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 임일영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 김경두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 문소영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 mbc 사장
    2025-08-2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60평이상 건축땐 기반시설부담금

    오는 7월12일부터 건축연면적 60평(200㎡)을 초과하는 모든 건축 행위에 대해 기반시설부담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부담금이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돼 분양가와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지는 부작용이 예상된다. 건설교통부는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국무회의 의결 등을 거쳐 7월12일부터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그러나 공공택지지구, 행정·기업도시, 경제자유구역 등 지역은 20년간 기반시설부담금이 부과되지 않아 분당, 평촌, 일산, 목동 등 신도시는 향후 5∼9년간 신·증축에 대한 부담이 없다. 민간 재개발과 달리 기반시설 정비가 포함된 공공 재개발도 부담금이 면제된다. 부담금은 ‘(표준시설비용+용지비용)×건축연면적×부담률-공제액’으로 산정한다. 예컨대 서울 강남구 평균지가를 1650만원으로 적용할 때 개포동 17평짜리 재건축 대상 아파트 소유자가 45평형을 배정받을 경우 기부채납액(800만∼900만원)을 뺀 기반시설부담금은 1979만원이며, 일반 분양받은 사람의 부담금은 3727만원으로 신규 분양자의 부담이 조합원의 두배 수준이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당첨자 어떻게 뽑나

    당첨자 어떻게 뽑나

    판교 신도시 아파트 당첨자는 어떻게 결정할까. 동·호수는 어떻게 추첨하나. 판교 신도시 아파트 청약 집계 발표 이후 궁금한 점을 알아본다. 우선 당첨기회는 무주택 기간·지역별 순위에 따라 달라진다. 민간 분양 아파트의 경우 최우선 순위인 40세 이상 10년 무주택→35세 이상 5년 무주택→일반 1순위 순으로 성남시 거주자를 먼저 뽑고, 여기서 떨어진 사람과 수도권 거주자를 다시 묶어 추첨한다. 예컨대 최우선 순위 성남시 거주자에게는 1차 경쟁을 벌인 뒤 낙첨자는 수도권 거주자들과 경쟁을 치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여기서 떨어지면 다시 우선 순위 성남시 거주자들과 경쟁을 벌이는 등의 방법으로 모두 6번의 당첨 기회를 준다. 반면 최우선 순위 수도권 거주 낙첨자들은 우선 순위 성남시 거주자들과 경쟁을 벌이지 못하고 우선 순위 수도권 거주자들과 경쟁을 벌여 3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이밖에 계약 포기자나 부적격 당첨자가 생길 것을 대비해 예비당첨자도 뽑는다. 각 건설회사별, 주택형별 공급 가구수의 20% 범위 내에서 추첨하며, 명단과 순번은 당첨자 발표 때 함께 공고한다. 한편 청약저축 가입자를 상대로 분양한 주택공사 아파트와 민간 임대는 민간 분양과 달리 그동안 불입한 액수에 따라 서열순으로 당첨자를 가린다.5년 이상 무주택 가구주로 매월 약정 납입일에 월 납입금을 60회 이상 납입한 사람 중 저축총액이 많은 사람이 최우선 순위가 된다. 저축총액이 같다면 납입횟수·부양가족 수·당해 주택건설지역의 거주기간이 많은 순으로 당첨권이 주어진다. 동일 가구에서 여러 명이 청약해 모두 당첨되면 계약은 1주택만 가능하다.1가구에서 1순위 자격을 가진 2∼3명이 동시에 판교와 다른 지역에 청약해 중복 당첨된 경우 먼저 당첨된 아파트를 계약하지 않으면 판교 당첨권이 인정된다. 그러나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먼저 당첨됐다면 무조건 분양가 상한제 주택을 계약해야 한다. 동·호수는 당첨자 선정이 끝난 뒤 금융결제원의 컴퓨터 추첨을 통해 무작위로 결정되며 5월4일 함께 발표된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재건축 분양권 ‘高高’

    재건축 분양권 ‘高高’

    재건축 규제에서 한 발 물러선 재건축 아파트 분양권이 인기다.1주택자는 재건축 아파트 입주권을 사서 2주택이 되더라도 입주 1년 이내에 기존 주택을 팔면 입주권을 무주택으로 간주, 양도세(6억원 이하 부문)를 내지 않는 혜택도 있다. 18일 닥터아파트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서울 분양권 매매가 변동률은 0.25%로 이전 한 주(0.48%)에 이어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남구의 경우 전 주(0.41%)보다 더 오른 0.53%를 기록했으며, 송파구 0.03%, 동작구 0.32% 등 대부분 오름세를 나타냈다. 떨어진 곳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초구는 반포동 주공 2단지가 가파른 상승세다.3·30대책에 따른 수혜단지로 거론되면서 매도인들이 지속적으로 호가를 높이고 있는 게 가격 상승의 원인이다.52평형과 62평형 시세는 최근 각각 1억원씩 올라 15억 5000만∼16억 5000만원,14억∼16억 5000만원이다. 강동구 암사동 강동시영 2단지와 롯데캐슬퍼스트도 꾸준히 오르는 추세다. 강동시영2단지(현대·대림) 43평형과 롯데캐슬퍼스트 40A평형도 각각 1000만원씩 올라 6억 6000만∼8억 1000만원,6억 8000만∼8억을 호가한다. 강남구는 도곡동 도곡아이파크1차, 대치동 대치아이파크 분양권 시세 역시 강세다. 워낙 고가여서 3·30대책 이후에도 대출제한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아 매수 문의는 꾸준하지만 매물이 워낙 없어 거래는 뜸한 편이다. 도곡1차아이파크 48평형이 최근 5000만원 오른 12억 5000만∼13억 5000만원, 대치아이파크 23평형이 3000만원 오른 6억 2000만∼6억 8000만원이다. 잠실 제2롯데월드 개발 호재를 안고 있는 잠실 주공 1·2·3·4단지, 잠실 시영 등 잠실 지역 재건축 단지의 분양권도 강세다. 특히 올해 말 입주 예정인 4단지는 33평형의 경우 지난해 12월 말 6억 7000만∼7억원에서 9억 5000만원으로 올랐다. 은행 박합수 부동산팀장은 “공사 기간 3년 동안 반영돼야할 상승률이 최근 2∼3개월에 모두 오른 만큼 철저한 투자 분석을 한 뒤 매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800 대 1’ 판교대전 막 내렸다

