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런 공무원] 농산물품질관리원 張澤浚씨
잣과 쇠고기,그리고 돼지고기의 공통점은?-‘먹거리’등등 여러 답이 있겠지만 ‘국산과 수입품을 구분하기 가장 어려운 농축산물’이 정답이다.
시장 개방 이후 수입 농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사례가 넘쳐나고 있다.워낙 감쪽같아 무엇이 중국산 잣인지,호주산 돼지고기인지 소비자들은 분간할길이 없다.하지만 이 사람의 눈썰미는 피해가지 못한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통지도과 장택준(張澤浚·45)주사가 주인공이다.
94년부터 농산물 원산지표시 단속업무를 맡아온 그는 ‘장형사’‘장반장’으로 통한다.뛰어난 단속실적과 엄정한 단속자세에서 붙여진 별명이다.그가지난 7년 동안 적발한 원산지 표시위반 업체는 모두 510여개 업체에 이른다.
97년엔 농산물검사소가 고발한 건수의 7.6%,부과 과태료의 10%가 그에 의해이뤄졌다.당시 전국의 단속공무원이 1,000명을 웃돌았으니 그의 ‘활약’을짐작케 한다.
하지만 정작 그가 주목받을 이유는 이런 실적에만 있지 않다.국산과 수입품을 정확히 가려내는 식별능력과 이를 위해 그가 들인 노력,그리고 협박이나회유에 흔들리지 않는 단속자세가 진정 그를 눈여겨 봐야 대목이다.
전남대 농학과를 나와 국립농산물검사소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그는 원산지표시제도가 시행된 94년 가평출장소에서 본격적인 단속업무를 맡았다.처음 손 댄 농산물은 잣이다.중국산이 넘친다는데 도무지 구분할 수가 없었다.전국의 잣 가공업자들을 찾아 막걸리를 권하며 귀동냥으로 ‘비법’을 하나씩배워나갔다.지금은 전국의 어느 업체가 가공한 잣인지까지 가려낸다.이런 노력이 쌓여 그가 구분해 내는 농산물은 현재 1,400여 품목이 넘는다.전체 수입농산물 1,600여 품목의 90%를 웃도는 수치다.눈으로 보고,맛을 보고,냄새를 맡고,만져보고,두드려 소리를 듣고….그의 오감(五感)을 빠져나가는 농산물은 흔치 않다.
단속을 하다보면 적발된 상인이나 업주의 저항을 늘 겪게 된다.‘바다에 빠뜨리겠다’는 협박이나 ‘한번만 봐달라’는 읍소,‘내가 누군줄 아느냐’는 으름장이 늘 그를 뒤쫓는다.집 전화번호도 여러차례 바꿨다.“생계가 걸린사람들이라 단속을 하면서도 늘 미안한마음”이라는 그는 “하지만 농산물이 정직하게 거래돼야 농민도 살고 소비자도 권리를 찾는다는 생각으로 약해지는 마음을 다잡는다”고 토로했다.
24일 안양의 사무실을 찾아 조심스레 물었다.“단속을 하다보면 무마해 달라는 유혹도 적지 않을텐데….” 그는 묵묵히 신발을 벗어 보였다.“3년 된양말입니다.”진경호기자 j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