어 대중들에게 접근, 음악을 보다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수단의 교육 프로젝트로 베를린 필의 변모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02)6303-1915.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