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진경호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739
  • 공적자금 청문회 파행안팎

    109조원의 공적자금 집행실태를 파헤치려던 국회 청문회가 ‘진행방식’이라는 엉뚱한 암초에 부닥쳐 17일 이틀째 공전했다.한나라당은청문회 거부를 공언하고 나섰고,민주당과 자민련은 단독으로라도 열겠다는 태세여서 자칫 반쪽 청문회 가능성마저 우려된다. ■파행 안팎 “증인들을 한 데 모아놓고 신문하자”(한나라당),“나눠 신문하자”(민주당)는 논란이 파행의 발단.여야는 16일부터 청문회를 중단한 채 몇차례 간사협의를 갖고 절충을 시도했으나 끝내 접점을 찾지 못했고,결국 17일 오전 각각 기자회견을 갖고 ‘마이웨이’를 선언했다. 한나라당은 “증인을 한사람씩 신문하자는 주장은 청문회를 무력화해 공적자금 부실 운영에 면죄부를 주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증인과 참고인 55명을 닷새간 개별신문할 경우 특위 위원 1명이 증인 1명에게 2분씩밖에 질문하지 못해 실질적으로 신문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반면 민주당은 “개별신문이 청문회 기본원칙”이라며 “증인들을두 집단으로 나눠 부분적 일괄신문을 하자는 양보안조차 한나라당이거부한 것은 공적자금의 실체를 규명하기보다 정치공세로 일관하겠다는 저의를 드러낸 것”이라고 반박했다.특위 간사인 강운태(姜雲太)의원은 “죄인도 아닌 증인을 하루 종일 청문회장에 앉혀놓는 것은인권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여야 간사인 민주당 강운태·한나라당 이강두(李康斗)의원은 오전과오후 잇따라 절충을 벌였으나 끝내 거리를 좁히지 못했다. 이 때문에전날 김진만(金振晩) 한빛은행장 등 13명에 이어, 이날도 이재진 전동화은행장 등 증인과 참고인 8명이 온종일 청문회장에서 대기하며시간을 허비했다. ■여야의 속내 19일로 예정된 청문회가 파행의 뇌관이다.이날은 진념재경부장관,강봉균(康奉均) 전 재경부장관, 이근영(李瑾榮) 금감위원장,이헌재(李憲宰) 전 금감위원장이 증인으로 나온다. 한나라당은 공적자금 투입과 집행을 주도한 이들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대질신문을벌여 엇갈린 증언을 유도,정부의 ‘실정’을 공격하겠다는 전략이었다. 반면 민주당은 이같은 한나라당의 전략을 원천봉쇄하겠다고 나서결국 진행방식의 대립으로 이어졌다.진경호기자 jade@. *한빛銀 불법대출 청문회 결산.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가 17일 청문회를 끝으로 28일 간의 일정을 마감했다.박지원(朴智元) 문화관광부 장관의 퇴진으로까지 이어진 이번 사건은 외압 여부를 놓고 국민적 관심을 모았고,그만큼 국정조사에 대한 기대도 컸다.그러나 국정조사의 제도적한계와 관련 당사자들의 엇갈린 증언으로 실체를 파헤치는 데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실패한 실체 규명 한빛은행 관악지점이 아크월드 박혜룡(朴惠龍)사장에게 불법 대출하는 과정에 박 전 장관의 압력이 있었느냐가 조사의 핵심이었다.그러나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구속 중인 신창섭(申昌燮) 전 관악지점장이 “불법으로 대출하면서 이수길(李洙吉) 부행장 윗선의 압력을 느꼈다”며 은근히 박 전 장관의 외압을 시사했으나,신빙성을 놓고 여야의 공방만 벌어졌을 뿐이다. 박 전 장관이 신용보증기금에 아크월드에 대한 보증을 확대하도록압력을 넣었다는 의혹 역시 규명되지 않았다.이운영(李運永) 전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은 “두차례에 걸쳐 박 전 장관의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했으나,박 전 장관은 “받았다는 증거부터 제시하라”며 부인했다. 여야 의원들도 엇갈린 증언을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며 공방만 거듭했을 뿐 지난해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때보다 진전된 조사활동을 보이지 못했다. ■청문회 무용론 국정조사가 별 소득을 거두지 못함에 따라 정치권안팎에는 청문회 무용론마저 제기되고 있다.수사에 버금가는 조사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해가 엇갈린 증인들의 상반된 주장만 되풀이해 들어 봐야 성과가 없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국정조사의 실효성을높이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청문회에서 나타난 의원들의 태도도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 지적된다.일부 의원들은 만족스런 증언을 얻지 못하자 여자문제 등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내용을 끄집어내 인권시비를 낳았다.답변할 기회도 주지 않고 자기 주장만 나열하는 태도 역시 개선돼야 할 사항이다.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청문회 전체 신문시간 중 질문이 4분의 3가량을 차지했다는 게 청문회 관계자의 분석이다. 진경호기자 jade@
  • 공적자금 청문회 파행

