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진경호
    2025-10-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739
  • 386당선자 ‘새정치 실험’ 본격화

    여야 386당선자들의 정치개혁을 향한 발걸음이 본격화되고 있다.기존 정치권을 바꾸겠다는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386당선자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있는지 알아본다. ◆민주당 김성호(金成鎬) 장성민(張誠珉) 송영길(宋永吉) 이종걸(李鍾杰) 임종석(任鍾晳) 당선자 등 30대 5명과 40대의 정범구(鄭範九) 함승희(咸承熙)당선자 등 7명이 ‘창조적 개혁연대’라는 이름으로 뭉쳤다.거의 매일 합숙하다시피 하며 정치권의 개혁방향과 이를 구체화할 행동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아직은 물밑에 머물러 있지만 이들의 ‘기세’는 결코 녹록지 않다.이들은우선 기존 정치권을 대단히 부정적으로 평가한다.한마디로 개혁대상이라는것이다.한 당선자는 “정치거물을 제치고 우리를 국회로 보낸 국민의 뜻은그들이 만든 정치를 바꾸라는 것”이라며 “우리는 오직 국민의 뜻만 받들것”이라고 말했다.계파는 물론 선수(選數)나 심지어 당적까지도 개의치 않으려는 자세다.‘여당 대 야당’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낡은 정치 대 새정치’라는 대립구도가 이들의 머리 속을 차지하고 있다. ‘개혁연대’는 16대 국회 개원에 맞춰 기존 정치권으로부터 당장 얻어내야 할 몇가지 과제를 세워놓고 있다.‘크로스보팅(자유투표) 도입’과 ‘본회의 인터넷 생중계’가 대표적이다.한 당선자는 “당리당략에 앞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펴려면 반드시 크로스보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개혁연대는 우선 국회의장 선출과정에서 이를 추진할 생각이다.본회의 인터넷 생중계도 투명한 국회와 국민들의 알권리를 위해 반드시 관철돼야 할 목표로 삼고 있다. 개혁연대는 오는 17일 한나라당 미래연대 소속 6∼7명과 함께 광주 망월동묘지를 찾는다.김성호 당선자는 “광주 민주화 운동에 여야의 386세대가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은 앞으로도 정치개혁을 위해서라면 당을 떠나 연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며 “여야를 넘어선 386세대의 개혁의지를 현지에서 구체적으로 표출할 계획”이라고 결의문 낭독을 예고했다. ◆한나라당 미래연대 소속 의원 및 당선자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총선 이후잦은 모임을 통해 유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이들이 내건 기치는 개혁과 당내 민주화다.기존 정치권의 벽을 넘어 새로운정치,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정치를 펼쳐나가겠다는 각오다.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당선자 13명이 모여 자축연을 벌인데 이어,지난 3일 1박2일간 경기도 양평군 한화리조트에서 수련회를 갖고 향후 의정활동방향 등 진로를 모색했다. 수련회에서 논의한 대목중 실현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의원 세비에서 10%를 떼기로 한 ‘공동정책개발비’.15대 국회에서 의정활동이 돋보인 의원들의 사례를 상임위별로 ‘벤치마킹’한다는 계획이다.특히 당내 민주화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벌써부터 ‘줄서기’에 일절 응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이들은 “오는 31일 당지도부 경선에 출마하는 예비후보들의 개별적 초청모임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신 후보등록이 마감된 뒤 미래연대 차원에서 후보들을 초청해 정견을듣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풍연 진경호기자 poongynn@
  • 고위당정회의 월내 재개

    정부와 민주당은 이달 중 민주당 서영훈(徐英勳) 대표와 박태준(朴泰俊) 총리가 참석하는 고위당정회의를 열어 과외대책과 현대투신 문제 등을 논의키로 했다. 고위당정회의는 지난해 9월 초 개최된 뒤 8개월동안 총선 등 정치권 내부사정으로 한차례도 열리지 않아,당면 현안에 대해 여권이 손을 놓고 있다는비판을 받아왔다. 민주당 정동영(鄭東泳) 대변인은 4일 “여러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고위당정회의가 이달 중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고액과외 금지대책을 비롯,현대투신 정상화방안,수도권 과밀해소 대책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위당정회의에는 민주당에서 서 대표 외에 이해찬(李海瓚) 정책위의장과 1,2,3 정조위원장이,정부측에서 박 총리와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진경호기자 jade@
  • 獨사민당 간부 강연 의미

