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다시 찬바람
■장관급회담 결렬 안팎.
[금강산 공동취재단·진경호기자] 북한은 지난달 12일 제 4차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을 일방적으로 연기하면서 그 이유로 ‘남조선에 조성된 정세’를 내세웠다. 이어 한달만인지난 12일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남조선 당국자들이 속에칼을 품고 회담장에 나와서 웃음을 짓는 것이야말로 안팎이 다른 위선적 행동”이라고 공세를 퍼부었다.
이처럼 9·11 미국 테러사태 이후 취한 남측의 비상경계조치에 대한 북측의 강력한 반발 기류는 6박7일간의 6차 장관급회담을 관통했고,결국 회담 결렬의 직접 원인으로 작용했다.북측은 비상경계조치에 따른 남측지역의 안전성을 내세워 이산가족 상봉,경제협력추진위,장관급회담 등을 모두 금강산에서 개최하자고 주장,회담을 파국으로 몰아간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측은 “(북측의 트집이)협상용인지 아닌지,진심을 모르겠다”고 털어놓는 등 북측 전략·전술에 대한 몰이해와 대응력 부재를 드러냈다.게다가 “북한에 원칙없이끌려다닌다”는 내부의 비난을 의식,경협추진위 2차회의 및7차 장관급회담의 서울개최 원칙을 고수, 협상의 여지를 없앴다.
그러나 이같은 대립은 외형적 원인일 뿐 북측은 ‘치밀하게 계산된 억지주장’을 토대로 회담을 결렬로 이끌었다는분석이 유력하다.북한은 반테러전쟁 이후의 국제정세,남한의 정치일정 등을 두루 감안해 남북대화의 폭과 속도 등을조절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김성철(金聖哲)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실장은 “북한 군부등 강경세력들의 입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말했다.고유환(高有煥) 동국대 교수는 “북한이 남북대화와이산가족 상봉의 장소로 금강산지역을 고집하는 것은 남북교류 활성화에 따른 체제이완 현상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우리측 회담 관계자는 물론 대다수 전문가들은 6·15 정상회담 이후 처음인 이번 회담 결렬 뒤의 남북관계가 냉각기를 거칠 것으로 전망했다.
서주석(徐柱錫) 한국국방연구원 북한군사연구팀장은 “지난해만 해도 양측은 장관급 회담이란 제도적인 틀을 존중해왔는데 최근 그러지 못한 느낌”이라며 “앞으로 남북관계는 냉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이에 대해고유환 교수는 “이번 회담결과가 남북한 모두에 부담이 될것이기 때문에 북한도 남북관계를 무조건 경색국면으로 끌고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jade@.
■홍순영수석대표 문답.
[금강산 공동취재단·진경호기자] 제 6차 남북 장관급회담남측 수석대표인 홍순영(洪淳瑛) 통일부 장관은 14일 속초항으로 돌아오는 설봉호 선상에서 이번 회담과 관련,“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미결로 두고 회의를 끝내 유감”이라며아쉬움을 토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협상 중단 이유는. 회담을 이틀이나 연장했다.양측 사이에 테러사태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합의 도출에 실패한 이유와 북측의 속셈은. 북측은 자기네 주장을 해가면서 합의를 도출하려 했을 것이다.진정으로위협의식을 가졌을 수도 있고 화해협력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북한내에 있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이번에 합의가안된 것은 우리 주장이 확고한데 비해 북한이 받아들이지않았기 때문이다.
▲남북대화 전망은. 시간이 지나야 할 것이다.국제정세가안정되고 남북간 의구심이 불식될 때까지 남북대화를 재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얼마나 걸릴까. 지켜보자.평화공존 외에는 대안이 없는만큼 대화는 계속돼야 한다.평화공존은 대결의 시대만큼 관리하기 힘들다는 것을 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