    109조원의 공적자금에 대한 국회 청문회가 16일 시작됐으나 첫날부터 진행방식에 대한 여야의 이견으로 증인신문을 못하는등 파행을 겪었다. 국회 공적자금특위는 이날 김진만(金振晩) 한빛은행장 등 증인 9명과 참고인 4명을 출석시킨 가운데 청문회를 열었으나 증인들을 개별신문하자는 민주당 주장과 한데 모아 신문해야 한다는 한나라당 주장이 맞서 진통을 거듭했다.여야는 간사간 협의를 계속했으나 접점을찾지 못해 끝내 이날 청문회를 열지 못했다. 한편 국회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 국정조사특위는 이날 이운영(李運永) 전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과 최광식(崔光植) 전 경찰청 사직동팀장 등 증인과 참고인24명을 출석시켜 나흘째 청문회를 계속했다. 진경호기자 jade@
  • 신창섭 前 관악지점장 돌연 말바꿔 배경 촉각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의 핵심당사자인 신창섭(申昌燮) 전 한빛은행관악지점장의 발언이 달라졌다.지난 12일 시작된 국회 청문회에서 ‘외압’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지난해 10월 국정감사 때 철저히 ‘모르쇠’로 일관하던 데서 크게 달라진 것으로,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씨는 15일 청문회에서 “이수길(李洙吉)부행장 윗선의 압력을 느꼈다”고 말했다.박지원(朴智元) 전 문화관광부 장관을 겨냥한 발언이다.“불법대출 역시 아크월드 박혜룡(朴惠龍) 대표 뒤에 박 전 장관이 있다고 생각해 한 것이다”는 주장도 했다.신씨는 박대표가 인척인 박 전 장관을 자주 거명했던 사실과 그 내용도 소상히 증언했다.‘지원이 삼촌이 개각 인선 때문에 바쁘시다고 한다’ ‘지원이 삼촌에게 돈을 갖다줘야 한다’는 등의 말을 박대표가 했다는 것이다. 신씨는 지난해 10월25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때 “박 전 장관으로부터의 외압은 없었다” “외압이 있었다면 복잡한 대출과정을 거치지 않았을 것”이라며 ‘외압’을 부인했었다. 청문회장 주변에서는신씨의 태도 변화가 한나라당과의 접촉과 무관치 않다고 분석한다.‘단순사기대출사건’보다는 ‘외압에 의한 불법대출사건’이 자신에게 그나마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다. 진경호기자 jade@
  • 박지원씨 외압의혹 엇갈린 증언

    국회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 국정조사특위는 15일 박지원(朴智元)전 문화관광부 장관과 이운영(李運永) 전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등을 증인으로 출석시킨 가운데 사흘째 청문회를 열어 불법대출의 외압 여부를 따졌다. TV로 생중계된 청문회에서 여당 의원들은 증인신문을 통해 박 전 장관의 외압이 없었음을 규명하려 한 반면,한나라당측은 박 전 장관의압력에 따른 권력형 금융비리임을 입증하는 데 진력했다.그러나 핵심증인들의 엇갈린 증언 속에 여야의 공방만 이어져 사건의 실체를 규명하지는 못했다. 진경호기자 jade@
  • 대통령 연두회견 실천 국정협의회 개최

