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도 귀도 즐겁게” 어린이 볼거리 풍성
예술의전당과 국립극장·호암아트홀이 방학을 맞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창극·뮤지컬·오페라·발레 공연을 경쟁적으로 마련한다.쉽고 재미있는 볼거리로 오랫만에 가족이 어울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국립극장은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을 31일부터 새달 8일까지 달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오후 2시와 5시 두차례.국립창극단의 어린이창극으로 네살 정도 어린이도 이해하게끔 구성했다.
공연 시작전 로비에서부터 맛보기로 판소리를 들려준다.극장 입구는 용궁으로 들어가는 문처럼 꾸미고,객석은 알록달록한 산호와 해초로 장식한다. 판소리를 바탕으로 쉬운 민요선율을 도입했고,현대적이고 대중적인 독창과 흥겨운 합창으로 어린이 정서에 맞춘다.객석에서 튀어나오는 산짐승·물고기에 놀라 보는 것도 특별한 재미다.연출을 맡은 류기형(민족예술단 우금치 대표)씨는 풍물과 춤·기예·극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마당극의 장점을 끌어 들여 어린이도 판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웃한 타워호텔과 손잡고 이색적인 패키지도 마련했다.25일까지 전화로 으뜸석 티켓을 예약하면 타워호텔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다.호텔에서 피서를 즐기면서 공연도 보려는 가족을 위한 패키지도 있다.관람권은 으뜸석 2만원, 버금석 1만원.(02)2274-3507∼8.
예술의전당은 뮤지컬 ‘한여름밤의 꿈’을 새달 3∼11일 야외극장에서 펼친다.오후8시.
셰익스피어의 대표적인 희극으로 한여름 밤 숲속에서 꿈처럼 얽히고설킨 사랑의 갈등이 먼동이 트면서 실마리가 풀려간다는 줄거리다.
마당놀이 등 전통적인 소재를 다루어온 극단 미추가 가족이 즐길 수 있도록 바꾸었다.우면산 자락의 야외극장은 서울에서도 가장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무대.12인조 관현악단이 경쾌한 록음악을 가미하고,불꽃놀이가 가족과 연인들에게 좋은 추억을 선사한다.
연출 신용수.윤문식 정태화 이기봉 등 출연.일반 1만5000원,학생 1만원,4인 가족석 4만원,연인석 2만원.(02)747-5161
‘한여름밤의 꿈’이 공연되는 같은 기간 토월극장 무대에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가 오른다.화·목·토요일 오후 2시·5시,수·금요일 오후 3시,월요일 공연없음.
‘엄마,아빠와 함께 보는 가족오페라’라는 부제가 일러주듯 독일어 가사를 우리말로 바꾸고,내용도 어린이에게 눈높이를 맞추었다.
혁신적으로 인물을 해석하고 뮤지컬적인 요소를 도입해 오페라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깬다는 것이 제작진의 의도다.
‘오페라의 유령’한국공연을 맡기도 한 연출자 김학민씨는 난해한 부분은 생략하고,극적이고 경쾌한 아리아를 중심으로 재구성했다.2시간30분짜리 원작을 1시간35분으로 줄였다.
김홍식 지휘 원주시립교향악단.1만 5000∼2만 5000원.어린이를 동반한 어른은 10% 깎아준다.예약은 (02)780-6400.
‘해설이 있는 발레’는 ‘발레를 모르는 이들에게 어떻게 발레를 알릴까?’라는 소박한 바람으로 1997년 출발해 5년 연속 전회 매진을 기록한 국립발 레단의 브랜드 공연이다.
올해는 ‘음악을 알면 발레가 보인다’는 컨셉트로 음악가를 통해 발레를 배우는 자리를 마련했다.새달 16·17일 호암아트홀에서 ‘발레 륏스의 작곡가들’을 주제로 공연을 갖는다.
륏스란 1909∼1929년 유럽에서 활동한 러시아 발레단의 이름.전통발레가 아닌 실험적인 안무와 음악으로 하나의 발레 흐름을 형성했다.
초연 당시 공연장에서 폭동이 일어날 정도로 파란을 일으킨 륏스의 대표작 드뷔시 작곡의 ‘목신의 오후’,원시적 생명력의 현대음악 작곡가 스트라빈 스키의 ‘불새 파드되’,안나 파블로바의 연기로 유명한 생상스의 ‘빈사의 백조’,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음악을 미하일 포킨이 발레로 만든 ‘세헤라자 데’등 이국적이면서 실험적인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1588-7890(1555). 서동철 김소연 주현진기자 dc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