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7
    검색기록 지우기
  • 김성호
    2025-08-27
    검색기록 지우기
  • 임일영
    2025-08-27
    검색기록 지우기
  • 황경근
    2025-08-2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호리에 제일은행장 스톡옵션 412만주 받은것으로 밝혀졌다

    제일은행의 호리에 행장이 지난해 3월 412만8,775주의 스톡옵션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제일은행은 17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임원과 사외이사에부여했던 스톡옵션과 지난 3월 주총에서 계획했던 추가 부여내역을 공개했다.공시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3월 호리에행장의 412만8,775주를 포함,임원과 사외이사 16명이 총 527만3,217주의 스톡옵션을 받았다. 던컨 바커 영업지원본부장과 랜비어 드완 재무관리본부장은 각각 30만주씩,이수호 여신담당과 현재명 전산담당 임원은 15만주씩,11명의 사외이사는 각각 2만2,222주를 받았다. 지난 3월27일 주총에서도 19명의 임원과 사외이사는 60만3,665주의 스톡옵션을 받을 예정이었다.올해 스톡옵션 부여대상에서 호리에 행장은 제외됐다. 제일은행측은 “현재 스톡옵션 행사가격 산정을 금융감독위원회에 요청해놓은 상태”라면서 “가격이 나오면 임시주총을 열어 스톡옵션 부여를 결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
  • 여유돈 ‘신탁상품’에 굴려라

    1,000만원을 은행 정기예금에 넣어두면 3개월 뒤 이자가11만400원(연5.3%) 붙는다.그러나 같은 기간 상호신용금고에 맡기면 12만5,000원(연 6%),투신사에 넣어두면 17만5,000원(연7%)의 이자가 생긴다. 대한투자신탁증권 주순극(朱舜極)투신영업추진팀장은 “은행에 대한 집착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최고 6만원의 이자를 더 챙길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은행권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가 됨에 따라 포트폴리오(자산운용) 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재테크 전문가들은 “안전하다는 이유로 은행 정기예금만 고집하는 것은앉아서 원금을 까먹는 행위”라며 보다 많은 수익을 올릴수 있는 투자처로 은행·투신사의 신탁상품을 추천했다. 실적배당 상품이라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지만 ‘피해가는’ 요령만 잘 활용하면 저금리시대에 쏠쏠한 수익을 올릴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수익을 올리면서도 원금을 까먹지 않으려면 신한은행전문선(全文善)재테크팀장은 “고수익과 리스크(위험)라는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은행권에서 판매하는 신노후생활연금신탁(채권형)에가입하는 게 좋다”고 권했다.4,000만원까지 세금우대가 되는 만큼 절세효과를 볼 수 있다.금리변동폭에 내성이 있어 금리가 오를 때는 최고수익률을 모두 적용 받지만 운용이 잘못되더라도 100% 원금 보장을 받는다. ■투신권에서는 단기상품 노려야 대한투신 주순극 팀장은“A급 이상의 우량회사채만 편입하는 ‘클린형 MMF’를 이용한다면 약속된 원금과 예상수익률을 받는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현재 금리가 불안한데다 오는 3·4분기에는 금리상승이 예상된다”면서 “환매수수료도 함께 감안,금리가 안정될 때까지는 단기상품(3개월)을 이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그래도 불안하면 확정금리형 신탁상품에 주목해야 한다. 국채·지방채와 상장·등록법인이 발행한 회사채·보증사채 등으로 운영된다.대상채권에 문제가 생겨도 투신사가약정금리를 지급한다.3개월형의 경우 신탁형은 연 6.5%,RP(환매조건부채권)는 연 7.0%의 확정금리가 지급된다. ■예금자보호법 적용되는 상호신용금고는 은행보다 고수익보장해 코미트상호신용금고 윤호근(尹浩根)팀장은 “금고와 은행금리는 2% 가량의 차이가 벌어진다”면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금고에 맡긴 돈도 5,000만원까지 예금보험공사가 책임을 지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말했다. 자유입출금식통장은 대부분의 은행은 이자를 주지않지만금고는 4%대의 이자를 지급한다.또 금고의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7.7%로 은행의 연 5.6%보다 높아 고수익을올릴 수 있다. 주현진기자 hj@
  • LG텔레콤 청약률 34.4%

    12∼13일 실시된 LG텔레콤의 유상증자 청약률은 34.4%로집계됐다. LG텔레콤 관계자는 13일 “대주주인 LG전자는 배정된 주식 1,635만5,980주를 모두 청약했으나 2대주주인 브리티시텔레콤(BT)는 청약에 참가하지 않았다”면서 “당초 계획했던 6,000만주(3,000억원)의 34.4%인 2,063만4,007주가청약돼 1,032억여원의 자금이 조달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증자는 액면가인 5,000원으로 한 반면 LG텔레콤의 시가는 이보다 낮은 4,700원 수준이어서 청약률이 낮았다”면서 “오는 19일 이사회를 열어 실권주 처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주현진기자 jhj@
  • 데이비드 엘든 HSBC회장 “”너무 빠른 경기회복은 개혁에 장애””