    민주당이 미완(未完)에 그친 정치개혁의 의지를 되살리고 있다. 독일 사민당의 볼프강 베게 국제부 부부장을 4일 여의도 당사로 초청,독일정당제도에 대한 강연을 들었다.서영훈(徐英勳) 대표를 비롯한 당직자들과사무처 요원 100여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베게 부부장 초청강연은 4·13 총선 전 여야 협상과정에서 불발된 민주당의정치개혁 구상을 16대 국회에서 다시금 펼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1인2표제,중선거구제를 3대 축으로 선거법을 다시 짜겠다는 복안인 것이다.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교과서’인 독일의 선거제도를살핌으로써 선거법 개정을 향한 시동(始動)을 건 셈이다. 베게 부부장의 강연은 한·독 두나라의 정치상황이 흡사하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우선 정권교체다.독일은 지난 98년 총선에서 16년만에 사민당이 기민당을누르고 정권이 교체됐다.그러나 당시 어느 당도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때문에 현재 독일은 사민당과 제3당인 녹색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있다.통일 이후 동·서독 주민간의갈등이 심각한 점도 우리의 정치문화와 엇비슷한 색깔을 지닌다. 베게 부부장은 이날 강연에서 독일의 통일과정과 정당구조,투표 방식 등을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했다.그는 “1인2표제에서 중요한 것은 정당명부에던지는 제2표로,이 득표비율에 따라 연방의회의 정당의석수가 결정된다”고밝혔다.즉,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수를 확정한 다음 지역구 당선의원을 먼저채워넣고 나머지를 정당명부의 순서에 따라 충원한다는 것이다. 베게 부부장은 “1인2표제는 마음에 드는 지역구 후보와 정당을 유권자들이 나눠 선택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망국병인 지역대결구도를 깨려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1인2표제가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는 입장이다.서 대표는 베게 부부장 강연에 앞서“15대 국회에서 지역주의 해소를 위해 추진했던 1인2표제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등은 16대 국회에서 반드시 소신을 갖고 관철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선거법 개정의지를 분명히 했다. 민주당은 특히 이같은 정치개혁의 적기(適期)를 여야간에 이해득실을떠나좀더 먼 장래를 생각할 수 있는 올해로 보고 있다.당리당략으로 일그러진 기형의 선거법을 매번 재생산해 왔던 ‘전철’은 결국 선거를 코 앞에 둔 상태에서 선거법을 손댔기 때문이고,따라서 선거의 룰을 미리 정해 놓고 선거 직전에는 선거구만 획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인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2일 한나라당과의 3역회담 합의에 따라 16대 개원국회에서정치개혁특위를 구성,여야간 심도있는 논의를 거쳐 가급적 9월 정기국회에서선거법 등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베게 부부장은 지난 80년대 초부터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두터운 친분을쌓아 온 빌리 브란트 전 독일 총리의 비서출신으로, 한화갑(韓和甲) 지도위원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진경호기자 jade@
  • 지자체 대상 개혁포럼 개최

    행정자치부와 기획예산처는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천안 상록리조트에서전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정부개혁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16개 광역자치단체의 부단체장과 232개 기초단체의 단체장등 248명이 참가,국내외의 우수 경영혁신 사례를 중점 논의한다. 진경호기자 jade@
  • 국·공립硏 연구원 벤처행 후유증 심각

    최근 크게 늘어난 국·공립연구소 연구원들의 벤처행이 경쟁 업체에 타격을주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자통신 분야의 핵심 국립연구소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출신의 연구원들이 대거 벤처기업으로 이직하거나 창업에나서 관련 업계의 경쟁 업체들을 위협하고 있다.이들의 벤처행으로 연구활동에도 상당한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ETRI에 따르면 지난 98년부터 2년간 이 연구소를 떠난 연구원은 모두 354명이고,올해 말까지 연구원을 떠나겠다고 밝힌 연구원도 203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98년 당시 1,100여명의 연구원 중 5분 1 가량이 이직한 셈이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이른바 ‘벤처 엑서더스’에 편승해 이 연구원의 언어공학연구부의 경우 연구원 4∼5명이 음성인식전문업체인 L업체로 자리를 옮겼으며 부장급 2명도 각각 벤처기업을 창업하는 등 30여명의 연구원중 10여명이 연구원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이들 연구원은 그동안 국가과제수행과정에서 쌓은 연구 실적과 노하우를그대로 지닌 채 특정 기업으로 이직함에 따라 경쟁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ETRI측도 전문 연구인력의 유출로 당면 국가 프로젝트 수행에 차질을 빚을것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공립연구소가 국가적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얻은 핵심 기술은 민간기업에 공평히 이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핵심 연구원들이 특정 기업에 몰려감에 따라 국민 세금의 낭비는 물론 벤처기업들의 공정 경쟁에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번역프로그램전문업체인 유니소프트의 조용범 사장은 “국민의 세금을 연구비로 사용한 국·공립연구소의 연구원들이 특정 기업으로 이직하거나 창업하는 것은 국민 세금이 특정 기업에 몰리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이들 연구원의 이직을 규제하는 장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간기업의 부설 연구소들도 채용조건으로 최소 몇년간 이직을 규제하는 장치를 두고 있는 데도 국·공립연구소가 아무런 규제가 없는 것은 문제라는지적이다. 진경호기자 jade@
  • 공기업 경영공시 달라졌다