    판교 신도시 중소형 아파트 분양에 45만여명이 청약,800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판교 4월대전´이 막을 내렸다. 당초 청약 신청자가 1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첨 확률이 낮고 10년간 전매금지 등의 영향을 받아 경쟁률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성남시를 포함한 인천·경기지역 일반 1순위자를 대상으로 마지막날 접수를 받은 결과 낮 12시 현재 13만 3406명이 접수했다. 일반 1순위 청약은 무주택 청약자 중 낙첨자, 서울 일반 1순위, 수도권 1순위자가 함께 경쟁을 벌이게 된다. 따라서 실제 경쟁자는 42만 7723명, 경쟁률은 752대1에 이른다. 성남시 거주자에게 우선 배정되는 246가구에는 전날까지 5만 7715만명이 몰려 23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가구수가 많고 입지가 좋은 풍성주택과 한림주택의 일부 평형에는 10만명에 가까운 청약자가 몰린 것으로 알려져 최고 경쟁률은 1000대1에 이를 전망이다. 민간임대는 청약자들의 외면 속에 수도권 2순위자까지 기회가 넘어가면서 모집가구를 채웠다. 민간임대는 성남·수도권 1순위자를 상대로 985가구를 모집한 결과 모두 2520명이 참가해 2.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조치원 아파트 분양 쏟아진다

    조치원 아파트 분양 쏟아진다

    충남 연기·공주 행정복합도시와 인접해 있어 후광효과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조치원 일대에 아파트 분양 대전이 펼쳐진다. 올 한 해에만 6000여가구가 쏟아질 예정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은 19일 조치원읍 죽림동 ‘신동아 파밀리에 2차’ 291가구 청약을 받는다. 금강지류 미호천 조망이 가능하다.32평형 115가구,34평형 51가구,36평형 14가구,46평형 72가구,47평형 30가구,60평형 9가구 등으로 구성된다. 중도금 전액 무이자 융자가 가능하며 모든 가구가 남향으로 배치된다. 파밀리에 예정지는 KTX 오송역에서 차로 10분 거리로 서울 수도권으로 이동이 쉽다. 단지 진입로를 확장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것도 장점이다. 우방건설은 오는 21일 연기군 조치원읍 신흥동 연기군청 정면에 죽림우방 유쉘아파트 513가구를 분양한다.33평형 285가구,39평형 86가구,48평형 142가구 등이다. 발코니 확장을 통한 공간 확보를 통해 안방의 경우 평형에 따라 2∼3평의 추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전평형 거실 확장을 기본으로 전제한 거실은 TV와 장식장을 배치했다.48평형은 거실과 방 사이를 가변형으로 설치해 벽을 허물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GS건설은 다음달 말 조치원읍 죽림동에서 1429가구를 분양한다.33평형 953가구,35평형 86가구,48평형 346가구,57평형 44가구다. 국도 1호선과 인접해 있고 고속철도 오송 분기역과 차로 10분 거리, 경부선 조치원역에서 5분 거리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아파트 ‘강세’ 토지 ‘약세’

    아파트 ‘강세’ 토지 ‘약세’