    민주당과 자민련이 12일 공조 복원 후 첫 국정협의회를 갖고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전날 연두기자회견 내용을 실천에 옮기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이날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협의회에서는 정국 현안에서부터 민생에 이르기까지 양당 협의를 통해 구체적 대책을마련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협의회에는 이한동(李漢東) 총리,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자민련 김종호(金宗鎬) 총재권한대행,청와대 한광옥(韓光玉) 비서실장·남궁진(南宮鎭) 정무수석,양당 3역 등여권 고위인사 다수가 참석했다. 협의회에서 양당은 공조의 방향과 정국 현안에 대한 입장,민생·경제대책 등을 9개 항의 합의문으로 정리,발표했다.양당은 DJP공조에있어 “국정의 모든 분야에 걸쳐 실사구시(實事求是)적 협의를 통하여…”라고 합의문에 명시,정국 전반에 걸친 공조를 재확인했다. 협의회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선거공조.국정협의회 운영규정 제2조(기능)를 개정,양당의 협의·조정 대상으로 ‘양당의 주요 정책과국회대책 및 기타 양당의 공조에 필요한 사항’ 외에 선거대책을 추가했다.선거공조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양당은 오는 4월과 10월 각각 예정된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보궐선거뿐 아니라 내년 6월 4대 지방선거에서도 공조할 것으로예상된다.김대중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가 지난 8일 회동에서 임기 말까지 공조하기로 합의한 점을 감안하면 2002년대선 공조로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열어 둔 셈이다.민주당 김영환(金榮煥) 대변인은 “공조를 복원한 마당에 선거 역시 공조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양당은 정국 현안과 국회운영에 대해서도 한 목소리를 냈다.안기부예산 선거자금 지원에 대한 검찰의 엄정한 수사와 책임 추궁을 촉구하고,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 의원 체포동의안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다짐했다.지난 10일 개회된 217회 임시국회는 한나라당의 정치공세를 위한 국회로,응할 수 없다는 입장도 거듭 밝혔다. 진경호기자 jade@
  • 국회 한빛銀 청문회

    국회는 12일 박혜룡(朴惠龍) 아크월드 대표 등 관련 증인들을 출석시킨 가운데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에 대한 청문회를 열어 박지원(朴智元) 전 문화관광부 장관의 외압의혹을 집중 추궁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신창섭(申昌燮) 전 한빛은행 관악지점장은 “박 장관으로부터 직접적인 대출압력을 받은 적은 없다”고 외압의혹을 부인했다. 신 전 지점장은 그러나 “박 대표의 배후에 박 장관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해 권력의 힘을 믿고 불법대출을 했음을 시인했다. 박혜룡씨는 “불법대출을 위해 박 전 장관에게 압력을 넣어달라고청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진경호기자 jade@
  • 여야 경색 급속히 심화

    옛 안기부예산 선거지원 여부에 대한 검찰수사와 관련,법원이 11일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의원 체포동의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함에 따라 정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민주당은 엄정한 대처를 강조하며 체포동의안 처리방침을 밝힌 반면한나라당은 정권퇴진 운동을 검토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만섭(李萬燮)국회의장이 APPF(아시아·태평양의회포럼)총회 참석을 위해 13일 칠레로 출국하는 데다 민주당 안에서도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어 여야간 대치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사건은 국가예산을 도용,총선에 살포한 사건으로 한나라당과 이회창(李會昌) 총재는 진실규명을위해 수사에 협조해야 한다”며 강 의원의 검찰 출두와 안기부 예산국고반납을 거듭 촉구했다. 이에 한나라당은 이날 박순용(朴舜用)검찰총장과 김대웅(金大雄) 대검 중수부장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발하고 ‘정치비자금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을 국회에 제출하는등 역공에 나섰다. 한나라당 김기배(金杞培) 사무총장은 “더이상 DJP에 나라를 맡길수 없다는 국민적 저항운동이 벌어질 움직임”이라며 “정권퇴진운동을 심각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경호기자 jade@
  • 대통령 연두회견/ 향후 여야관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11일 연두회견을 통해 현 정국에 대한 인식과 향후 정국운영 구상을 가감없이 밝혔다.한나라당의 비협조로 정국 불안정이 초래됐으며,따라서 자민련과의 공조를 통해 정국안정을꾀하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적사태에 대해 김 대통령은 “불가피한 일로,국민들의 비판은 감수하겠다”며 “그러나 야당은 스스로 비판할 입장이 되는지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과거 여당 시절 야당의원들을 빼갔던한나라당의 행태를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나아가 DJP공조 복원에대해서는 “4·13총선에서 자민련을 ‘캐스팅보트’로 삼은 민의를거스르지 않으면서 정치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에 대한 서운함도 여과없이 드러냈다.김 대통령은 아울러 “야당과 잘 지내고 싶다”고 했으나 끝내 협력을 얻지 못할 때는 자민련과 함께 제 길을 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날 밝힌 정국인식은 한나라당의 시각과 현격한 거리를 두고 있어당분간 여야의 가파른 대치를 예고한다. 진경호기자 jade@
  • 2與, 경색정국 초강경 대처