    “개혁은 반복적으로 튀어나오는 두더지를 망치로 때려서점수를 올리는 두더지잡기 게임과 흡사하다.” 데이비드 엘든 홍콩상하이(HSBC)은행 회장은 13일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지역 상업은행클럽(APBC) 연차총회에서 ‘아시아에서의 개혁’이란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개혁에는 숱한 장애가 따른다는 점을 이같이 표현했다. 엘든 회장은 역설적으로 개혁에 대한 첫번째 장애물로 빠른 경기회복을 들었다.경기회복은 변화에 대한 압력을 약화시키고 추가 개혁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는 부작용이 있다며 지속적인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회 내부의 혼란도 장애물로 들었다.위기극복 이후에는 과실을 따먹기 위한 정치·사회적 혼란과 노사간 긴장,잠재적인 실업 가능성에 대한 거친 항의가 잇따르고 채권단이 회사를 승계했지만 경영자가 사무실을 비워주지 않는 것은 물론 구조조정 주도세력을 위협하는 뻔뻔스러운일이 나타나고 있다며 사회혼란을 경계하라고 지적했다. 주현진기자 jhj@
  • ‘반도체 강세’ 다시 오나

    12일 주식시장에서는 삼성전자를 선봉으로 한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나타내며 주식시세판에 ‘빨간 불’을켜는 전원노릇을 톡톡히 해냈다. 외국인들의 대량 매수로삼성전자는 20만원선을 회복했다.연일 신저가기록을 깨기바빴던 현대전자도 소폭이나마 오름세로 돌아섰다.이번 주초까지만 해도 전망이 불투명할 것 같았던 반도체주들이강세를 보인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하루전 살로먼스미스바니의 세계적 반도체 애널리스트 조나단 조셉이 반도체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내놨기 때문이다. 조셉은 반도체 업종의 투자등급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조정하면서 나스닥시장이 반도체 주도의 랠리를 시작했다.조셉의 말 한마디에 뉴욕증시에 상장된 인텔,텍사스인스트루먼트,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뛰어오르며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8.49%나 오르는 강세를 시현했다. 반도체 강세 여파는 외국인들의 삼성전자 집중 매수로 이어졌다.이날 외국인들의 순매수액 2,448억6,000만원중 삼성전자가 절반을 넘는 1,760억3,000만원을 차지했다.삼성전자 주가는 개장과 동시에 19만원을 회복했으며,오름폭이 이어지면서 147만3,266주나거래돼 20만500원에 마감됐다.삼성전자의 강세에 힘입어연일 최저가 행진을 하던 현대전자도 반등세로 돌아섰다. 삼성전자와 현대전자의 동반강세로 전기·전자업종은 6.06% 오르는 등 업종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11일 밤 국민·주택은행의 합병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은행주들의 강세도 두드러졌다.국민·주택은 각각 50원과 900원이 올랐다.신한·하나 등 여타 우량은행들도 오름세에 가세하는 등 은행주들은 강세였다. 대우증권 정창원(鄭昌源)선임연구원은 “기업실적 악화 등 악재가 아직 남아반도체 경기는 3·4분기까지 하강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반도체주가 박스권을 뚫고 상승하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SK증권 전우종(田祐宗)팀장도 “살로먼스미스바니가 투자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은 구체적인 근거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더 이상 나빠질 수 없다’는 심리적 요인 때문이었다”면서 “회복 가능성이 보이는 올 3·4분기에도 경기에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증권 투자정보팀 윤용선(尹龍善) 연구원은 “나스닥시장의 강세는 긍정적이지만 국내증시가 펀더맨틀(기초경제여건)의 개선보다는 미국과 연동돼 외국인 의존구조로 나가고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520포인트 수준이 되면 미국시장의등락을 지켜본 뒤 그에 따른 조정이 한차례 있을 것”으로예상했다. 주현진기자 jhj@
  • LG텔레콤 유상증자…첫날 청약실적 미미

    LG텔레콤 유상증자 첫날인 12일 주식청약 실적은 미미한것으로 알려졌다. LG텔레콤 관계자는 “12일은 청약 첫날이어서 그런지,실적이 미미한 것이 사실”이라면서 “마감일인 13일 하루를더 지켜봐야 하며, 부분증자 밖에 안되더라도 유상증자는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현재 계좌를 갖고 있는 고객들에게 유상증자 사실을 모두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말했다. LG텔레콤은 구조개선과 IS-95C 등 신규사업 투자재원 마련을 위해 3,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위한 주식청약에서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오는 19일 이사회를 열어 실권주처리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일반주주들은 13일까지 거래 증권사를 방문하거나 전화를통해 청약의사를 밝히면 자신의 증권계좌에서 주금이 자동으로 납입된다. 주현진기자
  • CJ39쇼핑, NTV 인수