    공기업의 경영공시가 알아보기 쉽게 바뀌었다.딱딱한 숫자들로 채워진 재무제표나 예·결산서가 고작이던 예년과 달리 그래프가 등장하고 외국업체와의비교자료도 실린다.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올들어 경영공시를 개선한 공기업은 한전 등 20개 모기업과 41개 자회사에 이른다.재무제표와 예·결산서,이사회 의사록,감사보고서 등 종전의 ‘메뉴’는 물론 각종 서비스 성과지표들도 새롭게 공시돼있다.일례로 한국통신은 홈페이지(www.kt.co.kr)에 띄운 경영공시에 국민 1인당 전화보급률을 미국·영국과 비교해 그래프로 처리했다.한전은 실제 발전량과 발전설비의 잠재발전량을 비교하는 발전설비 이용률을 그래프로 만들어 선보이고 있다. 이밖에 도로공사는 일본 영국 프랑스 등 5개국의 국토면적 대비 고속도로길이를,토지공사는 일산 및 산본 신도시와 일본 다마 신도시의 도로율·공원녹지율을,수자원공사는 독일 호주 등 6개국의 물값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경영공시에 실었다.담배인삼공사 경영공시에는 95년 이후 수입담배의 시장점유율이 그래프로 처리돼 있다. 예산처는 앞서 지난 2월 각 공기업에 경영공시를 개선하라는 지침을 시달했다.많은 국민들이 경영상태를 쉽게 알아보도록 꾸며 경영의 투명성과 서비스 수준을 한층 높이려는 뜻에서 비롯됐다.예산처 관계자는 27일 “각 공기업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열린 공기업위원회’를 설치,공기업 경영에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기회를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진경호기자 jade@
  • 기금정비 평가단 구성

    기획예산처는 기금 정비와 관련해 27일 관계전문가 32명으로 구성된 기금운용평가단(단장 金仲秀 경희대 국제대학원장)을 구성했다. 평가단은 다음달부터 22개 정부 부처가 운용하는 62개 기금의 지난해 운용실태를 조사,8월중 기금정책심의회 의결을 거쳐 평가결과를 국무회의에 보고한다. 평가단은 교수와 회계사,연구원,시민단체 관계자 등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됐다. 기획예산처는 “운용이나 조성,자산 규모가 지난해 실적기준으로 1조원을웃도는 26개 기금은 실사를 하고 나머지는 서면심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경호기자
  • 부처 공무원 토요일 격주근무

    영세민 생계지원과 구제역 및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6월중 추가경정예산이편성된다. 공무원의 사기를 높이는 방안으로 정부부처의 토요 격주휴무제가 시행되고,지방자치단체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리가 강화된다. 진념(陳념)기획예산처장관은 26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에 대한 올해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진장관은 서민생활 향상과 관련,겨울에만 지급하기로 했던 자활보호대상자의 생계비를 4월 이후에도 지급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실질적으로 앞당겨 시행하겠다고 보고했다.구제역 및 산불 피해에 대해서도 합동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복구비와 생계비를 신속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예산처는 국세청이 올해 세수를 추계하는 대로 6월중 추경예산을 편성할 계획이다.현재 정부의 가용재원은 지난해 세계잉여금 2조4,000억원과 한국은행 잉여금 1조5,000억원 등 3조9,000억원에 이른다. 진장관은 공공부문 개혁과 관련,행정서비스에 비용개념을 도입해 기초자치단체별로 서비스에 투입된 행정비용과 성과를 비교평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기획예산처 산하 행정개혁위원회를 정부혁신위원회로 격상하고,7월부터 시범적으로 부처간에 공문서를 온라인으로 주고받도록 하는 등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각종 정책들을 앞당겨 추진하는 방안도 보고했다. 공무원 사기진작과 관련해 진장관은 중앙부처에 대해 토요 격주휴무제를 도입한다는 방침 아래 상반기중 실시시기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또 하반기에기본급을 3% 인상하는 등 2004년까지 공무원 보수를 민간 중견기업 수준으로 현실화하겠다고 덧붙였다.토요 격주휴무제는 기관 전체가 격주로 토요일을쉬는 대신 나머지 토요일은 8시간 근무하는 방식이다. 진장관은 이밖에 균형재정 달성을 위해 지난해 국회에서 보류된 재정건전화 특별법 제정을 다시 추진하고 각종 기금 운영실태도 점검해 8월까지 결과를공개하겠다고 보고했다. 진경호기자 jade@
  • 초등교 週5일수업 적극 검토

