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공룡 SPC, 1위 롯데 턱밑 추격
파리크라상으로 유명한 SPC그룹이 제과·제빵업계 공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그룹의 지난해 제과·제빵 관련 매출액은 업계 2위.SPC그룹은 1위인 롯데제과와의 격차를 계속 좁혀나가고 있다. 제과를 제외한 제빵시장 점유율은 70%나 된다.
10일 한국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SPC그룹의 지난해 제과·제빵 관련(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 파스쿠찌, 삼립, 샤니) 매출액은 9443억원으로 1위인 롯데제과와의 격차가 1349억원까지 좁혀졌다.
SPC그룹은 2004년에는 3위,2005년에는 2위로 상대적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제과를 제외한 제빵(베이커리+양산빵) 시장만 놓고 보면 SPC계열(파리크라상·삼립·샤니)의 2006년 매출액은 전체 시장(매출 1조 4043억원)의 67.2%(9443억원)다.
양산빵만 놓고 보면 SPC가 시장을 거의 독식하고 있다.SPC의 샤니(59%)와 삼립(24%)의 매출은 전체 시장의 83%(2006년 기준)다. 베이커리 부문에서의 성장도 눈에 띈다.
파리크라상(파리바게뜨, 파스쿠찌 포함)의 2006년 매출은 4958억원으로 전년(4066억원)보다 21.9% 늘었다. 반면 CJ의 뚜레쥬르는 전년보다 31.8%(1587억원→1038억원), 크라운베이커리는 전년보다 4.1%(1177억원→1129억원) 매출액이 줄었다.
파리크라상은 고급화 전략에 따라 ‘웰빙’이라는 소비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성장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압구정역, 타워팰리스, 강남역·종각역 대로변, 청계천, 동부이촌동, 분당 서현역 등 수도권 중심 요충지나 고급 주거지역에 직영 점포를 출점, 고급 마케팅에 주력해왔다.
파리바게뜨 매장에서 판매하는 웰빙 빵 종류도 2005년 25개에서 이듬해 40종으로 늘었고, 올들어 55종으로 확대됐다. 지난해부터는 곡물, 식이섬유, 클로렐라 등과 결합한 다양한 웰빙 제품이 나오고 있다.
양을 줄인다거나 고가의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빵값을 인상하는 전략을 펴고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예컨대 파리바게뜨의 생크림토스트 식빵은 400g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격은 1600원이다. 그러나 올들어 나온 다이어트 식빵(나를 위한 선택 53.5)은 2200원(280g)이다. 식이섬유를 넣은 특수 제품이라면서 기존 제품보다 양은 적지만 훨씬 더 비싸게 팔고 있는 것이다.
SPC그룹은 허영인 회장이 지난 2003년 작고한 허창성 삼립식품 명예회장으로부터 모기업격인 샤니를 물려 받은 뒤 1986년 설립한 파리크라상(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과 비알코리아(배스킨라빈스·던킨도너츠)가 대박을 터뜨리면서 성장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