    민주당 장재식(張在植)의원이 10일 자민련에 전격 입당,자민련이 곧바로 국회 교섭단체 등록을 마치는 등 공동여당이 정국운영의 강경드라이브를 걸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이번 장 의원 이적은 이적사태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양당 지도부가 직접 추진한 것이어서 강성기조 유지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동여당의 강성기류는 옛 안기부 자금의 총선 유입 수사와 관련,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의원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처리 공조 여부가 첫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민주당에 탈당계를 제출,곧바로 자민련에 입당한 뒤 한·일의원연맹 신년하례회 참석을 이유로 김종필(金鍾泌)자민련 명예총재 등과 일본으로 출국했다. 자민련이 이날 국회 사무처에 교섭단체 등록을 마침으로써 정국은민주당(115석)과 자민련(20석),한나라당(133석),민국당(2석),한국신당(1석),무소속(2석)등 총선 전의 ‘2여1야 체제’로 환원됐다. 장 의원의 자민련 이적은 지난 8일 김종필 자민련 총재가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정식 요청한 뒤 9일 민주당 김중권(金重權)대표와 자민련 김종호(金宗鎬)총재권한대행이 협의,이날 장 의원의동의로 이뤄졌다. 그러나 정국은 검찰의 안기부 선거자금 수사와 맞물려 상당 기간 여야의 강경 대치가 예상된다. 또 공동여당의 잇단 강경기조는 정국 안정 및 정국 주도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의원의 영입 등 소폭의 정계개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야당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관측된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경제 안정을 위해서는 정치안정이 있어야 한다는 소신에 따라 장 의원이 흔쾌히 동의했다”고전하고 “자민련과의 합당은 전혀 생각해본 일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2차 임대극은국정 포기 선언”이라며 “김대중 대통령을 국가원수로 더 이상 인정해야 할지 국민들은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할 지경”이라고 맹비난했다. 진경호기자 jade@
  • 與 “”철저수사·국고환수”” 촉구 野 “”정계개편 방편이용””성토

    *민주당. 이번 사건을 ‘안기부예산 횡령 총선 살포사건’으로 규정,단호한 대처를 거듭 천명했다. 9일 오전에 열린 당 4역회의에서 김중권(金重權)대표는 “여든 야든검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고 진상을 밝혀야 한다”며 검찰의 성역없는수사를 강조했다. 이재정(李在禎)의원은 “지원된 자금은 소속 당이 책임을 지고 국고로 되돌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환(金榮煥)대변인은 “이 사건은 국민의 혈세를 불법으로 횡령한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규정했다.나아가 “한나라당의 전신인 신한국당은 횡령한 국가예산으로 세워진 정당임이 드러났다”고 공세수위를 높였다. 그는 야당 탄압이라는 한나라당 주장에 대해 “이번 사건은 정치집단이 저지른 일”이라며 “정치개혁을 책임진 여당으로서 침묵하는것은 직무유기”라고 반박했다. 김대변인은 “이번 사건에 적극 대응하라는 국민들의 전화가 중앙당과 지구당에 빗발치고 있다”며 “이번에도 흐지부지한다면 이 정부와 민주당에 더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는 게 민심”이라고 말해 단호히 대처할 뜻을 분명히밝혔다. 진경호기자 jade@. *한나라당. 15대 총선 때 안기부자금을 받은 후보의 명단이 공개되자 주요당직자회의와 국정위기비상대책위(위원장 河舜鳳)를 잇따라 열어 검찰과 여당을 성토했다. 명단이 유출돼 형(刑)이 확정되기 전에 피의사실이 공표된 것과 “정치권이 정략적으로 이용하지 말라”는 박순용(朴舜用)검찰총장의신년기자회견을 문제삼아 검찰총장의 사퇴를 촉구했다.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비자금을 조사하기 위한 특검제 도입도 요구했다.이회창(李會昌)총재는 “진실은 제대로 밝혀야 하지만 법을 행사한다며 야당을 압박하는 것은 정의롭지 못하다”면서 “단순히 정치자금 내역을캐는 것이 아니라 정계개편의 방편이라는 의혹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철현(權哲賢)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97년 말 여야 합의로 정치자금법을 개정한 취지는 개정 이전의 정치자금 문제는 묻어두고 새롭고깨끗한 정치의 출발을 다짐한 것”이라면서 “그런데도 여당은 대국민 약속을 저버리고 정치보복과 야당탄압에 나서고 있다”고 비난했다.또“과거 문제를 끄집어내 문제를 삼겠다면 대통령의 20억+α,670억+α,재벌로부터 받은 비자금,16대 총선자금도 동시에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찬구기자 ckpark@
  • 국회 폐회… 오늘 다시 소집

