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금융비상체제 진두지휘
이명박 대통령이 미국발 금융위기의 화마(火魔)를 차단하는데 팔을 걷어붙였다. 개천절인 3일 오전 8시 경제관계 장관들을 청와대로 불러 미국 월가의 금융상황과 국내 금융·실물 경제 동향을 보고받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한승수 국무총리와 강만수 기획재정·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 전광우 금융위원장, 사공일 대통령 경제특보, 박병원 청와대 경제수석 등 핵심라인 장관급 10명이 참석했다.●현상황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듯 회의는 정오까지 4시간 동안 진행됐다. 비교적 폭넓게 논의가 이뤄졌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그만큼 그동안 내비친 자신감과 별개로 이 대통령이 지금의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 대통령이 주문한 요점은 한·중·일 재무장관 회의 추진, 외환보유고 투명 공개, 상황별 대응책 마련 등으로 정리된다. 한·중·일 재무장관 회의 추진은 미국발 금융 위기가 아시아 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다. 지금까지는 실무선에서 이 나라들과 관련 정보를 긴밀히 교환하는 차원이었지만 이를 넘어 공동 대응책을 모색하자는 뜻이다. 유럽이 추진하는 ‘유럽펀드’처럼 아시아 금융 위기에 공동 대응할 ‘동아시아펀드’ 조성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구제금융펀드를 만들어 역내 금융기관의 부도 위기가 발생할 때 긴급 투입하는 방안이다. 정부는 조만간 중국과 일본에 재무장관회의를 공식 제의, 펀드 조성 논의에 착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외환보유고 투명한 공개를” 이 대통령은 외환 보유고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도 주문했다.1997년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외환 보유액이 충분한 만큼 이같은 펀더멘털을 충분히 알려 시장의 불안 심리를 차단해야 한다는 뜻이다. 회의에서는 단계별 위기 대책(contingency plan)도 논의됐다. 달러 유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대책과 함께 기업의 불필요한 수입을 차단할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는 단계별 대책의 구체적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대책을 미리 공개하면 시장의 불안 심리만 키울 뿐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1일 러시아에서 돌아오자마자 거시정책협의회를 주재한 데 이어 휴일인 오늘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한 것은 금융위기 상황 극복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유사한 긴급 점검회의가 거의 매일같이 열린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해 미 금융 위기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당분간 이 대통령이 진두지휘하는 비상체제가 가동될 것임을 시사했다.진경호기자 jad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