    정부는 최근 교육계와 시민단체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를 수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기획예산처는 25일 한국시민단체협의회 주최로 열린 제2회 행정개혁 시민제안대회에서 시민단체들이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를 건의함에 따라 관계부처와 협의,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기획예산처는 주5일 수업을 위해 주당 수업시간을 줄이거나 토요일 수업 시간을 평일에 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토요일을 쉬는 기업이 늘어난데다 공공부문도 조만간 토요격주휴무제를 도입할 상황인 점을 감안,부모와 자녀의 생활 형태를 일치시키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다만 토요일 수업폐지가 부담스러운 가정에 대해서는 학교에 특별프로그램을 마련,토요일도 등교토록 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한편 기획예산처는 이날 행사에서 제기된 여권만료 예고제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이 방안은 행정자치부가 매월 외교통상부로부터 명단을 제출받아 여권 만료 8개월 전에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여권소지자에게 만료예고 통지문을 발송하는 제도다. 현행 여권법은 만료 6개월 안에 신청하면 총 10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권기간을 연장토록 하고 있으나,무심코 만료일을 넘겨 여행일정에 차질을 빚거나 4만5,000원을 내고 재발급받는 경우가 많아 민원이 끊이지 않고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밖에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를 개선,승차정원을 현재의 6명 이상에서 15명 안팎으로 올리거나 특별수송기간에는 5명 이하가 탄승합차는 아예 고속도로 이용을 금지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진경호기자 jade@
  • 국세청 우수개혁사례 국무회의 소개

    국세청의 ‘달라진 세무행정’이 25일 국무회의에 보고됐다.안정남(安正男) 국세청장은 이날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세무행정의 달라진 모습을 비디오 상영을 곁들여 보고했다. 국세청의 변화는 그동안 공공부문 개혁의 대표적 사례로 꼽혀 왔다.이날 보고도 기획예산처가 공공부문 혁신 우수사례로 세무행정 개선을 선정하면서이뤄졌다. 국세청의 세무행정 개선은 크게 조직개편과 납세자보호담당관제 도입,일하는 방식 혁신으로 요약된다.국세청은 그동안 세목별로 나눠진 조직을 기능별로 다시 짰다.총무과,소득세과,재산세과,부가세과,법인세과 등의 직제를 납세자보호담당관,서비스센터,징세과,세원관리과,조사과 등으로 바꿨다.납세자와 세무서 직원이 만나는 일이 크게 줄고,담당자도 매번 달라지게 됐다. 효과는 부조리 급감으로 나타났다.지난해 10월부터 올 3월까지 부조리 발생건수가 그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81.6% 줄었다. 납세자 편에 서서 고충을 해결하는 납세자보호담당관제도 지난해 9월 이후1만4,000건의 민원을 해결해 3,700억원의 세금을납세자들에게 돌려주는 성과를 거뒀다.보호담당관을 본청에서 직접 선발해 각 세무서에 배치함으로써세무서장의 눈치를 보지 않도록 하고,특히 민원해결 실적이 뛰어난 순서에따라 승진시키는 인사제도가 이런 성과를 낳았다. 내부 인터넷에 관계법령과 업무서식 등 1만8,000쪽 분량의 데이터베이스를만들어 업무에 활용하고,국세통합전산망(TIS)을 통해 불성실 납세자를 자동으로 가려내는 업무체제도 달라진 세무행정의 하나다. 지난 98년 국무조정실의 국민만족도 조사에서 국세청은 13개 청 가운데 10위에 그쳤으나,지난해엔 6위로 뛰어 올랐다.한 민간기관의 여론조사에서도국세청은 98년 44.1%의 만족도를 보였으나,99년엔 67.9%로 높아졌다. 진경호기자 jade@. * 재벌 세무조사 입다문 국세청. 요즘 국세청 공보실 직원들은 매일 저녁 ‘해명자료’를 내느라 정신없다. 재벌개혁 세무조사와 관련된 신문기사를 부인하는 자료다.‘그렇다면 진실이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국세청 관계자들은 “사실과 다르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재벌그룹 세무조사설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지난 24일,국세청 손영래(孫永來)조사국장은 기자들과 맞닥뜨린 자리에서 “이제는 그만 하자”고 손사래를쳤다.“(조사대상 기업수가)4대그룹이니,20대그룹이니,100개니,언론이 너무앞서나간다.이제 그만 할 때도 되지 않았느냐” 기자들의 항의가 이어졌다.“정부부처 장관들이 세무조사를 공식 거론하고있는 마당에 정작 주무당국인 국세청만 침묵하고 있으니 자꾸 오보가 나오는것 아니냐. 최소한의 조사대상 범위 만이라도 확인해달라” 그래도 묵묵부답.심지어 그는 24일 시작된 정기법인세 조사에 대해서조차“알지 못한다”고 말해 빈축을 샀다.다른 관계자들도 마찬가지다.철저한 침묵 아니면 ‘NCND’(시인도 부인도 않는 정책)다.난무하는 설(說)로 소모적인 확인작업이 계속되고,기업들이 경영은 뒷전인 채 소문확인에만 매달리고있다고 항의해도 요지부동이다.그러면서도 “언제부터 바깥에서 세무조사를거론하게 됐는 지 모르겠다”며 정부 관계자들의 잇딴 세무조사 언급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불필요한 오보 방지를 위해서는 국세청이 최소한의 사안에 대해서는 확인해줘야 하지 않느냐”는 얘기가 국세청 내부에서부터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다. 안미현기자 hyun@
  • 고속도 하이패스제 새달 시행