    종부세 부과 기준일(6월1일)을 앞두고 당초 기대와 달리 부동산 거래가 ‘올스톱’됐다. 종부세 부담을 우려해 집주인들이 앞다투어 매물을 내놓아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던 정부의 예상이 빗나가고 있는 것이다. 새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은 종부세를 피하기 위해 일부러 잔금을 연체하는 기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토지 시장은 늘어나는 매물에 비해 수요가 없어 거래가 완전히 끊겼다. ■ 입주아파트-잔금 6월이후 미뤄 ‘기준일 넘기기’ 은행원 강모(37)씨는 다음달 서울 서초구 방배동 현대I-PARK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고민이다. 강씨는 입주에 맞춰 잔금을 준비했지만 6월1일 이후로 미룰 생각이다. 살고있는 사당동 아파트(3억원)가 팔리지 않아 2주택자가 되는 동시에 두 주택 보유액이 공시가격 기준 8억원을 넘어 종부세와 재산세를 더해 376만원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 3월 입주한 도곡렉슬은 3002가구 중 무려 120여가구가 잔금을 치르지 않고 있다. 지난 1월 입주한 강남구 역삼동 대우푸르지오 아파트에도 아직 잔금 미납 가구가 있다. 강남 고급 아파트를 분양받은 만큼 잔금을 치를 돈이 없어서라기보다는 종부세 대상에서 빠져나갈 궁리를 찾기 위해 일부러 입주를 미루는 것으로 업체는 보고 있다. 재정경제부 부동산실무기획단 관계자는 “6월1일 현재 잔금 청산이 되지 않으면 미분양 주택으로 간주돼 종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 강남아파트-“일단 내고 더 오르면 판다” 매물 거둬 종부세 부과를 앞두고 강남 비싼 아파트, 다주책 보유자들의 매물이 쏟아질 것이라는 예상도 빗나갔다. 강남 아파트를 사려는 수요는 줄서 있지만 집주인들이 움직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강남구 대치동과 서초구 서초동에 집을 갖고 있는 김모(48)씨는 은행을 찾아 종부세 부과 시뮬레이션을 받아보았다. 두 채를 합쳐 공시가격이 19억원이지만 재산세와 종부세는 1803만원에 이른다는 것을 확인한 뒤 매물을 거둬들였다. 지난해 세금으로 980만원을 냈지만 예상 밖의 무거운 양도세를 내느니 차라리 종부세를 내겠다는 생각에서다.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매물을 거둬들이게 했다. 종부세율이 매년 10%씩 100%(2009년)까지 오르더라도 해마다 200만원만 더 내면 그만이다. 종부세와 양도세 부과를 비교한 결과 차라리 종부세를 내다가 처분하지 않고 자식에게 증여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 토지거래-내년 양도세 중과 부담… 급매물 쇄도 땅을 사고파는 데 따른 규제가 강화되면서 일부 지역을 빼곤 토지 시장도 썰렁하다. 비사업용 나대지, 잡종지, 부재소유자 농지 등 토지에 대한 양도세가 현행 9∼36%에서 내년부터 60%까지 중과됨에 따라 땅을 싸게 처분하려는 지주는 늘었지만 매수세가 없기 때문이다. 토기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아예 거래가 끊겼다. 여모(70)씨는 충남 태안군 이원면 내리 관리지역 임야 2000여평을 내놓았지만 지난해 8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아예 사려는 사람이 없어 울상을 짓고 있다. 춘천 동신면 관리지역 일대도 8·31 당시 20만원대이던 평당 가격이 4월 현재 17만원으로 내렸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은마아파트 ‘몸값 높이기’ 몸부림

    우리나라의 대표적 재건축 단지로 통하는 은마아파트가 ‘몸값 높이기’를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재건축 추진을 중단하고 초고층 주상복합으로 탈바꿈하려는 움직임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은마아파트 주민들은 재건축추진위를 해산하는 한편 상업지추진위를 구성, 초고층 주상복합을 짓는 방안을 검토중이다.김영철 상업지추진위원장은 “상업지구로 용도 변경을 받아 용적률 800%를 받게 되면 기존 4400가구를 8000가구 규모의 초고층 주상복합으로 지을 수 있다.”면서 “4400가구를 제외한 물량은 모두 서울시에 기부하고 기존 가구들은 50∼60평대로 늘려받는 안을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은마아파트는 31평형,34평형 두 가지 타입이다. 서울시에 기부되는 가구들이 3600여가구여서 정부에 돌아가는 금액만 9조원(건축비 제외시 한 채 당 약 25억원)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지난 13일 대치2동 동사무소 강당에서 은마아파트의 상업지추진위원, 재건축추진위원, 주민 등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공익성 기부채납 방식의 상업지 추진을 위한 설명회를 갖는 한편 기존에 진행하던 재건축추진위는 해산하기로 결의했다.은마아파트는 기존 용적률이 197%여서 소형평형의무비율제, 용적률 증가분의 25%를 임대아파트로 짓는 개발이익환수제, 기반시설부담금제 등 규제를 적용받아 서울시가 허가한 210%로 재건축을 하면 수익이 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을 위해 정부와 거래를 하자는 것인데 그런 일은 선례도 없고 실현 가능성도 전혀 없다.”고 말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판교 민영1순위 562대1

    판교신도시 중소형 민간 분양아파트의 수도권 1순위 청약경쟁률이 500대1을 돌파했다. 지지부진했던 민간임대도 수도권 거주 1순위 청약 마감 하루를 앞두고 모집 가구를 채웠다. 건설교통부는 성남시를 포함한 인천·경기 일반 1순위자를 상대로 민간 분양 청약을 시작한 13일 은행 창구 및 인터넷을 통해 접수를 받은 결과 이날 오전까지 5만 1611명이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청약자는 무주택 청약 낙첨자와 서울 거주 일반 1순위 등을 더해 32만 291명으로 실제 청약 경쟁률은 562대1에 이른다. 수도권 3년 무주택 청약저축 400만원 이상 가입자를 상대로 청약을 받은 민간임대 아파트는 이날 오전 1.02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모집 인원수를 채워 14일 접수를 마감한다.217가구를 모집한 주공 분양 특별공급에는 171명이 청약해 79%의 청약률을 보였고 885가구를 모집한 주공임대 특별공급에는 703명이 신청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호재 지역’의 노른자위 찾아라

