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23조원 이라크 재건사업 수주 추진

    현대건설, 코오롱건설 등 국내 13개 기업이 23조원대 규모의 이라크 아르빌 재건사업 수주를 추진하고 있다.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 13개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코리꾸르디 코리아’는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와 이라크 아르빌 재건사업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에는 터키 국경 인근 자코에서 아르빌간 182㎞ 구간 고속도로와 아르빌 시내 5000가구 규모의 고급형 주택, 수력댐을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들 사업의 예상 규모는 총 23조원에 이른다. 컨소시엄에는 현대건설을 비롯해 코오롱건설, 성원건설, 경남기업,STX, 포스텍 등이 참여하고 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기능성 헤어제품 출시

    기능성 헤어제품 출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영양제 등 헤어 신제품 출시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의 헤어 브랜드인 미쟝센은 기존의 ‘미쟝센 펄 샤이닝 에멀전(230㎖·7000원)’을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출시됐다. 라임오일과 샤이닝 펄 프로틴 성분이 들어 있어 기존 제품보다 매끄러움을 개선, 모발을 차분하고 윤기 있게 마무리해 살랑거리는 느낌의 머릿결을 연출해준다는 게 회사측의 얘기다. 이 회사의 관계자는 10일 “제품은 모발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해 머릿결을 매끄럽게 하고, 햇볕으로부터 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면서 “특히 보호진주에서 추출한 샤이닝 펄 프로틴의 단백질 성분은 모발 내부 콜텍스 층에 침투해 모발을 건강하게 해준다.”고 말했다. 애경의 프리미엄 헤어 브랜드인 케라시스는 ‘케라시스 오리엔탈 프리미엄’ 4종(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엠플)을 새롭게 출시했다. 동백오일, 인삼 등 천연 한방원료가 들어 있어 머릿결의 탄력과 윤기를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샴푸 600㎖ 9900원, 린스 600㎖ 9900원, 트리트먼트 200㎖ 6400원, 엠플 15㎖ 4개 1만 2600원. P&G는 팬틴 ‘헤어 폴 컨트롤 세트(샴푸, 컨디셔너, 헤어캡슐)’를 출시했다. 끊어져 빠지는 모발을 2개월 안에 최대 50%까지 막을 수 있는 게 제품의 특징이라고 한다. 비타민E가 들어 있다. 샴푸 400㎖ 1만원대, 컨디셔너 375㎖ 1만원대, 헤어 캡슐 15㎖ 10개 1만 3000원.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제빵공룡 SPC, 1위 롯데 턱밑 추격

    제빵공룡 SPC, 1위 롯데 턱밑 추격

    파리크라상으로 유명한 SPC그룹이 제과·제빵업계 공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그룹의 지난해 제과·제빵 관련 매출액은 업계 2위.SPC그룹은 1위인 롯데제과와의 격차를 계속 좁혀나가고 있다. 제과를 제외한 제빵시장 점유율은 70%나 된다. 10일 한국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SPC그룹의 지난해 제과·제빵 관련(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 파스쿠찌, 삼립, 샤니) 매출액은 9443억원으로 1위인 롯데제과와의 격차가 1349억원까지 좁혀졌다. SPC그룹은 2004년에는 3위,2005년에는 2위로 상대적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제과를 제외한 제빵(베이커리+양산빵) 시장만 놓고 보면 SPC계열(파리크라상·삼립·샤니)의 2006년 매출액은 전체 시장(매출 1조 4043억원)의 67.2%(9443억원)다. 양산빵만 놓고 보면 SPC가 시장을 거의 독식하고 있다.SPC의 샤니(59%)와 삼립(24%)의 매출은 전체 시장의 83%(2006년 기준)다. 베이커리 부문에서의 성장도 눈에 띈다. 파리크라상(파리바게뜨, 파스쿠찌 포함)의 2006년 매출은 4958억원으로 전년(4066억원)보다 21.9% 늘었다. 반면 CJ의 뚜레쥬르는 전년보다 31.8%(1587억원→1038억원), 크라운베이커리는 전년보다 4.1%(1177억원→1129억원) 매출액이 줄었다. 파리크라상은 고급화 전략에 따라 ‘웰빙’이라는 소비 트렌드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성장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압구정역, 타워팰리스, 강남역·종각역 대로변, 청계천, 동부이촌동, 분당 서현역 등 수도권 중심 요충지나 고급 주거지역에 직영 점포를 출점, 고급 마케팅에 주력해왔다. 파리바게뜨 매장에서 판매하는 웰빙 빵 종류도 2005년 25개에서 이듬해 40종으로 늘었고, 올들어 55종으로 확대됐다. 지난해부터는 곡물, 식이섬유, 클로렐라 등과 결합한 다양한 웰빙 제품이 나오고 있다. 양을 줄인다거나 고가의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빵값을 인상하는 전략을 펴고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예컨대 파리바게뜨의 생크림토스트 식빵은 400g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격은 1600원이다. 그러나 올들어 나온 다이어트 식빵(나를 위한 선택 53.5)은 2200원(280g)이다. 식이섬유를 넣은 특수 제품이라면서 기존 제품보다 양은 적지만 훨씬 더 비싸게 팔고 있는 것이다. SPC그룹은 허영인 회장이 지난 2003년 작고한 허창성 삼립식품 명예회장으로부터 모기업격인 샤니를 물려 받은 뒤 1986년 설립한 파리크라상(파리크라상, 파리바게뜨)과 비알코리아(배스킨라빈스·던킨도너츠)가 대박을 터뜨리면서 성장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新 라이벌전] 현대산업개발 김정중 사장 vs 롯데건설 이창배 사장