    판교와 성남,청계 등 3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통행료 자동결제시스템인 ‘하이패스(High-Pass)제’가 다음달부터 시범운영된다. 기획예산처는 고속도로 이용 효율화 방안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분당 구간의 판교 톨게이트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성남·청계 톨게이트에 하이패스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24일 밝혔다. 하이패스 시스템은 하이패스 카드를 넣은 소형 전자요금인식기를 운전석 앞에 단 차량이 통과할 때 톨게이트 상단의 센서가 이를 감지,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방식이다. 도로공사는 판교 등 3개 톨게이트에 양방향 차로 1개씩을 전용으로 만들어하이패스 차량이 이용토록 할 방침이다.이용자는 톨게이트 영업소에서 전자인식기와 하이패스 카드를 구입해야 한다.하이패스 카드는 충전식으로 최대10만원까지 충전할 수 있고,전자인식기 가격은 3만원이다. 기획예산처는 이들 3개 톨게이트를 시작으로 오는 2006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25%에 하이패스 시스템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진경호기자 jade@
  • 예산처 인기 ‘시들’

    공무원들간에 기획예산처의 인기가 예전 같지 않은 모양이다. 기획예산처는 이달 들어 인터넷 홈페이지에 5급과 7급 공무원들의 지원 신청을 받고 있다.지원자를 중심으로 인력 풀(POOL)을 만들어놓고,자리가 빌때 적절한 인물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시한인 이달 말까지 열흘도 채 남지 않은 21일 현재 지원자는 5급 2명,6∼7급 6명에 불과하다.그나마 중앙부처 직원은 거의 없고,대다수가 청단위 기관에서 지원했다.문의도 하루 몇차례에 그친다. 예산처는 이처럼 지원상황이 부진하자 재무부와 인기순위 1,2위를 다투던과거 경제기획원 시절을 떠올리며 실망하는 기색이다.한 관계자는 “정책부서보다 실무부서를 선호하는 최근의 공직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 같다”며 “주된 업무가 예산에 그치다 보니 아무래도 다양한 재미는 없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그러나 이런 이유말고도 최근의 기획예산처 위상과 무관치않다는 지적도 나온다.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공공부문 개혁의 선봉에 섰던1∼2년 전에 비해 ‘목소리’가 작아진 때문 아니겠느냐는 해석이다. 진경호기자 jade@
  • 전자정부 구현 간담회 주요내용