    ‘호재 지역’의 노른자위 찾아라

    뉴타운, 경전철, 신도시 등 호재가 있는 지역의 단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안정된 투자수익을 거둘 가능성이 크고 실거주 측면에서도 편의시설이나 기반시설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단지가 장위 뉴타운과 우이∼정릉 경전철 사업 호재를 가진 장위동 대명 루첸, 분당과 가까운 주공의 성남 도촌 뜨란채 등이다. 서울 성북구 장위동 대명 루첸은 장위 뉴타운 호재를 안고 있다. 다음달 초 분양될 예정이다. 대명종합건설이 시공하며,24평형(124가구),33평형(348가구),38평형(58가구),45평형(81가구) 등 611가구다. 서울지하철6호선 돌곶이역이 차로 5분 거리다.56만평에 이르는 장위뉴타운과 붙어 있다. 우이∼정릉 경전철은 2011년 개통된다. 청약통장 가입자라면 제2의 판교로 불리는 성남 도촌 주공 뜨란채 아파트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다음달 주공이 분양한다. 분당선 야탑역에서 차로 10분 거리다.30평형(52가구),33평형(356가구) 등 408가구다. 도촌지구는 24만 2000평 규모로 공공분양, 국민임대 등 공동주택 5000여 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분당신도시와 인접해 있어 생활편의시설이 풍부하고 앞으로 여수천, 검단산 등이 있어 환경도 쾌적하다. 교통시설로는 이미 지구 앞에 4차선도로가 정비돼 있고 국도3호선, 성남∼장호원, 서울외곽순환도로, 분당∼수서 고속화도로로 이용이 편리하다. 청약저축 1순위자는 청약이 가능하고 원가연동제가 적용되지 않아 소유권 이전 등기 후 전매가 가능하다. 삼송신도시 개발과 은평뉴타운 개발 호재를 지닌 경기도 고양시 고양동 아남유쉘은 지난해 5월 분양을 시작했다.24∼34평형 443가구인데 미분양 물량이 남아 있다. 고양지구 편의시설 이용도 가능하다. 주변이 35년 동안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탓에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서울지하철 3호선 삼송역이 차로 5분 거리.39번국도, 통일로, 서울외곽순환도로, 벽제 인터체인지와 바로 이어져 10분이면 서울 구파발까지 진입이 가능하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역세권 아파트 탐방] ‘판교·광교 신도시 바람’에 룰루랄라

    [역세권 아파트 탐방] ‘판교·광교 신도시 바람’에 룰루랄라

    용인시 상현동 일대 아파트가 판교·광교 신도시의 수혜 지역으로 떠오르면서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판교 인터체인지로 들어가 경기도 용인쪽 43번 국도를 따라가면 성복동, 상현동 일대 아파트 타운이 나온다. 이 지역은 택지개발지구가 아니라 민간 업체들이 취락 지구나 관리지역을 개발한 단지다. 용인 남서쪽 끝자락에 위치한 상현동은 동북쪽으로는 용인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수지 1,2택지지구와 붙어 있다. 남서쪽으로는 수원 광교신도시와 가깝다. 상현동은 농로를 따라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대표적 난개발 지역으로 대중교통 및 편의시설 이용이 불편해 인근 죽전동이나 보정동에 비해 인기가 높지 않았다. ●매물 거둬들이고 호가 뛰고 그러나 지난해 말 광교신도시 개발계획 승인이 확정되면서 아파트 매물이 자취를 감추고 호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상현자이는 34∼48평형 1034가구로 2003년 5월 입주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34평형의 경우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3억 9000만원대에 머물던 시세가 지난해 말 4억원을 넘어섰고 최근 4억 8000만원까지 올랐다. 상현 자이는 지하철 분당선 미금역까지 차로 10분 거리. 교육시설로는 소현초, 소현중, 서원중, 상현고 등이 있다. 편의시설로는 삼성플라자, 이마트, 하나로마트 등이 있다. 광교산 자락과 이어지고 단지 안에 분수대, 연못, 산책로가 있고 조경시설이 뛰어나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상현자이 바로 옆에는 두산위브1차와 쌍용스윗닷홈1단지가 있다. 상현동 두산위브는 52∼73평형 556가구로 구성되어 있다.2002년 6월 입주했고 모든 가구가 남향으로 배치됐다. 쌍용스윗닷홈은 29∼52평형 992가구로 2001년 4월 입주했다. ●진입로 협소·편의시설 부족은 옥에 티 상현동은 기존 수지1·2지구와 달리 민간사업자가 조성한 곳이이서 용적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주변 편의시설이 확충되지 않아 학원이나 쇼핑 등의 문화시설이 부족한 것이 흠이다. 지구 진입로가 좁아 교통체증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용인∼서울 고속도로가 오는 2008년 개통될 예정이고, 신분당선 연장구간도 들어설 계획이어서 어느 정도 교통난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용인∼서울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상현동 현대5차에서 80㎞ 속도로 강남까지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 도움말 내집마련정보사 김정용 팀장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시·도지사 반대하면 재건축 불가