    CJ39쇼핑은 12일 서울 방배동의 NTV(옛 현대방송) 사옥과부지,방송장비,시설 등을 넥스트미디어그룹으로부터 30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채널운영권은 같은 제일제당그룹 계열사인 m-net 운영사 ㈜뮤직네트워크가 35억원에인수했다. NTV는 지난 99년 옛 현대방송(HBS)을 넥스트미디어그룹이인수해 개편한 케이블TV의 오락 채널이다.방배동 사옥은대지 5,491평에 건평 2,900평 규모의 6층 건물이다.CJ39쇼핑은 이 건물에 240평짜리 대형 스튜디오를 포함,3개의 스튜디오를 설치하는 등 방송시설을 확충해 신사옥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주현진기자 jhj@
  • 국민·주택銀 합병협상 타결

    국민·주택은행의 합병협상이 11일 밤 극적으로 타결됐다. 합병비율은 주택은행 1주대 국민은행 1.6883주이며,신설 법인을 통해 합병이 이뤄진다.상호는 국민은행이며 합병은 행은 오는 11월1일 출범한다.합병은행장은 합병 본계약 체 결 후 별도 논의하되,늦어도 7월까지는 확정지을 방침이다. 합추위 최범수(崔範樹) 간사는 이날 저녁 8시30분 김유환 (金有丸)국민·김영일(金英日)주택 합추위원이 배석한 가 운데 기자회견을 갖고 “두 은행이 빠르면 이번주에 이사 회를 소집,합의안을 승인한 뒤 다음주 초 본계약 서명식을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타결배경 정부 압력에 밀려 정치적 해결을 모색한 ‘딜 ’의 성격이 짙다.주택은행의 ‘버티기’가 상당부분 관철 됐다.국민이 은행명을 챙기기는 했지만 실리는 주택에 돌 아갔다.김상훈(金商勳)국민은행장과 김정태(金正泰)주택은 행장은 10일밤부터 이튿날 새벽 4까지 계속된 마라톤협상 에서 주택은행의 주장대로 존속법인 대신 신설법인을 만든 다는 데 의견접근을 봤다.남은 것은 합병비율. 두 행장은 11일 오후 5시 서울 마포 홀리데이인서울에서 다시 만났다.김상훈행장은 국민카드 실적을 반영하지 않은 1.6883대 1의 합병비율에 동의했다. 증권거래법에 의거한 주식교환비율에서 주택은행의 주식배당률 10%를 나눈 것으 로 당초 합추위 합의안(1.65××)보다 주택은행에 유리해 진 비율이었다.이때가 저녁 6시50분쯤.배석한 관계자는 “ 막상 저녁회동은 싱겁게 결론났다”고 전했다. ■갈 길 멀다 전격합의는 12일 금감위의 청와대 업무보고 를 의식,시간에 쫓겨 이뤄진 흔적이 역력하다.신설법인을 만들되 ‘두 은행이 인정하는 중대한 제도상의 제약이 있 는 경우는 존속은행을 국민은행으로 한다’ 등 단서조항이 붙어있다.이 경우 상호는 주택은행이 된다. 가장 큰 난제는 합병은행장 선임.국민은행은 기존MOU(양 해각서)조항대로 행장추천위원회가 내정한다고,주택은행은 향후 발족될 행추위가 뽑는다고 말한다. 신설법인에 적용될 세법개정안이 현재 국회에서 추진중에 있지만 법 개정이 늦어질 경우 막대한 비용부담을 안게 돼 합병기일(10월31일)이 늦어질수 있다.합병은행의 미국인 주주비율이 10%를 넘어 미국증권법 요건을 충족시켜야 하 는 점도 과제다.최간사는 “미국증권관리위원회(SEC)의 유 효선언 취득시점에 따라 합병기일이 변경될 수 있겠지만 이는 시간의 문제이지 걸림돌은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주가가 계속 하락할 경우 소액주주들의 주식매수청구 권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미현기자 hyun@. *최범수 합추위 “신설법인 통한 흡수합병 유리”. 최범수(崔範樹) 합병추진위원회 간사와의 일문일답을 간 추린다. ■새 법인을 만들어 두 은행을 흡수합병키로 한 배경은 신 설법인은 시기상 문제가 없고 법적제도가 정비되면 추가비 용도 크지 않다.합병은행이 기존은행을 기반으로 출발하기 보다 신설합병이 두 은행에 도움이 된다. ■추가비용 문제는 대손충당금 적립에 따른 세금부담이 있 지만 현재 세법이 개정중인 만큼 비용부담이 크지 않을 것 으로 본다.수백억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합병은행장은 합병 본계약과는 별도로 진행되는 만큼 현 시점에서는 논의된 바 없다. ■합병은행장 선정 난항으로 본계약이 틀어질 가능성은 전 혀 없다. ■향후 일정은 늦어도 오는 7∼8월까지 합병은행장을 내정 한 뒤 오는 9월 합병은행 주총을 열어 선임절차를 밟을 예 정이다. ■본계약 타결 배경은 두 은행측이 여러 차원에서 만나 꾸 준히 진행돼 왔다.지난 10일 두 은행장이 만났을 때 신설 법인을 통한 합병을 논의하는 등 심도깊은 진전이 있었다. ■합병계약 서명은 언제 이뤄지나 일주일 내로 된다. 주현진기자 jhj@
  • LG텔레콤 유상증자 성공할까

