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취임 1년-서울신문·KSDC여론조사] 국민과 ‘코드’ 달랐다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운영이 국민들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경제안정과 국가안보 등 국민들의 핵심 관심분야보다는 시민운동 등 국민참여 분야에 현 정부가 상대적으로 많은 국가 에너지를 투입한 때문이라는 조사결과 분석이 나왔다.
서울신문이 노 대통령 취임 1주년을 맞아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와 공동으로 전국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실시한 국민여론조사에서 참여정부의 10대 핵심추진 정책과제에 대해 국민이 체감하는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37.9점으로 보통(50점)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노 대통령이 취임 후 잘한 일에 대해 ‘없다(36.4%)’거나 ‘모른다(35.8%)’고 답해 국민 대다수가 노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노무현 정부는 ‘경제안정’과 ‘국가안보’,‘사회투명도’,‘국민통합’,‘권력분산’ 등 국민들의 요구 수준이 높은 상위 정책과제에 있어서 50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기록,참여정부가 국민들로부터 낮은 평가를 받는 직접적 원인이 됐다.반면 상대적으로 국민들의 요구 수준이 낮은 ‘국민참여’ 과제만이 50.6점을 얻어 그나마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KSDC전문가들은 “국민이 생각하고 있는 정책순위와 정부가 1년간 수행해온 정책순위에 엇박자가 있었다.”면서 “노 대통령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남은 4년의 임기 동안 국민참여 등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접근하고,경제·안보 등 국민들이 우선 해결해주기 바라는 어젠다에 정부의 에너지를 우선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17대 총선 정당후보 지지도는 열린우리당 15.9%,한나라당 12.7%,민주당 9.0%,민주노동당 2.7%,자민련 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20대와 30대,40대가 모두 열린우리당-한나라당-민주당 순의 지지도를 기록했고,50대는 한나라당-민주당-열린우리당 순으로 지지를 보냈다.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은 52.2%로,두 달 전 조사보다 1.9%포인트 늘었다.
진경호 박정경기자 j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