    이르면 8월부터 시·군·구청장이 내린 재건축 안전진단 시행결정을 시·도지사가 취소할 수 있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3·30 부동산대책에 따라 열린우리당 윤호중 의원 등이 제출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개정안에 재건축 사업추진과 관련한 시·도지사의 권한을 확대하는 방안을 포함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군·구청장이 재건축 사업추진 단지의 요청에 따라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안전진단을 통과시키더라도 시·도지사가 반대하면 재건축 사업이 불가능해진다.건교부는 도정법이 4월 임시국회에서 통과돼 5월중 공포되면 3개월간의 경과조치를 거쳐 8월부터 시행할 방침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시·군·구청장은 안전진단 신청이 있는 경우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의견 청취를 거쳐 안전진단 실시여부를 결정한다. 시·군·구청장은 재건축 사업 시행이 결정되면 시·도지사에게 결정 내용과 해당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반드시 내야 한다. 건설교통부 또는 시·도지사는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해당 안전진단 결과의 적정성 여부 검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재건축 사업 시행 결정 취소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시장·군수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 결정에 따라야 한다. 개정안은 이와 함께 시·도지사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수립 과정에서 건교부 장관과 사전 협의를 하도록 명문화했다. 이외에도 재개발 사업 등 추진에서 시공사 선정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택재개발사업과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행자가 조합설립을 받은 뒤 시공자를 선정할 때 경쟁입찰을 통해 하도록 규정했다. 건교부측은 “개정안은 재산증식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무분별한 재건축 추진을 방지하고 안전진단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행정 주체간의 역할 체계를 재정립하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아파트 분양시장 ‘5월 늦바람’ 분다

    아파트 분양시장 ‘5월 늦바람’ 분다

    다음달 전국 아파트 분양 시장이 풍년을 이룰 전망이다. 판교 신도시 청약으로 일정을 미뤘던 아파트 단지들이 일제히 분양에 나서기 때문이다. 서울에선 역세권 및 한강 등 조망 가능 단지들이 많고, 경기도는 화성 향남, 성남 도촌 등 인기 택지지구 물량이 눈에 띈다. 11일 닥터아파트, 스피드뱅크 등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 물량은 113곳 5만 4297가구(주상복합 포함)로 지난해 같은 기간(2만 4615가구)보다 2.2배 많다. ●서울 청계천·한강 조망 대단지 관심 서울에선 황학동 롯데캐슬, 성수동 현대아파트, 하중동 한강 밤섬자이, 용두동 두산위브 등에 수요가 몰릴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서는 유망 택지지구 분양이 많다. 경기도에서는 화성 향남지구 동시분양(10곳 5345가구)을 포함해 33곳 1만 6929가구, 인천은 2곳 625가구를 분양한다. 지역별로는 화성시(11곳 5487가구)가 가장 많다. 이어 용인시(7곳 5226가구), 남양주시(5곳 2934가구) 등 순이다. 판교·광교신도시의 수혜지역인 용인시 성복동 일대에서는 CJ개발이 ‘성복나무엔’1차(838가구)·2차(476가구)로 나눠 분양한다. 오는 2008년 서울∼용인간 고속도로가 개통될 예정이며, 신분당선 연장도 오는 2014년 예정돼 있다. 주공이 분양하는 성남 도촌지구 뜨란채는 청약저축 가입자들이 눈여겨 볼만하다. 분당선 야탑역에서 차로 7분 거리로 분양 편의시설을 그대로 쓸 수 있으며, 서울외곽순환도로, 경부고속도로, 분당∼수서간 고속화도로 등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다. 용인 지역 내에서도 최근 공세동에 위치한 60여만평의 신갈저수지 호수공원 조성 계획이 발표되면서 기흥 일대 분양 물량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갈저수지 인근에서 대주건설이 가장 큰 물량을 공급한다. 용인 기흥 일대 15만 8970평 규모의 민간도시개발사업을 진행 중으로,38∼79평형 2000가구 규모의 ‘공세지구 대주 피오레’를 분양한다. ●대구·부산 등 지방도 분양 잇따라 지방 대도시에서는 29곳 1만 4255가구, 중소도시는 39곳 2만 1040가구가 나온다.▲대구 12곳 5988가구 ▲부산 6곳 3869가구 ▲광주 4곳 2175가구 등이다. 지방 중소도시는 ▲경남 13곳 6264가구 ▲충남 8곳 5144가구 ▲경북 7곳 4608가구 등 순이다. 영남권에 44곳 2만 2588가구가 집중돼 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강남38% 뛸때 강북9% 올라