    12∼13일 실시되는 LG텔레콤의 유상증자가 성공할 수 있을까. 코스닥등록기업인 LG텔레콤의 유상증자 청약은 1주당 액면가인 5,000원에 실시된다. LG텔레콤의 주가는 11일 종가 기준 4,860원으로 액면가보다 낮다. LG텔레콤의 유상증자와 관련해 대주주인 LG전자는 ‘사수’ 의지를 밝히고 있다.LG전자의 지분율은 28.1%이다.LG전자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어 LG텔레콤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의했다.LG전자는 12일 LG텔레콤 지분 보유율에 해당하는 주식 1,635만5,980주(817억8,000만원)를 액면가에 청약하기로 했다. 2대주주인 브리티시(24.1%)의 입장은 불투명하다.다른 기관투자가들과 일반인들은 시장에서 주식을 사는 것이 더싸기 때문에 증자 참여 욕구가 별로 없어 보인다. 동원증권 양종인(梁鍾仁)수석연구원은 “LG전자만 참여하면 845억원,브리티시까지 지원해주면 1,560억원을 조달할수 있다”면서 “잘되어야 절반의 승리가 될 것”이라고말했다. 신영증권 박세용(朴世鎔)연구원은 “지난해 적자가 4,424억원인데 800억여원 가량이 가능해 보이는 증자가 큰 의미를 가질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증자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는 분위기다. 굿모닝증권 반영원(潘永元)연구원은 “지난 1·4분기 경상이익이 510억원을 기록하는 등 LG텔레콤은 올해부터 흑자로 전환할 것”이라면서 “증자를 해서 부채를 갚는 시기를 앞당기면 좋겠지만 현시점에서 굳이 증자를 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
  • 약세장 이런 종목을 노려라

    ‘주가 반등이 시작되면 낙폭과대 실적호전 종목들을 주시하라’ 대우증권은 10일 실적은 좋아졌지만 시장 분위기에 떠밀려주가가 크게 떨어진 기업의 주식을 반등시점에서의 유망주로 꼽았다. 조민근(曺旻槿)연구원은 “종합주가지수 500포인트대 안팎에서 지루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현재의 약세장은 바닥권이란 인식이 팽배하다”면서 “때문에 미국의 조기금리 인하 가능성 등 주가의 상승 요인만 나타나면 낙폭과대 실적호전 기업의 주식이 가장 먼저 탄력을 받아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낙폭과대 실적호전주로 거래소 종목에서는 EASTEL,SK텔레콤,대경기계를,코스닥종목에서는 이네트,인디시스템 등2000년 매출액증가율과 영업이익증가율 및 순이익증가율이99년보다 좋아진 기업의 주식중 최근 연중 최고가보다 크게떨어진 주식을 추천했다. 이들 종목은 성장성과 재무안정성을 검증받은데다 시장 평균 하락률을 밑도는 단기 낙폭으로 인해 시장반등이 시작되면 탄력성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조 연구원은 “정부의 500선 사수의지가 워낙 강한데다 미국의 기업실적 발표라는 악재가 주가에 반영되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면서 “지수 500대 이하에서는 저평가종목이 많이 나오는 만큼 현재 각각 490포인트와 64포인트 안팎인 거래소와 코스닥 지수대에서 바닥권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주현진기자 jhj@
  • 상장유치차 방한 도쿄증권거래소 쓰치다 이사장

