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여경과 다모(茶母)/진경호 논설위원
광복 직후 서울 등 주요도시에 ‘여자경찰서’가 있었다.1945년 10월 국립경찰이 창설되고 1년여 뒤인 1947년 2월부터 서울과 인천, 대구, 부산 등지에 잇따라 여자경찰서가 들어선 것이다. 총무계, 순라계 등 4개 부서로 구성된 이 여자경찰서는 여성 피의자 몸 수색 등 주로 여성의 권익보호와 청소년 업무를 다뤘다고 한다. 경찰만큼은 다른 분야보다 여성의 진출이 빨랐던 셈이다. 하나 이 여자경찰서는 6·25를 거치면서 폐지론의 등장과 함께 결국 1957년 창설 11년 만에 문을 닫고 말았다. 여자경찰서가 곧 여경의 위상을 뜻하지는 않겠으나 실제 그 뒤로 경찰내 여성의 위상은 답보를 면치 못했다. 광복 직후 전체 경찰관의 1.8%인 여경 비율이 50년 뒤(1999년 1.9%)까지 거의 변함이 없었던 사실이 이를 말해준다.
여경의 위상이 달라진 것은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다.1999년 3월 폭력시위대를 처음으로 여경기동대가 막기 시작했고,12월 ‘경찰대개혁 100일 작전’과 함께 여경의 일터가 민원실 등에서 수사·형사·정보, 심지어 강력범죄를 다루는 부서로까지 확대됐다. 성폭력과 사이버범죄, 테러 등 손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미아리텍사스’를 때려잡은 김강자 총경,‘장군 잡는 여경’ 강순덕 경위, 첫 여성 경무관인 김인옥 울산경찰청 차장 등 스타급 여경도 잇따랐다. 여경 수도 1946년 7월 조선국립경찰학교 졸업 여경 1기생 64명과 간부 16명에서 지금 4572명으로 늘었다. 전체 경찰의 4.8%지만 경찰 목표치 10%나 여성·소년 범죄자 비율 16∼24% 등을 감안할 때 더욱 늘어야 할 상황이다.
오늘 여경 탄생 60주년을 맞아 세번째 다모(茶母)대상이 수여된다.3년 전 TV드라마로 세간에 알려진 다모는 썩 명예로운 이름은 아니다. 조선시대 관청이나 사대부집에서 차 심부름 등 허드렛일을 하던 천민여성으로, 의녀수업을 받았으나 성적이 모자라 질병치료를 맡기에 부족한 초학의(初學醫)들이 대부분 다모를 맡았다. 포도청이 다모들에게 규방 염탐이나 여성 피의자 수색 등을 맡기면서 ‘여형사’쯤으로 발전한 것이다.‘여경’에 남성과 구분하는 성적 차별의식이 엿보이듯 ‘다모’ 역시 남성 포도에게 종속된 성적, 계급적 차별의 잔재가 담겨 있다. 여성 경찰관이 바로 설 날을 기대한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