    강남38% 뛸때 강북9% 올라

    2003년말부터 3년여간 서울 강남 아파트 평균 평당가는 38% 오른 반면 강북 지역 평균 평당가 상승률은 9%에 그쳐 강남·북 아파트값 양극화가 더욱 깊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북 평당 아파트값이 무려 10배 차이나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강남·북 양극화 올 들어 가속 10일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강남·송파·서초구 등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평당가는 2월 2290만원,3월 2389만원,4월 2487만원으로 올 들어 매달 평균 100만원씩 올랐다. 이런 추세면 조만간 2500만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3년 9월 평균 평당가격이 1800만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8% 상승했다. 반면 강북 지역 아파트값은 거의 오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강북·도봉·노원구 등 강북 3구 평균 평당가는 올 들어 2월 698만원에서 3월 697만원으로 오히려 1만원 내렸다가 4월 들어 699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2003년 9월 강북 3개 지역의 평균 평당가격이 644만원이었으므로 3년 동안 상승률이 10%에도 미치지 못해 강남·북 아파트값 양극화가 더욱 깊어가고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줬다. ●5개월만에 2500만원→3000만원 지난 8일 기준 강남구 전체 아파트값이 처음으로 평당 3000만원을 기록했다. 강남구 아파트 평당가는 2003년 11월 2000만원, 지난 2005년 11월 2500만원으로 2000만원에서 2500만원으로 오르는 데에는 2년이 걸렸다. 하지만 25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오르는 데 5개월밖에 걸리지 않아 ‘8·31대책’등 정부의 강도 높은 집값 안정대책이 공허한 메아리에 그쳤음을 증명했다. ‘3·30대책’으로 최근 강남 일부 재건축 단지 아파트값이 내리기도 했지만 전반적인 매물 부족으로 강남구 전체 아파트값은 당분간 오름세를 띨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강남구에서 가장 비싼 지역은 개포동(3685만원), 압구정동(3495만원), 대치동(3345만원), 도곡동(2836만원), 삼성동(2483만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 1평으로 강북 10평 산다 10일 국민은행 시세 통계에 따르면 현재 가장 비싼 아파트는 개포주공 1단지로 평당 5785만원이다. 반면 강북구 번동 솔그린 아파트 평당가격은 530만원으로 무려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2위는 고덕주공 1단지 5246만원,3위는 개포주공 4단지 평당 5053만원이다. 한편 구별로 볼 때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에 이어 서초구가 평당 2301만원으로 2위, 지난달 25일 2000만원대를 돌파한 송파구가 2159만원을 기록,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재건축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를 보고 있는 용산구와 양천구는 각각 1877만원과 187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어 강동구(1615만원), 광진구(1378만원), 중구(1263만원), 영등포구(1236만원), 성동구(1191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북구(694만원), 중랑구(697만원), 도봉구(699만원) 등은 상승률이 미미, 여전히 600만원대에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판교 민영 1순위 청약 357대1

    판교 신도시 민영 아파트 청약경쟁률이 연일 경신되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서울 거주 일반 1순위자를 상대로 이틀째 청약을 받은 10일 오전까지 모두 9만 8252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건교부는 이날 접수자들은 지난 3∼6일 40세 이상 10년,35세 이상 5년 무주택 청약자 중 낙첨자들과 다시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서울 경기 등 수도권 물량(성남시 우선 공급 물량 제외)인 569가구를 두고 청약 경쟁을 벌이는 사람은 이날까지 20만 3067명으로 청약 경쟁률은 357대 1로 치열해졌다고 설명했다.11일 청약은 민간 분양의 경우 서울 일반 1순위, 민간 임대는 수도권 5년 무주택자로 저축 가입액 700만원 이상인 자를 상대로 접수한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부담금 피하자” 재건축절차 잰걸음

    “부담금 피하자” 재건축절차 잰걸음

    정부가 오는 9월부터 재건축사업 이익에 개발부담금을 물리기로 하면서 재건축 초기단계 단지들의 가격 하락폭이 커지는 가운데 기존에 재건축을 추진하던 단지들은 일정을 앞당기는 등 잰걸음을 하고 있다. ●6월 관리처분 총회 줄이어 개발부담금을 물지 않으려면 오는 9월로 예정된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가칭)이 시행되기 전까지 구청에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해야 한다. 만약 사업계획이 바뀌어 법 시행 이후 관리처분총회를 다시 열더라도 법 시행 전에 관리처분 승인을 신청했다면 개발부담금을 내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업계획승인을 받았지만 평형 배정이나 추가분담금 등으로 재건축 추진에 차질을 빚었던 조합들은 갈등을 봉합하고 서둘러 관리처분총회를 연다는 방침이다. 서초구 잠원동 한신 6차는 재건축되는 아파트의 32평형을 34평형으로 바꾸는 것을 추진하다 제동이 걸린 상태이지만 일단 당초 사업계획대로 관리처분안을 통과시키기로 했다. 고락환 조합장은 “개발부담금부터 피하는 게 급선무다.”면서 “평형 변경(32→34평형)은 경미한 사항이어서 나중에 사업계획을 바꿔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포동 삼호가든 1,2차도 6월 초로 관리처분총회 일정을 잡았다. 김설식 재건축 조합장은 “현재 1대1 재건축으로 내년에 사업계획을 변경할 수도 있으나 일단 총회부터 열기로 했다.”면서 “늦어도 7월 중순까지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서초구 잠원동 한신 5차 아파트와 반포 미주아파트도 6월 관리처분총회를 목표로 뛰고 있다. ●재건축 초기 단지 가격 하락 어디까지?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시행 전에 관리처분 인가를 신청할 수 있는 단지들과 달리 재건축 추진 초기 단계인 단지들은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조합설립인가 단계인 강남구 개포동 주공 1단지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를 골자로 하는 3·30대책 이후 최고 1억원 내렸다. 인근 S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정부 대책이 나오면서 매수세가 사라져 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면서 “17평형은 대책 발표 이전에 13억원에 거래되기도 했지만 대책 발표 때 5000만원 내린 데 이어 지금은 12억원에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15평형은 6000만원 내린 8억 10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이밖에 부동산정보 제공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재건축 초기 단계인 강동구 상일동 주공3단지(정밀안전진단 단계) 16평형은 4억 7000만∼4억 8000만원으로 1주일 사이에 1000만원가량 빠졌다.14평형은 3억 8000만∼4억원으로 1500만원가량 내렸다. 조합설립인가 단계인 송파구 가락동 시영2차 13평형은 5억 5000만∼5억 7000만원으로 1500만원가량 떨어졌고,19평형은 9억 5000만∼9억 8000만원으로 2000만원 내렸다. 반면 사업시행인가 단계로 개발부담금을 피할 수 있는 재건축 단지들은 강세다. 서초구 잠원동 한신 6차 아파트 35평형은 1주일 사이에 4000만원, 서초구 반포동 미주아파트 38평형은 같은 기간에 3500만원 올랐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자연보전권역 소규모 택지개발 못해