    “선진기술과 비즈니스모델을 갖고 한국에서 일본으로 진출하려는 기업이나 일본에서 적극적으로 사업확대를 생각하는 기업은 우리 마더스시장을 이용해주세요.” 마더스시장에 한국의 유망 성장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방한한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쓰치다 마사아키 이사장은 9일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 투자자들의 풍부한 자금력과 한국 기업들의 성장성이 만나는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마더스(MOTHERS·markets for the high growth and emerging stocks)는 지난 99년 11월 설립된 도쿄증권거래소에있는 증권시장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하다.지난해말 현재 벤처기업 등 32개 기업이 마더스시장에상장돼 있다. 쓰치다 이사장은 “같은 성격의 나스닥-재팬이나 자스닥과 비교하면 마더스가 상장 기업수는 적지만 매매체결률과 조달자금 규모 등 시장의 활동성은 더 크다”고 덧붙였다. 그는 “소규모 외국기업의 상장을 적극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마더스 규정을 바꾸는 등 변화를 꾀하고 있다”면서 “한국 기업들이 일본 마더스 시장에 상장할 경우 자금조달 뿐만 아니라 기업신인도가 높아져 일본에서 원활히 활동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현진기자 jhj@
  • [은행 신풍속도] (10.끝)아직 고칠점 많다

    두산중공업(옛 한국중공업) 대표이사 회장이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박용성(朴容晟) 회장은 얼마전 이런 얘기를 했다. “두산이 한국중공업을 인수할 때의 일입니다.과거 같으면 은행들이 너도나도 달려들어 인수자금을 대줄테니 나중에 자신들을 거래은행으로 삼아달라고 했을텐데 이번에는우리가 현 거래은행들에게 줄줄이 불려갔습니다.무슨 돈으로 (한중을)인수할거냐,자금계획서를 가져오라는 등 꼬치꼬치 캐묻더군요.은행들이 참 많이 변했구나 느꼈습니다”박회장의 얘기는 계속됐다. “하지만 아직 멀었습니다.기업 재무구조의 투명성을 소액주주들이 감시한다 어쩐다 하지만,이는 궁극적으로 금융기관과 공인회계사(감사기관)의 몫입니다.아직 우리나라는 은행들의 역량이 이에 못미친다는 생각입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대출심사·리스크관리·원가분석 등에 많은 돈을 투입했다.상당부분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탈피,시스템의 선진화를 이뤄냈다는 자평이다. 하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게 전문가들과 고객들의얘기다. 한국금융연구원 김병연(金炳淵) 은행팀장은 “예대마진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단일화된 수익구조가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대출과 예금이외의 참신한 상품으로 고객은 배당을 받고 은행은 수수료 수입을 챙길 수 있도록 상품개발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대우경제연구소 최석원(崔碩元) 연구위원은 “은행들이 불안한 금융시장 환경을 이유로 기업대출보다 회수가 확실한 개인소액대출,국고채 등 우량채권에만 투자해 고객들에게 필요이상의 낮은수익률(저금리)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이는 은행들의기업분석 능력부족에 따른 무형의 손실을 고객들에게 전가하는 행태라는 것이다.따라서 은행들은 기업분석기법 및포트폴리오 관리기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대 이찬근(李贊根) 무역학과 교수는 공공성과 상업성의 중간위치에 서있는 국내 금융기관의 특성을 감안해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고 역설했다.즉 미국 등 선진국가의 금융기관은 수익과 고용에만 신경쓰면 되지만 우리나라 은행은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공공역할도 요구받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기업금융에 인센티브를 주는 것을 한 예로 들었다. 김정태(金正泰) 주택은행장은 “현행 제도는 이러이러한것만 하라는 포지티브 시스템”이라면서 “금융기관의 자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려면 이러이러한 것은 하지말라는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문했다.은행들이선진금융기법을 도입해 시도하려 해도 현행법에 걸려 중도포기하는 게 너무 많다는 고백이다. 은행들의 투명성도 고객들에게는 아직 익숙치 않다.K중소기업 대표 이기원(李基源·38·서울 영등포구 신도림동)씨는 “같은 사람과 담보에 대해 은행마다 대출한도가 크게차이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면서 “선진금융기법 운운하는데 타당성있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털어놓았다. 회사원 이영태(李映泰·31·서울 서초구 반포)씨는 “창구앞에 가서 적극적으로 따져야 겨우 우대금리를 적용해줘 ‘모르면 당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고 말했다. 외환은행 하평완 감사는 “은행원들의 신분이 불안한 때문인지 금융사고가 부쩍 늘었다”면서 내부감사 시스템의강화와 조직안정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안미현 주현진기자 hyun@
  • 국민·주택銀 합병 막판 진통