    국회는 9일 오후 본회의를 열어 벤처기업육성법 개정안 등 16개 법안을 제·개정한 뒤 폐회했다.그러나 한나라당의 요구로 10일부터 217회 임시국회가 다시 소집된다. 본회의에서 여야는 5분자유발언을 통해 검찰의 안기부 총선자금 지원 수사와 이적 파문 등 정국현안을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본회의에 앞서 여야는 총무회담을 갖고 10일 소집될 임시국회 의사일정 등을 논의했으나 민주당측은 이를 ‘강삼재(姜三載) 방탄국회’로 규정,응하지 않겠다고 밝혀 논란을 벌였다. 진경호기자 jade@
  • DJP 공조 본격 시동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간 ‘DJP’공조가 가시화되고 있다. 민주당과 자민련은 9일 오후 국회에서 첫 양당 공조 당정회의를 열고 설해대책 문제를 논의함으로써 본격적인 공조에 시동을 걸었다. 국회 자민련 총재실에서 열린 당정회의에는 김중권(金重權) 민주당대표,김종호(金宗鎬) 자민련 총재대행을 비롯한 양당 지도부와 최인기(崔仁基) 행자,김윤기(金允起) 건교,한갑수(韓甲洙) 농림장관 등이참석,폭설사태에 대한 늑장대응 및 이재민 대책 등을 집중 협의했다. 이에 앞서 김대통령과 김명예총재는 전날 만찬회동을 갖고 “양당은국정협의회와 당정책조정회의 등을 조속히 재가동하도록 한다”고합의했었다.이같은 합의가 이루어진 지 하루 만에 당정회의가 부활된셈이다.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28일까지 계속될 올해 23개 정부부처업무보고에 양당 정책위의장을 배석토록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97년 대선 직전 민주당의 전신인 국민회의와 자민련간 체결된‘DJP 후보단일화 합의문’에 따라 만들어진 국정협은 공동여당의 최고위급 협의기구로 국무총리를 의장으로 하고 양당 동수대표로 구성되는 기구이다. 양당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폭설사태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처하지못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에 대해 철저히 진상을 조사,책임을 물어 공직사회의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와 함께 중앙재해대책본부를 중심으로 관련부처간 합동으로 피해조사를 실시해 피해농가 또는 이재민 등에 대해 국세·지방세 감면및 납세기한 연기,영농자금상환연기 및 이자 감면,중고생 학자금 감면 등의 지원을 펴기로 했다. 회의에는 양당 대표 이외에 민주당 박상규(朴尙奎) 사무총장·남궁석(南宮晳) 정책위의장·정균환(鄭均桓) 원내총무,자민련 오장섭(吳長燮) 사무총장·이재선(李在善) 정책위의장·이양희(李良熙) 원내총무 등이 참석했다. 진경호 이종락기자 jrlee@
  • DJP공조 방향과 전망/ ‘힘있는 2與체제’로 정국 주도

    8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종필(金鍾泌)자민련 명예총재의 DJP공조 복원으로 정치지형이 현 정부 출범때의 2여1야 체제로 복귀했다.지난해 4·13 총선을 앞두고 양측이 갈라선 지 근 1년 만에 정국이거여(巨與)와 거야(巨野)가 마주서는 구도로 바뀐 셈이다. 청와대와 민주당은 DJP 공조에 바탕을 둔 ‘힘 있는 여당’을 통해국정을 주도적으로 이끈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국정협의회를 부활하고 자민련이 참여하는 당정회의도 재개해 국정운영 방향을 조율하고 세부적인 정책 공조도 이뤄나갈 계획이다. 개각을 통해 행정부에도 공동정부의 한 축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복안이다. 특히 자민련 의원의 행정부 참여 폭은 공조의 굳기와 강도를 가늠할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김 대통령이 구상 중인 4대 개혁 마무리 등 국정쇄신 방안에 자민련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될 것인가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다. 청와대 박준영(朴晙塋)대변인도 “두 분은 경제 회생과 4대 개혁 완수 등 국정개혁 과제와 정국 안정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말해 DJP 공조의 참뜻이 개혁 마무리와 정국 안정에 있음을내비쳤다. 이는 또 김 대통령이 밝힌 ‘강한 정부,강한 여당론’과 맞물려 굴러갈 가능성이 크다.즉 DJP 공조 복원은 향후 정국운영 강도를 짐작할 수 있게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같은 구상은 필연적으로 한나라당과의 첨예한 대립으로 이어질 공산이 짙다.민주당과 자민련(136석),한나라당(133석) 모두 과반수(137석)를 넘지 못한 의석구도를 감안할 때 국회운영 역시 난항이 예상된다. 또 DJP 공조가 정권 교체를 이룬 과거의 응집력을 되찾을지도 관심이다. 대선 스케줄에 비춰볼 때 이번 공조 복원은 97년 대선을 앞두고 탄생한 ‘DJP연합’과 거의 일치한다. 일단 2002년 대선에 목표를 맞춘정지작업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자민련 핵심 관계자는 “공조는 하지만 자민련의 정체성은반드시 유지한다는 것이 김 명예총재의 생각”이라고 전했다.또 남북문제 등에 있어 자민련 나름의 목소리를 내겠다는 뜻도 분명히했다. 대권구도의 가변성을 감안할 때 DJP 공조가 곧바로 차기 대선으로이어질 것으로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얘기다.아직은 건너야 할 강이산적해 있다. 진경호기자 jade@
  • 與野대치…임시국회 파행 예상

