歲畵(세화), 잊힌 풍류와의 재회
우리 조상들은 설날 아침 세배를 하고, 그림을 주고 받았다. 바로 ‘세화’(歲)다.
민화의 일종인 세화는 새해의 복을 기원하고, 잡귀를 쫓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출입문에 그림이나 문자로 그려 붙인 용호한쌍의 용호문배도(龍虎門排圖)가 대표적이다.
사악한 악귀를 쫓아준다는 호랑이와 기쁜 소식의 전령사인 까치가 사이좋게 등장하는 호작도(虎鵲圖), 집안의 풍요와 번창을 가져다 준다는 연화도(蓮花圖), 불로 장생의 십장생도(十長生圖)가 세화다.
각박한 세상살이에 그림 한장으로 서로의 행운을 빌어주는 일은 얼마나 멋진 일인가. 그일이 어렵다면 세화를 현대미술로 승화시킨 ‘세화견문록’전시회라도 나서 보면 어떨까.
이 전시회에는 민화를 비롯한 우리 전통적 미감을 바탕으로, 작품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 넣은 작가 16명의 작품 70여점이 선보인다. 회화, 설치, 영상, 디자인, 사진, 판화 등 다양한 장르를 통해 세화가 현대적으로 재해석됐다.
모란도의 형식을 빌려 순수 본성의 회화정신을 되살려 낸 김근중, 열두마리의 한국의 길상동물을 입체설치 작품으로 만든 임영길, 플라스틱 폐자재를 활용해 화조도와 문자도의 독특한 설치작품을 탄생시킨 서희화는 전통미술의 색채가 짙다.
홍성담도 디지털 시대를 반영, 컴퓨터 바이러스 소멸을 기원하는 부적을 표현했다.
반면 전통의 미술과 형식을 오늘의 아이콘으로 변환시켜 현대미술을 즐기는 관객들에게 도발적인 시선을 던지는 작품들도 있다.
문자도를 차용한 서은애의 ‘애정과 신뢰’는 세상을 향해 농담을 던지는 새의 모습으로, 현실을 살짝 비틀고 있고, 한지에 채색화 물감으로 전통의 미를 담아낸 박지나의 ‘고물’은 민화가 소망의 그림이듯 투도어 냉장고를 갖고 싶어하는 현대인의 욕망을 익살스럽게 표현했다.
음식재료 파로 머리 장식한 여인의 이미지를 표현해낸 데비 한의 ‘상큼한 미소’는 섹슈얼리티를 부각시키는 팝아트적 분위기다.
거침없고 자유로움으로 전통의 미를 토해낸 작품들에서는 유유자적하는 즐거움이 배어 나온다.
시각디자이너 안상수의 ‘알파에서 히읗까지’는 서구문화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한글을 사용, 문화 주권 회복의 메시지를 담고 있고, 민균홍의 ‘무제’는 철로 용접해 만든 조각으로 천진난만한 선의 유희를 보여준다. 오수환의 ‘적막’은 자연스러운 획의 흔적이 마치 노장사상의 변주처럼 느껴진다.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오는 29일부터 내년 2월12일까지.(02)580-1300.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