    지난달 말 합병본계약을 체결키로 했다가 이를 어긴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이 이번에는 합병비율을 놓고 ‘합병 결렬’운운하며 한치의 양보도 없어 금융계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주도권을 쥐기 위한 막판 힘겨루기라는 분석과 함께 당초 구체적 가이드라인 없이 합병을 추진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두 은행 합병추진위원회 관계자는 8일 “본계약 발표를 앞둔 지난달 29일 합추위가 국민·주택은행의 주식교환비율을 1 대 1.6 안팎으로 하는 중재안을 마련했으나 주택은행측이 수용하지 않아 합의가 안됐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측 합추위원인 김유환(金有丸)상무는 “합병비율은 자산·부채 실사결과를 감안해 조정하는 것이 상식”이라면서 “정확한 수치를 밝힐 수는 없지만 실사결과 차이가 있어 합추위가 이를 조정했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주택은행측 합추위원인 김영일(金英日)부행장은 “국민카드의 영업이익은 이미 국민은행 주가에 반영되어 있어 1대1.6이라는 수치는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주택은행의 다른 관계자는 “”양해각서상의 교환비율 1대 1.8을 크게 벗어날 경우 합병 논의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며 1대 1.7을 마지노선이라고 강조했다. 주현진기자 jhj@
  • 코스닥기업 증자 비상

    주식시장이 곤두박질하면서 코스닥기업들의 증자에 비상이 걸렸다. 5일 코스닥시장에 따르면 제은금고는 지난달 29∼30일 일반인을 대상으로 134억원의 유상증자 청약을 받았으나 공모기간 주가가 발행가(주당 5,000원)를 밑도는 바람에 100%에 가까운 실권이 나고 말았다. 제은금고는 지난달 14일 최대주주에 제3자배정 방식으로66억원을 증자,자산가치 상승과 주가회복 전망에 자신을갖고 134억원의 일반인 증자를 추가로 계획했었다.당시 제은금고 주가는 대주주 증자 완료를 호재로 4,340원까지 상승,증자 발행가를 5,000원으로 하더라도 예정물량의 절반정도는 소화될 것으로 회사측은 믿었다. 남은 실권주도 대주주와 일부 투자자들에게 넘길 계획이었으나 증시침체로 공모 당시 주가가 3,000원대 중반까지떨어지면서 기대가 물거품이 됐다.제은금고 관계자는 “현대건설 사태,뉴욕증시 급락 등 온갖 악재들이 쏟아지는 바람에 주가가 대주주 증자 완료에 따른 호재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채 속락했다”면서 “전량에 가까운 실권주를 인수할 투자자들을 섭외하기 위해 뛰고 있으나 100%처리는 어려울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에 앞서 인피트론과 장미디어도 최근 주가하락기에 35∼40%의 대폭적인 할인률에도 불구하고 구주주 청약에서 20∼12%의 실권이 발생,가까스로 증자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주가하락으로 확정 발행가가 인피트론은 1만4,700원에서 1만2,100원으로,장미디어는 8,700원에서 8,200원으로 각각 낮아져 당초 예상했던 자금을 충분히 유치하지는못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당분간 증시회복이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에 이달중 진행되는 증자는 차질이 생길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이달 증자를 실시할 코스닥기업은 에이스일렉트로닉스(10∼11일),마담포라(9∼10일),크린크리에티브(7∼8일),현대멀티캡(9∼10일),인디시스템(10∼11일),LG텔레콤(12∼13일),한성엘컴텍(19∼20일),대주산업(17∼18일),신천개발(17∼18일) 등이다. 이들 기업중 주가가 액면가를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 액면발행을 추진중인 LG텔레콤 증자의 성사 여부는 이달 코스닥시장의 최대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주현진기자
  • ‘추락 증시’바닥 어딜까