    기획예산처는 21일 관계 전문가들을 초청한 가운데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가졌다.이날 간담회에서는 미국의 전자정부 추진상황과 삼성SDS의 업무전산화 사례가 소개되고,전자정부를 향한 우리 정부의 추진과제가 중점 논의됐다.간담회 내용을 요약한다. ■이용태(李龍兌)두루넷 회장=기존 행정조직과 제도,관행을 그대로 두고는전자정부 구현이 어렵다.공무원 개인 정보를 파일화해 조직 전체가 공유하고 정책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결재도 다단계 동시 결재체제로 바꾸고,시한안에 반대가 없으면 승인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등 업무방식도 바꿔야 한다.전자정부 추진과정에 세계 일류 기업들을 참여시켜 한국을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생산기지로 만드는 데 이들의 기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황성돈(黃聖敦)외국어대 교수=전자정부 구현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효과는 미미하다.행정 개혁작업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야 하고 이를위한 전담조직도 필요하다.전자정부기본법을 제정해 모든 법규들을 정보화시각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백두권(白斗權)고려대 교수=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보 표준화가 중요하다.많은 데이터베이스가 표준화되지 않아 기관간 공유가 힘들다.표준위원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정보화는 비용이 아니라 투자이다. ■차재성(車在盛)미시간대 연구교수=미국은 전자정부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정부’에서 나아가 ‘국민이 체감하고 혜택을 받는 정부’에 두고 있다.정부 구매와 국방물품 조달 등을 전자상거래로 추진하고 있고,세금 온라인 납부,학자금 인터넷 접수 등 다양한 전자민원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대통령이 중심이 된 강력한 리더십이 전자정부 추진에 필요하다. 진경호기자
  • 公共사업비 ‘멋대로 증액’ 사라져

    대형투자사업의 방만한 사업비 증액을 억제하는 총사업비 관리제도가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예산처는 내년 예산편성을 앞두고 정부 각 부처가 106개 대형투자사업에 대해 사업비를 60조5,809억원으로 5조2,629억원 늘려줄 것을 요구해 왔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현재 책정된 55조3,180억원보다 9.5% 늘어난 규모로,총사업비 관리제도가 본격 시행된 지난 96년의 38.8%는 물론 97년 20.2%,98년 28%,99년 19.3%와 비교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사업당 증액요구도 지난 96년에는 1,300억을 웃돌았으나,올해에는 500억원에 그쳤다. 이처럼 사업비 증액요구 규모가 줄어든 이유는 총사업비 관리제도를 통해부실공사 방지나 안전시공을 위한 예산 수요는 상당부분 반영해 온 반면 설계변경과 같은 사업 확대는 최대한 억제한 때문으로 예산처는 분석했다. 예산처 관계자는 “실시설계 결과 총사업비가 기본설계 단계에서보다 20%이상 늘어난 경우에는 사업의 타당성을 전면 재검토하고,지방자치단체나 사업시행 주체가 시설규모나 운영방식을 바꿔 사업비 증액을 요구할 때는 가급적수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사업비 증액요구가 가장 많은 부처는 건설교통부로,59개 사업에 2조2,188억원의 증액을 요구했다.철도청(11개 사업 1조2,710억원)과 해양수산부(9개 사업 1조1,709억원)가 뒤를 이었다. 진경호기자 jade@
  • 주민등록 등·초본-인감증명 첨부 민원 하반기부터 폐지

    하반기부터는 자동차를 사고 팔 때 구청에 인감증명을 내지 않아도 된다.자동차번호판을 바꿀 때에도 주민등록 초본을 낼 필요가 없다. 기획예산처는 주민등록 등·초본이나 인감증명을 첨부해야 하는 각 부처의민원 267건 가운데 141개 민원에 대해 이들 서류를 첨부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주민등본을 첨부할 필요가 없어지는 민원은 보험중개인허가(금융감독위),사망자 보상금 지급신청(행정자치부),정보통신공사업허가(정보통신부),이·미용사 면허증 재교부 신청(보건복지부) 상속세·증여세 과표신고(국세청) 등56건에 이른다. 주민초본은 자동차등록번호판 재교부 신청(건설교통부),주주·임원 변경신고(국세청),학원설립등록(교육부),제대군인지원신청(국가보훈처) 등 36개 민원에서 첨부할 필요가 없어진다. 인감증명도 배상신청(법무부),교육시설 등록(교육부),법인 설립허가(문화관광부),자동차이전등록(건설교통부) 등 49건에서 첨부요건이 폐지된다. 부처별로는 농림부 등 6개 기관이 이들 서류의 제출의무를 완전히 없앤 반면 외교통상부는 해당되는 민원 13건의 서류첨부 요건을 그대로 유지키로 해보다 적극적인 감축의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기획예산처는 각 부처가 그대로 둘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낸 나머지 126건에 대해 규제개혁위원회에 상정,추가 폐지여부를 검토키로 하는 한편 정부산하기관과 금융기관에도 민원서류 감축방안을 마련토록 요청하기로 했다. 예산처 관계자는 “지난해 주민등록 등·초본이 1억500만장 발급됐으나 이같은 첨부서류 감축계획으로 연간 1,000만장 이상 발급이 줄어들게 돼 국민들의 불편과 행정비용이 상당부분 절감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다음달 중 규제개혁위의 심의가 끝나는 대로 민원서류 감축방안을 확정짓고 오는6월 국무회의에서 행정자치부의 민원사무처리규정을 개정할 방침이다. 진경호기자 jade@
  • 공기업 홈페이지 등급매긴다