    이르면 20일부터 경기도 가평·양평·광주·용인 등 수도권 자연보전권역에서 3만평(10만㎡) 미만의 택지조성사업을 할 수 없게 된다. 건설교통부는 “수도권 자연보전권역내 택지조성사업의 개발면적 하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수도권정비계획법(수정법) 시행령 개정안이 11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되는 대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개정안은 자연보전권역내 비도시지역의 경우 택지조성사업을 10만㎡ 이상 면적에 대해서만 허용하고 경기도 광주처럼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되는 지역은 최대 50만㎡까지 택지개발을 허용했다. 종전에는 자연보전권역에선 3만㎡(9000평) 이상 택지나 공업용지·관광지 조성과 도시개발사업을 금지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만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 허가를 받아 6만㎡(1만 8000평)까지, 오염총량제 지역은 20만㎡까지만 개발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가평·양평·여주·광주·이천·남양주·안성·용인 등 수도권 일부지역 등에서 앞으로 소규모 택지개발은 허용되지 않으며 중규모 이상의 개발만 가능해진다. 자연보전권역은 한강 수계의 수질과 녹지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한 지역으로 전체 면적이 3831만㎢에 이른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신도림역일대 상업 중심지로 뜬다

    신도림역일대 상업 중심지로 뜬다

    신도림역 일대가 개발붐에 휩싸였다. 대규모 쇼핑몰을 비롯해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ㆍ오피스텔 등 크고 작은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앞으로 서울 남부권의 새로운 상권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주변 집값도 덩달아 오르는 등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07년 테크노마트 준공 태영아파트 옆 옛 기아자동차 출하장에는 오는 2007년 준공을 목표로 프라임산업이 대규모 복합쇼핑몰 ‘신도림 테크노마트’를 짓고 있다. 현재 공정의 40%가 진행된 상태로 시공은 대우건설이 맡았다. 지하 7층·지상 26층 연면적 8만 6000여평 규모다. 전자ㆍ전기 전문매장을 비롯해 할인점, 영화관, 스포츠센터, 식당가, 벤처 비즈니스센터 등으로 이뤄진다. 공연장 및 1000석 규모의 이벤트홀도 지어진다. 지난달부터 테크노마트 2차 분양을 진행중이다. 프라임산업 진대오 사장은 “오는 2010년쯤 신도림역 일대에 대규모 복합타운이 형성되면 신도림은 서울 서남권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면서 “테크노마트는 규모와 상징성 면에서 신도림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테크노마트 건너편 대성연탄 공장 1만여평 부지에는 호텔과 업무용 건물이 지어진다.42층 복합 빌딩과 7층짜리 컨벤션센터,45층 높이의 주거 빌딩 등 대형 건물 3개가 들어선다. ●초고층 오피스텔도 속속 들어서 초고층 오피스텔과 주상복합 건물의 막바지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오는 2007년 완공 예정으로 옛 한국타이어 공장 7100여평에 건립중인 오피스텔 ‘대우미래사랑시티’는 연면적 5만 6000여평, 지상 26∼30층 4개동이다. 오피스텔 664실과 오피스 405실로 이뤄졌다. 건너편에 SK건설이 짓는 주상복합 ‘신도림SK뷰’는 올해 상반기 입주가 목표인데 아파트 304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158실 4개동으로 이뤄진다. 경인로를 따라 도림동쪽에 들어서는 ‘플래티넘시티’오피스텔 공사는 마무리 단계다. 쌍용건설이 짓는 이 건물은 지상 15층 8개동 794실이며 다음달 입주 예정이다. ●개발 붐으로 집값 상승 견인 대규모 개발과 함께 도림천 복원도 관심거리다. 신도림을 끼고 도는 도림천을 오는 2008년까지 청계천과 같은 생태하천으로 복원시킬 예정이다. 도림천 복원구간은 1080m나 된다. 이에 따라 신도림동 일대 아파트들도 지난 연말부터 값이 꾸준히 오르는 등 강세를 띠고 있다. 신도림 4차 e편한세상 57평형은 지난해 말 9억 1000만원이었으나 지금은 11억원으로 2억원가량 뛰었다. 신도림 대림4차는 지난해 말부터 아예 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어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테크노마트 옆 구로동 태영 아파트 38평형은 5억∼5억 3000만원으로 연초 대비 2000만∼3000만원가량 상승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 팀장은 “신도림역 일대는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는 각종 개발 공사로 향후 전망이 좋아질 예정인 데다 이에 따라 향후 유동 인구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어서 이 일대 집값은 앞으로도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혁신도시 규모 50만~250만평