    종합주가지수 500선 붕괴는 일시적인가 아니면 추세적인가. 미국 나스닥지수의 폭락과 외국인 매도세,환율불안 등 외생변수의 총체적 악화로 종합주가지수 500선이 무너지자향후 장(場)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증시 전문가들은 나스닥지수가 사흘째 하락하며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고 반도체 지수도 속락세를 면치 못해 추가하락 압력이 커질 것으로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저점인 480선 언저리를 1차 지지선으로 제시하고 있다.이 지지선도 나스닥지수 등 해외시장의안정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그만큼 지지선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 경기불안,외국인 집중 매도로 이어져=나스닥지수는 소비자신뢰지수와 전국구매관리자협회(NAPM)지수의 일부호전에도 불구하고 연일 하락하고 있다.심리지표의 호전보다는 실물경제가 당분간 더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나스닥지수 하락에 따라 외국인들은 지난 2일부터 사흘동안 2,86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올들어 석달째 이어온 순매수 기조가 흔들리면서 주가를 한단계 끌어내렸다.현대증권 전진오(全辰午)선임연구원은 “국내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해왔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이탈하면서 수급사정이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교보증권 최성호(崔成鎬) 책임연구원은 “반도체 주가가경기침체 및 기업실적악화 우려로 급락하면서 삼성전자 등 주요 기술주에 대한 외국인 매도가 이어졌고 환율까지 불안해 종합주가지수 500선이 깨졌다”고 설명했다. ◆미국 경기회복 기다려야=4일(미 현지시간) 나스닥지수는 하루전보다 2.04% 떨어져 1,638.60을 기록,사흘 연속 급락했다.필라델리아 반도체지수는 무려 5.6%나 하락,국내증시에 미칠 파장이 우려된다.신영증권 김영근(金榮根)선임연구원은 “미국 시장의 불안으로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하고 있는 만큼 관망세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닥 확인 때까지 기다려야=국내시장에 엄청난 영향을미치는 나스닥지수와 반도체 지수의 속락으로 지수 바닥을 점치기는 쉽지 않다.삼성증권 전상필(全商弼)수석연구원은 “환율이 진정기미를 보이고 미국시장이 안정을 찾으면 외국인들의 매물이 줄어 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면서“500∼480포인트 사이에서 한차례 바닥확인 과정이 있을것”으로 예상했다.리젠트증권 김경신(金鏡信)이사는 “500선이 무너지면서 주가는 500∼550의 박스권에서 한 단계내려갈 것”이라면서 “500 이하의 지지선이 아직 없어 500선을 회복할 때까지 당분간 약세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현진기자 jhj@
  • 위치인식 자동음성안내 시스템 세계 첫 개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한 자동음성안내 시스템 ‘Audio Guide’가 개발돼 전시장이나 박람회장을 찾는 관람자들에게 큰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문화산업 전문기업인 (주)다솔씨티(대표 윤공현)는 5일 “전시품에서 발사되는 신호를 헤드폰에서 감지해 내장된 안내자료중 전시품에 해당하는 부분을 자동으로 찾아내 읽게하는 첨단 시스템으로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각전시품에 고유번호를 부여해 이 번호를 눌러야 해당되는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돼 있는 기존의 자동음성안내 시스템에다 위치자동인식 기술을 접목시킨 첨단 제품이다. 회사측은 “Audio Guide의 위치인식기술은 특허출원된 상태”라면서 “이 기술을 이용해 전시 안내는 물론 각종 공공시설,장애인을 위한 안내장치 등 응용분야가 다양하다”고 말했다. Audio Guide는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에게 해당 외국어로 상품 또는 유적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주현진기자 jhj@
  • 증시부양책 ‘무용론’ ‘중장기 효과론’ 양분

    정부의 증시부양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엇갈렸다.정부조치가 증시를 살리는 효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무용론’과 ‘중장기 효과론’으로 양분됐다. ◆기금으로 증시 반전 도모할 수 없다=증시 전문가들은 “미국 나스닥지수와 원-달러 환율 급락 등 외부 요인에 의한약세장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젠트증권김경신(金鏡信)이사는 “지난해 11월부터 투입된 증시기금은 주가 지수가 더 떨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만 했다”면서 “시장은 기금이 증시 반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지않는다”고 지적했다. 굿모닝증권 이근모(李根模)전무도 “정부의 단기적인 대책은 더 이상 시장에 효과가 없다”면서 “근본적인 대책이필요하다”고 강조했다.그는 특히 “현대투신과 현대전자등 현대 문제를 조기에 마무리짓고 금융불안을 해결하는 등구조조정을 완결짓는 것이 급선무”라고 설명했다. ◆정부대책으로 그나마 버티는 것=신영증권 김영근(金榮根)연구원은 “환율급등 등 시장이 해소해야 할 악재가 너무많아 정부가 마련한 대책이 바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면서 “정부대책은 중장기적으로 증시의 안정을 꾀하는차원에서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증권 전상필(全商弼)수석연구원은 “외국인이 내놓는매물은 지난 3일 1,000억원에 이어 4일에는 1,300억원이나되는 점을 감안할 때 종합주가지수는 500보다 훨씬 더 떨어져야 맞다”면서 “정부의 증시대책이 가세해 주가지수가그나마 500선을 떠받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
  • 코스닥공모 실적 뻥튀기

    주간 증권사들이 코스닥등록법인 공모 과정에서 공개한 자체 실적 추정치가 실제 결과보다 곱절 이상 부풀려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4일 증권업협회가 지난해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177개사를 대상으로 공모 당시 주간 증권사가 추정한2000회계연도 매출·영업이익 전망치와 최근 제출받은 2000회계연도 사업보고서의 공식 실적을 비교·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실제 매출액이 주간 증권사 추정 매출액의 50%를 밑도는기업은 5개사였다.한국아스텐의 지난해 매출은 36억7,000만원으로 한화증권이 추정한 113억원의 32.5%에 불과했다.파인디지털의 매출액도 299억원으로 LG투자증권 추정치의 37. 9%에 그쳤다.씨엔씨엔터프라이즈(LG),윌텍정보통신(LG),우리기술(한화) 등의 매출실적도 추정치의 절반을 넘지 못했다. 경상이익의 경우 30개 등록기업 실적이 지난해 주간 증권사가 공개한 추정치의 50%를 넘지 못했다. 한국아스텐,씨엔씨엔터프라이즈,파인디지털,우리기술 등 4개사는 주간 증권사가 매출과 경상이익 추정치를 실제보다50%이상 많게 정했다. 메리츠증권은 창흥정보통신의 지난해 경상이익을 43억7,000만원으로 추정했으나 실제는 1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신한증권과 대우증권은 각각 오리엔텍과 동양매직이 경상이익을 올릴 것으로 제시했으나 적자로 나왔다. 장원엔지니어링(세종),디에스아이(교보),솔고바이오메디칼(대우),씨엔씨엔터프라이즈(LG투자) 등의 실제 실적은 주간증권사 추정치의 20%에도 못미쳤다. 주현진기자 jhj@
  • 상장사 평균부채율 150%

