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도 덜 마신다
경기 침체의 질곡에서는 술도 벗어나지 못했다. 올 들어 맥주, 위스키, 와인은 물론 대표적인 불황상품으로 서민들의 사랑을 받아온 소주마저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대한주류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 1~2월 소주 판매량은 1621만 5000상자(360㎖ 30병들이)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줄었다. 소주업계의 절대강자 진로(참이슬)의 판매가 특히 부진했다. 752만 4000상자를 판매, 17.3% 감소했다. 반면 두산주류를 인수한 롯데주류BG(처음처럼)는 202만 1000상자를 팔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가량 판매가 늘었다. 2월 시장점유율은 진로 51%, 롯데 12.4%를 기록했다. 소주 판매량은 지난해 12월 27.6% 증가(전년동기 대비)하는 등 2008년 한 해 동안 5.6% 늘었었다.
맥주 역시 1~2월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6%가량 줄었다. 1월 판매량은 진로하이트주류 16.9%, OB맥주 1.9%의 감소율을 기록했으나 2월에 양측이 활발한 판촉활동을 펼치며 판매량을 각각 16.0%, 14.0% 늘려 1월의 부진을 만회했다.
지난 2월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18만 3000상자(500㎖ 18병들이)로 지난해 2월에 비해 6.5% 줄었다. ‘윈저17’(디아지오코리아)과 ‘발렌타인17’(페르노리카코리아)이 각각 7%와 5% 감소하는 등 17년산 슈퍼프리미엄급 위스키의 판매가 크게 줄었다.
지난 몇 년 주류시장을 뒤흔든 와인 열풍도 눈에 띄게 꺾였다. 관세청에 따르면 1~2월 와인 수입량은 3619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204t)보다 30.4% 줄었다. 수입액도 1962만 8000달러로 지난해 3287만 5000달러의 59.7%(-40.3%)에 그쳤다. 프랑스산 와인(-59.2%)이 가장 많이 줄었다. 이탈리아산(-39.7%), 호주산(-33.2%), 스페인산(-31.2%), 칠레산(-20.7%)이 뒤를 이었다.
주류 수입업체 관계자는 “경기 위축으로 고급 위스키를 찾는 소비자가 크게 줄었고 지난 몇 년간 초강세를 보인 와인시장 역시 정상화 과정을 밟으면서 다소 판매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