    공기업의 인터넷 홈페이지가 정부의 평가를 받는다. 기획예산처는 오는 6월까지 13개 정부투자기관과 8개 정부출자기관 등 21개공기업의 홈페이지를 고객 중심으로 대폭 개선토록 한 뒤 7월 중 평가작업을 실시하겠다고 18일 밝혔다. 기획예산처 관계자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서비스 향상에 각 공기업이 경쟁토록 하는 환경을 조성,고객만족 경영과 디지털 경영의 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으로 평가작업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각 공기업 홈페이지의 국민생활 관련 정보를 강화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일례로 한국도로공사는 ‘교통상황 실시간 안내서비스’,한국감정원은 ‘부동산시황 정보서비스’를 제공토록 한다는 것이다. 또 전기요금이나 통화불량 같은 서비스 관련 문의와 조치내용을 함께 고객게시판에 싣도록 해 민원처리를 더 신속하고 투명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공기업의 전자상거래 기반을 강화,전자조달과 구매 등 전자비즈니스를 활성화해 경영의 투명성과 관련업체의 편의를 높이는 방안도 추진한다. 기획예산처는정보통신부 산하 기업정보화지원센터에 공기업 홈페이지 전담조직을 구성해 자체분석과 전문가 평가,설문조사 등의 방법으로 7월 중 평가작업을 벌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진경호기자 jade@
  • 株價 요동…공기업 민영화 차질 우려

    주식시장이 극도로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면서 일부 공기업의 민영화 일정에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주가 폭락으로 지분매각 작업이 차질을빚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가고 있다. 정부가 올 상반기 안에 매듭짓기로 한 공기업 민영화 일정은 포항제철의 산업은행 지분 9.84% 매각과 한국중공업의 전략적 제휴 및 상장,한국가스공사증자(1,300억원),대한송유관공사 정부지분(46.5%) 매각,지역난방공사의 안양·부천 열병합발전소 매각 등이다.이 가운데 포철 주식 매각과 한국중공업의 상장,가스공사 증자는 주가동향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정부는 포철의 산업은행 지분을 주식예탁증서(DR) 형태 등으로 국내외 증시에 매각한다는 방침이다.그러나 주가가 폭락하자 ‘과연 낮은 가격을 감수하고서라도 매각을 강행해야 하느냐’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중공업은 이달 중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사 등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25%의 지분을 매각하고,이와 별도로 24%의 지분을 증시에 상장하는 일정이 잡혀 있다.그러나 주가가 폭락하면서 상장주간사인 증권사측에서 ‘제값을 받으려면 상장일정을 늦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역시 지금 시세로는 1,300억원의 증자가 여의치 않다는 지적이 높다.이밖에 대한송유관공사의 정부지분 46.5% 매각도 우선협상 대상인정유 4사 등이 주당 1만9,800원의 정부제시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며 매입에난색을 보여 이달 말까지 타결될지 미지수다. 이같은 증시 상황에 대해 정부는 ‘당초의 민영화 일정에 변함이 없다’고못박는다.기획예산처 관계자는 18일 “뉴욕 증시에서 국내 주요 공기업의 DR는 국내 주가보다 5∼12% 정도 높은 가격에 형성돼 있다”며 “당장의 주가폭락으로 민영화 일정이 바뀌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이런 자세에는 ‘민영화 일정이 늦춰지면 국가신인도에 직접 타격을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담겨 있다.그러나 낮은 가격을 감수하고 매각을 강행한다면 ‘국부유출’ 논란의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높다.정부의 딜레마인 셈이다.정부는 올해 초 ‘주식시세 등 경제여건을 감안해 공기업 지분매각을 탄력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었다.주가하락이 장기화할 경우 공기업 민영화 일정도 다소간 수정이 불가피할 듯하다. 진경호기자 jade@
  • SOC 民資유치 世銀서 배운다