    지난해 국내기업들은 많이 팔았지만 몇 푼 못남긴 ‘헛장사’를 했다.부채비율이 높아진데다 원-달러 환율급등에따른 환차손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증권거래소가 3일 12월 결산법인 573개사 중 사업보고서를 내지 않았거나 감사 의견거절 회사 등을 제외한 513개사의 지난해 실적을 분석한 결과,매출액은 484조8,472억원으로 18.1%가 늘었다.영업이익도 36조4,213억원으로 35.2%가 증가했다.반면 순이익은 8조6,987억원으로 41.5%나 줄었다. ■부채비율 증가 상장사들의 재무구조는 악화됐다.부채는309조2,088억원으로 5.1% 증가한 반면 자본은 204조8,229억원으로 1.8%가 줄어 평균 부채비율은 9.9%포인트나 늘어난 150.9%였다.10대 그룹중 현대그룹 부채비율이 186.4%포인트나 높은 342%로 최고였다.한진과 금호는 각각 219.4%와 221.6%로 200%를 초과했다.삼성그룹은 15.3%포인트가떨어진 98.4%였다. ■환차손 급증 한국상장사협의회는 “497개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2월 결산 상장사들의 지난해 외환관련 순손실은 전년보다 120.4%나 증가한 3조9,579억원이었다”고 밝혔다.순손실 규모는 12월결산 상장사들의 순이익8조 7,792억원의 45.1%나 차지,영억실적 악화에 결정타를날렸다.순손실은 현대전자가 4,091억원으로 가장 많고,한전(4,048억),SK(4,031억),대한항공(2,863억),현대상선(2,639억) 순이었다. ■수익성 악화 주범은 현대 증권거래소는 현대그룹(건설,전자,상선,고려산업개발,종합상사 등 8사)을 제외하면 12월 상장사들의 당기순이익은 4.2% 증가한 14조8,489억원이라고 밝혔다. 거래소 관계자는 “현대건설 출자전환 등 현대그룹의 부실을 떨어내는 재무구조 작업이 진행중인 만큼 상장사들의올해 결산실적은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스닥 수익성도 악화 코스닥등록기업도 영업외손실이많아 순이익이 크게 줄었다.코스닥시장이 484개 12월 결산등록기업(금융기관 포함)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액은 40조2,796억원으로 25.9%가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0.4%가 감소한 9,823억원으로 집계됐다.코스닥시장 관계자는 “회계감사가 강화돼 일반 기업들도 대손상각비 1,377억원을 내는 등 영업외 활동으로 인한 손실이 3,617억원이었다”고 밝혔다. 주현진기자 jhj@
  • 홈쇼핑 관련주 급부상

    홈쇼핑 관련주가 테마주로 급부상하고 있다.2일 주식시장에서 신규 홈쇼핑사업자인 연합홈쇼핑,한국농수산방송,우리홈쇼핑 관련주들이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산뜻한 출발을 했다.지난달 31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추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신규 사업자의 관련주는 물론 기존 홈쇼핑업체도 동반상승했다. 우리홈쇼핑 관련업체인 경방 주가는3,300원(14.85%) 오른 2만5,500원으로 마감됐다.대아건설·행남자기·아이즈비젼도 각각 11.85%,11.96%,11.94%가 올랐다.한국농수산방송 계열의 하림은 11.98%가 올랐다. 대우증권 김장우(金暲祐)연구원은 그러나 “신규 홈쇼핑 관련업체들의 주가상승폭은 관련업체의 지위와 역할,사업전망 등에따라 다를 수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3만9,200원에 장을 마감한 LG홈쇼핑은 한때 4만4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CJ39쇼핑은 6.69%올랐다. SK·교보증권은 “지난해 두 회사의 매출액은 총 1조원 이상으로 100%에 가까운 성장을 했다”면서 “사업자선정 완료로 불확실성이 제거된데다 단기 낙폭과대에 따른반등이 예상돼 매수종목으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주현진기자 jhj@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