    국회는 8일 본회의를 열어 계류법안을 처리하고 9일 제216회 임시국회를 폐회할 예정이나 안기부 예산의 구여권 선거자금 지원 수사 등정치쟁점을 둘러싼 여야 대치 심화로 파행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의·약·정 합의로 마련된 약사법 개정안을 비롯해 반부패기본법,기금관리기본법 등 국회 관련 상임위와 법사위에 계류중인각종 법안의 이번 회기내 처리가 무산될 뿐 아니라 앞으로 상당기간입법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번 임시국회가 끝나는 대로 10일 제217회 임시국회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민주당이 ‘방탄국회’라며 거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어 야당단독으로 소집될 새 임시국회는 상당기간 공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8·9일 본회의에서 5분발언 이외에도 총리·재경·법무·노동장관 등을 출석시킨 가운데 의원이적,안기부 예산의 선거자금지원수사,정계개편론과 개헌론,경제현안 등 각종 정치·경제 쟁점에대한 긴급현안질문을 벌일 방침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를 ‘검찰수사 방해를 위한 정치공세’로 간주,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하고,각종 계류법안도 상임위 심의가 끝나지 않아 당장 처리할 법안이 없다며 본회의 개최에 부정적인 자세여서 8·9일 본회의 개최여부가 불투명하다. 다만 8일 오전 열릴 법사위와 여야 총무 또는 수석부총무간 접촉에서 특허관련법 등 일부 비쟁점 법안의 처리에 합의할 경우 8일이나 9일 본회의가 열릴 가능성이 있으나,한나라당은 5분발언을 통해 안기부 선거자금 수사 의도 등을 집중 공격할 방침이어서 여야간 격돌이예상된다. 진경호기자 jade@
  • 선거법 연내 개정키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柳志潭)는 7일 ‘올 주요사업계획’을발표,내년 지방선거와 16대 대선에 대비해 올해 안에 시민단체의 선거운동 허용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등 선거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또 무효표 방지를 위해 투표용지의 후보자별 기표란 간격을 넓히는방안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으며,장애인 투표권 보장을 위해 투표소를건물 1층에 설치하도록 할 방침이다. 진경호기자
  • 공세수위 높인 민주당/ 與, 李會昌총재 ‘정조준’

    민주당은 7일 안기부의 선거자금 지원에 대한 대야(對野)공세를 이어갔다.총풍·세풍과 연결지으며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다.검찰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데서 한 걸음 나아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해명과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이날 김중권(金重權)대표와 당 4역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의원의 즉각적인 검찰 출두와 이 총재의 사과를 촉구했다.이 총재에 대해 “부도덕하다”는비난도 마다하지 않았다.회의내용을 종합하면 민주당은 “96년 15대총선 때 안기부가 지원한 돈을 강삼재 선거대책본부장이 직접 집행했고,이를 이회창 선거대책위의장도 소상하게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김영환(金榮煥)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뒤 “이번 사건은 총풍·세풍의 예고편이자 종합편”이라며 “이 총재는 세금으로 선거를 치르고,북한군에게 총격을 요청하고,간첩 잡는 안보자금을 총선에 뿌린 데대해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공격했다.이어 “안기부 예산만선거자금으로썼어도 법정선거비용의 4배를 초과한 것”이라며 “후원금,국고지원금 등을 합하면 당시 신한국당은 법정선거비용의 10∼20배의 돈을 썼다는 결론이 나온다”고 압박했다.김 대변인은 “안보를 위해 써야 할 국가예산을 선거자금으로 빼낸 엄청난 국기문란사건을 처벌하지 않는 나라가 세상 어디에 있겠느냐”며 강 의원의 검찰출두와 엄정한 사법처리를 촉구했다. 자민련도 DJP공조 복원을 재확인하듯 대야 공세의 전면에 섰다.논평과 성명 등을 통해 “이 총재는 안기부 선거자금의 진실을 밝히고,총재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그러나 연일 맹비난을 퍼붓고 있는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을 피했다.전선(戰線)을 한나라당과 이 총재에게로 국한하겠다는 뜻이 역력하다.한 당직자는 “김 전 대통령을언급해 이번 사건이 ‘3김1이’의 정치싸움으로 비치도록 할 이유는없다”고 말했다. 진경호기자 jade@
  • DJP 오늘 회동…정국혼미 이번주 고비