    SOC(사회간접자본시설) 건설에 대한 민간투자를 촉진할 방안을 찾기 위해정부가 세계은행에 ‘훈수’를 요청하고 나섰다. 세계은행의 워릭 스미스 민간투자팀장과 J.P 싱 수석연구원은 17일 정부 초청으로 방한,진념 기획예산처 장관을 예방했다. SOC사업에 민간자본을 좀더 많이 끌어들일 방법을 알려달라는 것이 정부의 초청 이유다. 이들은 오는 20일까지 국내에 머물며 민간투자제도 전반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자문하게 된다. 기획예산처와 건설교통부,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개발연구원(KDI),국토연구원 같은 연구기관들도 방문한다. 예산처 관계자는 “투자대상을 선정할 때 우선 고려돼야 할 요인과 민간투자 경쟁촉진 방안,정부의 지원기준 등 구체적인 방안을 이들과 협의,국내 민간투자제도를 국제적 기준에 부응하도록 개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95년 이후 32개 SOC사업을 선정,민간투자를 추진해 왔으나 지지부진하자 지난달 인천국제공항 철도건설,부산신항만 1단계 사업 등 8개 주요 SOC사업을 중점지원사업으로 따로 뽑아상반기 중 민간투자를 가시화한다는 방침을 마련했다. 진경호기자 jade@
  • OECD 공공관리委 부의장 피선 申康淳 예산처 행정개혁단장

    신강순(申康淳) 기획예산처 행정개혁단장이 최근 파리에서 열린 경제 협력개발기구(OECD) 21차 공공관리위원회(PUMA)에서 부의장 4명 가운데 1명으로 선출됐다. 신 단장의 PUMA 부의장 진출은 IMF 이후 우리나라가 추진해온 공공개혁의 성과를 OECD 회원국들이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PUMA 부의장에 선출된 소감은. 우리 정부의 공공개혁이 국제사회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우리보다 훨씬 앞서 OECD에 가입한 일본이 아직도 의장단에참여하지 못했다는 점이 우리 개혁에 대한 선진국들의 시각을 말해 준다.아시아에선 우리가 유일하게 PUMA의장단에 진출한 셈이다. □PUMA의 역할은. 회원국간 경제협력도 결국 공공부문의 발전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창설됐다.OECD 회원국들이 공공부문의 개혁방향을 논의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데 필요한 지원활동도 PUMA가 맡는다.새로 구성된 PUMA 의장단은 올해논의할 주요 의제로 ‘규제개혁과 정부의 투명성·책임성 향상’과 ‘공무원의 능력 향상’ 등 두가지를 선정했다. □PUMA 의장단 진출로 기대되는 점은. ‘관료들의 부패가 심한 나라’라는,과거 국제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공공개혁에 가장 앞선 나라’라는 인식으로 바꿀 계기의 하나가 될 것이다.‘공공개혁이 필요한 나라’에서 앞으로는 ‘국제사회의 공공개혁을 이끄는 나라’로 국가이미지를 전환할 호재인 것이다.선진국들이 추진해 온 공공개혁의노하우를 배우고,향후 개혁 방향에 대해서도 보다 많은 정보와 협력을 얻을것으로 기대한다. 진경호기자
  • 국세청 예산성과금 62억 1위

    국세청 등 10개 행정기관에 68억원의 예산성과금이 지급된다. 기획예산처는 최종찬(崔鍾璨) 차관 주재로 예산성과금심사위원회를 열고 지난해 하반기 각 행정기관의 예산절약 성과를 심사,이같이 결정했다고 16일밝혔다. 기관별 예산성과금은 국세청 62억1,500만원,건설교통부 1억9,100만원,관세청 1억1,700만원 등이다. 국세청은 A기업이 지난 96년부터 거액을 해외로 빼돌린 사실을 적발해 143억원을 세금으로 추징하는 등 지난해 하반기 214건의 세원을 추가 발굴,1조7,857억원의 세입을 늘려 성과금을 받게 됐다.국세청은 세입증대 기여도에 따라 조사요원과 체납세금 징수에 공이 큰 직원들에게 성과금을 나눠줄 계획이다. 건설교통부는 사북∼고한간 국도건설 설계를 바꿔 공사비 35억여원 가운데12억여원을 절약하는 등 18건에 걸쳐 120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행정자치부는 행정전화망에 전자교환기를 설치,중앙과 지방의 각 행정기관이 시내전화 요금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해 전국 공공기관의 시외전화요금을연간 121억원 줄이도록 했다. 예산성과금제도는 창의적인 노력을 통해 예산지출을 줄이거나 세입을 늘린공무원 및 행정기관에 절감액 일부를 인센티브로 주는 제도로, 공무원 개인은 최고 2,000만원까지 받는다.처음 실시된 98년 이후 지난해 상반기까지 25건 450억원의 예산절감을 통해 85억원의 성과금이 지급됐다. 기획예산처는 지금까지 선정된 사례를 책자로 만들어 다음달 말까지 각 행정기관에 배포,예산절감에 적극 활용토록 할 계획이다. 진경호기자 jade@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