    2007년부터 착공되는 혁신도시는 오는 2020년까지 인구 2만∼5만명, 규모 50만∼250만평을 목표로 조성된다. 혁신도시내 주거지역은 중심지구와 가까이 두는 한편 안마시설소, 단란주점, 모텔 등 청소년 유해시설은 짓지 못한다. 건설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혁신도시 기본구상’을 마련, 시·도와 사업시행자에게 내려 보내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기본 구상을 설계토록 했다고 9일 밝혔다.기본구상에 따르면 혁신도시 목표인구는 이전공공기관 및 산·학·연 클러스터 형성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2020년까지 2만∼5만명으로 설정했다. 개발규모는 목표인구 수용을 위한 도시개발 면적, 이전기관의 특수성, 혁신클러스터 소요면적, 유보지 면적을 토대로 융통성있게 산정토록 했다.건교부는 자족기능과 쾌적성을 추구하는 신도시 수준(1인당 부지면적 25∼50평)을 고려, 인구 2만명은 50만∼100만평,5만명은 150만∼250만평의 규모를 각각 제시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용인엔 미분양 없다?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이 속속 해소되는 등 미분양 단지가 2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면서 미분양 주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6일 부동산정보 제공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3월 현재 수도권 미분양물량은 전달 보다 32.9% 줄어든 123곳 3873가구로 나타났다.판교신도시 영향을 받은 용인시 미분양 가구수가 3월 현재 총 28가구는 전달 대비 51.7% 줄었다. 의정부시 미분양 물량도 전달 대비 32.8% 줄었다. 금호건설이 중랑구 면목동 580의 48 빌라를 재건축해 지은 165가구 중 69가구를 일반분양했으나 37평형을 제외한 26∼31평형이 20% 정도 남아 있다. 계약금 500만원에 중도금 60% 무이자 융자가 가능하다.지하철 7호선 용마산, 사가정역이 걸어서 5∼6분 거리이며, 용마산 조망이 가능하다. 까르푸 면목점을 이용할 수 있다. 경남기업이 강북구 미아동 791의 119 일대 단독주택을 재건축하는 미아 아너스빌. 총 209가구 중 26∼33평형 159가구를 일반분양하는데 전 평형에서 미분양 물량이 남아 있다.32평형이 주요 평형이다. 계약금 10%에 중도금은 50% 이자후불제로 대출해 준다. 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다.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등이 가깝다. 삼환기업은 용인시 김량장동 407의 1에 짓는 용인 삼환나우빌은 33평형 402가구,46평형 56가구 등 총 458가구를 분양하는데 33평형 저층 위주로 10가구 정도 남았다. 중도금 40% 이자후불제 조건이다.2009년 용인경전철이 개통되면 용인역까지 걸어서 5분이면 이용할 수 있다. 지난 1월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211의 53 일대에 임광토건이 30∼54평형 1036가구의 대단지를 분양한 봉담그대家2차의 30·33·34평형 130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았으며 34평형이 주를 이룬다. 중도금 40% 이자후불제 조건이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판교 민영 최고 3000대1?

    판교 민영 최고 3000대1?

    ‘3000대 1?’ 7일 서울 일반 1순위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판교 민영아파트 분양 접수가 이번 청약 대전의 최대 고비로 예상되면서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장과 인터넷 접수를 받는 금융결제원과 관련 은행들은 한꺼번에 인파가 몰려들 것을 우려해 추가 인력을 배치하는 등 무사고 청약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판교 민간 분양 아파트에 청약할 수 있는 서울·수도권 일반 1순위자는 청약예금 60만명과 청약부금 193만명 등 모두 253만명이다. 이들 몫으로 떼어놓은 아파트는 815가구. 따라서 1순위자들이 모두 청약한다고 가정하면 평균 경쟁률이 무려 3104대 1에 이른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1가구2주택자, 가구주가 아닌 가입자,5년내 당첨사실이 있는 사람 등 1순위 청약 자격에 제한을 받는 사람들을 빼면 실제 유효 청약 경쟁률은 1000대 1에서 1500대 1 정도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동판교 풍성신미주 33평형 1147가구, 서판교 한림아파트 29∼33평형 1045가구 등 인기 아파트에서는 최고 3000대 1의 경쟁률도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민간 분양 아파트(815가구)는 7일부터 12일까지 나흘간은 서울 일반 1순위를 상대로,13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은 인천·경기(성남 포함) 일반 1순위를 상대로 청약 접수를 한다. 한편 서울·성남·수도권 5년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민간 분양 아파트의 청약경쟁률이 100대 1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설교통부는 판교 민간 분양아파트 청약 나흘째인 6일 국민은행 등 시중은행 인터넷과 창구에서 서울과 성남을 포함한 수도권 35세 이상 5년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받은 청약 중간집계 결과 총 5만 971명이 몰렸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3,4일 접수한 서울·성남 포함 수도권 40세 이상 10년 무주택 신청자 중 낙첨자와 함께(총 9만 196명) 경쟁을 벌이게 돼 모집 803가구(수도권 35세 이상 5년 무주택자 대상 물량)에 대한 실제 경쟁률은 111대 1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떨어진 사람들은 7일부터 접수하는 서울 등 수도권 1순위자와 다시 경쟁을 벌이게 된다. 비싼 임대보증금으로 청약기피 현상이 두드러졌던 민간 임대아파트는 이날 청약저축 가입 성남 1순위자를 대상으로 접수한 결과 총 296명이 신청, 나흘 만에 겨우 모집가구 수(271가구)를 넘겼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