    옛 안기부 예산의 지난 96년 총선자금 유입을 둘러싸고 ‘벼랑끝’대치중인 정치권에 대한 시민들의 비난 여론이 높다.특히 실업,물가등 경제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시점에 정치권이 경제주체들의 의욕을꺾고 있다며 ‘시한부 정쟁중단’을 촉구하고 나서는 등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에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통해 정치권의그릇된 관행을 말끔히 청산하고 관용을 베풀어 화합의 틀을 마련해야한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참여연대 양세진(楊世鎭)시민감시국 부장은 “이번 수사에 어떠한정치적 고려나 외압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며 “정치권은 즉각 정쟁을 중단하고 수사주체인 검찰에 대해 관여해서는 안되며,검찰도 옷을 벗을 각오로 수사에 임하라”고 촉구했다. 오세오 닷컴 대표 최용석(崔容碩)변호사는 “옛 안기부자금 수사에정치적 저의가 있어서는 안된다”고 전제,“그렇지만 국기를 흔든 상당히 중대한 사건인 만큼 검찰의 명예를 위해서라도 정치논의와는 별개로 진상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지금 사건을 덮는다고해도 언젠가는 전모가 드러나기 마련”이라며 “정치권도 더 이상 수사에 대해 왈가왈부해서는 안된다”고 공정한 수사를 역설했다.또 김석수(金石洙) 정치개혁시민연대 전 사무처장은 “경제살리기를 위해정치권이 3∼6개월간 정쟁중단을 선언하는 신사협정을 맺어야 할 것”이라고 제안,정치권의 각성을 촉구했다. 정치 포털사이트 폴리안의 박경재(朴慶宰)기획이사도 “국민들은 경제불안의 원인을 정치권에서 찾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치혼란으로또 다른 위기가 온다면 정치권은 공멸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처럼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여야는 휴일에도 불구,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 수사를 정치공방으로 이끌어 정국이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관련 당사자인 한나라당 강삼재(姜三載)부총재가 검찰소환에불응하고 있는데다,10일부터 임시국회가 다시 열리면 강제소환이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파문이 장기화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그러나 8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간 ‘DJP 회동’이 이뤄지고 11일 새해 연두 기자회견을 통해 김대통령이 정국안정을 위한 해법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어 정국혼미는이번주중이 고비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날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15대 총선 당시 선거대책위 의장으로서 사실을 밝히고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으며,이에 맞서 한나라당은 ‘20억원+α’를 거듭 제기하면서 오는 10일부터이 총재의 경기도지부 방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장외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진경호 이종락기자 jade@
  • DJP 공조복원후 정국 진단/ 여야관계 가파른 대치국면 불가피

    5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의 선언으로 사실상 DJP공조가복원됐다.지난해 4·13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자민련이 등을 돌린지 약 1년 만이다.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 명예총재의 다음주 회동만이 공조 복원의 화룡점정(畵龍點睛)으로 남았다.이로써 정치지형은 현 정부 출범 당시의 DJP공동정부와 한나라당의 양립체제로 회귀한 모양새가 됐다. DJP공조가 복원됨에 따라 여권은 우선 양당 국정협의회를 본격 가동할 방침이다.한동안 중단됐던 자민련과 정부의 당정회의도 조만간 재개할 계획이다.공동정부도 새로 꾸며져,다음달로 예상되는 개각 때자민련 인사 2∼3명의 입각이 점쳐진다. 김종필 명예총재는 공조복원을 계기로 4·13총선 이후의 칩거를 끝내고 당의 전면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그는 이날 배기선(裵基善)의원 등 ‘이적(移籍) 3인방’ 입당식에서 “독사만 무서운 게 아니다. 어떤 종류의 뱀이건 자신을 보호할 독을 갖고 있다”고 뼈 있는 말을 던졌다.DJP 공조복원이 ‘반(反)이회창 연대’임을 분명히 한 셈이다.나아가 “시간은 걸리겠지만 교섭단체는 반드시 구성하겠다”고말해 다른 의원을 영입하는 작업이 상당히 구체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DJP 공조복원과 영수회담에서의 불협화음을 감안할 때 향후 여야관계는 가파른 대치가 불가피해 보인다.여권은 이미 “더 이상 다수야당에 휘둘리지 않고 제 길을 가겠다”며 정국운영의 무게중심을 대야(對野)관계에서 대국민관계로 옮겨놓은 상태다.DJP공조에 더해 민국당 등 비교섭단체 의원 4명의 협력을 이끌어 ‘힘의 우위(과반수 의석)’를 바탕으로 한 국회 운영을 구상하고 있다.한나라당은 정국 주도권 상실을 우려,여권의 이같은 움직임에 거세게 저항할 것이 분명하다.전장(戰場)은 결국 국회가 될 것 같다.자칫 여권의 강행처리와야당의 물리적 저지가 맞서는 파행으로 국회가 소용돌이칠 가능성도배제할 수 없다. 진경호 이종락기자 jade@
  • DJP공조 전면 복원

    자민련 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는 5일 “우리가 협력해 세운 이 정권이 잘 되도록 총력을 기울여 협력하겠다”고 말했다.이에 따라 지난해 16대 총선 때 균열됐던 DJP공조가 사실상 전면 복원됐으며,정국은 민주당·자민련의 공동여당과 한나라당의 ‘2여1야’체제로 재편됐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 명예총재는 오는 8일 회동을 갖고 공조복원을 공식 선언한 뒤,개각을 포함한 향후 공동정부 운영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이와 관련,한광옥(韓光玉)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청구동 자택으로 김 명예총재를 방문해 회동일정을 논의했다. DJP공조 복원으로 여권은 민주당과 자민련의 의석을 합친 136석의국회의석을 확보했으며,여기에 비교섭단체 의원 4명의 협력을 얻을경우 과반수(137석)를 넘기게 돼 한나라당(133석)을 제치고 국회 운영을 주도할 수 있을 전망이다. 김 명예총재는 이날 오전 부산에서 상경한 뒤 마포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가 협력해 정권을 세운 이상 잘못되면 우리도 책임을 면할 수 없으며 잘 되도록 이 어려운 때 협력해야 한다”며 “이제 우리 당이 적극적으로 세상을 엮어나가는 데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한동(李漢東)총리는 이날 민주당에서 이적한 의원 3명의 입당식에서 “고위당정협의회를 빠른 시일 안에 부활하고,부처별 당정협의도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김중권(金重權)대표도 이날 당4역회의에 앞서 “앞으로 자민련과 공조를 확실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으며,한화갑(韓和甲)최고위원도 ”DJP 공조는 대선 민의이자 양보할 수 없는 원칙”이라고 말했다. 김 명예총재는 그러나 민주당과의 합당에 대해서는 “그런 일은 없으며 우리가 할 일을 할 것”이라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진경호 이종락기자 jade@
  • 강창희 부총재 재명…각당 반응

    4일 강창희(姜昌熙)부총재의 반발로 자민련의 교섭단체 구성에 제동이 걸리면서 여야의 표정이 완전히 뒤바뀌었다.민주당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뜻밖의 ‘횡재’에 활짝 웃었다. ■민주당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강 부총재 문제를 논의했으나 그저자민련을 지켜볼 뿐이라는 결론만 내렸다.김영환(金榮煥)대변인은 “여러 최고위원들이 걱정했고,곤혹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전했다. 한 당직자는 “가뜩이나 곱지 않은 여론이 더 악화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소속 의원의 추가 이적 등은 검토하지 않을 방침이다. 다만한국신당 김용환(金龍煥) 중앙집행위의장의 거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그의 자민련 입당을 나서서 추진할 수는 없지만 자민련이 그를 영입,교섭단체 구성을 매듭짓기를 바라는 눈치다. ■한나라당 “강 의원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며 환영일색이다.권철현(權哲賢)대변인은 “강 의원이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초지일관의자세를 보였다”고 환영했고,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도 “강 의원의꿋꿋한 태도는 염량세태의 정치판에 귀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강 부총재가 이회창(李會昌)총재를 방문할 뜻을 밝힌 데 대해서도 논평을 두차례나 수정할 정도로 깊은 관심을 보였다. 정창화(鄭昌和)총무는 반전된 상황을 발판으로 역공에 나섰다.“이적 의원 3명이 민주당으로 복귀하면 교섭단체 구성요건을 완화하는쪽으로 국회법 개정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며 여권을 압박했다. 진경호·김상연기자 jade@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