    [新 라이벌전] 현대산업개발 김정중 사장 vs 롯데건설 이창배 사장

    현대산업개발(현산)의 아이파크와 롯데건설의 롯데캐슬은 국내 아파트 브랜드의 대표적인 라이벌로 통한다. 현산과 롯데건설은 국내 건설업체 ‘빅5’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브랜드만 놓고 보면 ‘빅5’에 손색이 없다. 현산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지은 아이파크는 국내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로 꼽힌다. 롯데의 용산 시티파크, 대치 롯데캐슬, 잠실 롯데캐슬 골드 등도 지역의 랜드마크로 불린다. 또 현산과 롯데건설은 ‘빅5’와는 달리 매출의 50%가량을 아파트에서 올리고 있다.‘빅5’의 아파트 비중은 30% 정도다. 두 회사는 장수(長壽)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하고 새로운 수장의 주도하에 변신중인 점도 비슷하다. 이창배 사장이 지난 2004년 10월 취임한 이후 롯데건설은 매출과 수주, 순이익에서 현산을 앞서는 등 성장세가 무섭다. 현산도 지난해 6월 김정중 사장이 오면서 기존의 내실 경영 대신 시장점유율 확대를 선언하며 공격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창배사장 “2010년 매출 6조원” 롯데건설의 올해 수주 규모는 8조원으로 2004년 실적의 두배다. 롯데의 지난해 순이익은 2905억원으로 현산보다 4억원이 많다.2005년만 해도 현산의 순익은 롯데보다 1000억원 이상 많았다. 올해 매출 목표도 롯데(3조 8000억원)가 현산보다 9000억원가량 많다. 롯데는 오는 2010년에는 수주 10조원, 매출 6조원이 넘는 건설사로 우뚝 선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 이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이창배 사장이 있다. 그는 지난 1975년 롯데에 입사해 호텔롯데 부장, 부산호텔롯데 기획관리실 부장, 롯데쇼핑 건설사업본부 전무이사 등을 지낸 관리형 CEO다.2001년 롯데건설로 옮겨 재무, 인사, 자재를 총괄하는 관리본부장을 맡았다. 호텔과 쇼핑 부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중심 경영을 강조한다. 외국어대 일본어학과 출신으로 숫자에 밝다. 꼼꼼하면서도 질문이 많아 아랫사람들을 긴장시킨다는 평을 듣는다.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다. 사장이 된 이후에도 언론사 인터뷰에 한번도 응한 적이 없다. ●김정중사장“점유율 높이겠다” 2007년 기준 시공능력평가에서는 현산은 7위, 롯데는 8위다. 시공능력평가 부문에서 롯데가 현산을 이겨본 적은 없다. 현산은 매출이나 순이익에서는 롯데에 다소 밀리지만 매출 대비 순이익률은 앞선다. 현산의 순이익률은 4년 연속 10%를 넘었다. 지난해 기준 매출 대비 순이익률은 현산 11%, 롯데 9% 수준. 김정중 사장은 30년간 현산에 몸담은 정통 건설맨이다. 한양대 건축공학과를 나와 1977년 현대산업개발에 입사했다. 기술연구소장, 건축본부장, 영업본부장 등을 지냈다. 현대아파트와 아이파크 건설을 주도해 왔다. 지금까지 현산은 안정성 위주의 내실 경영에 주력해왔지만 김 사장은 공격 경영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여간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현산은 기존의 도급 공사 대신 땅을 사서 시행·시공하는 자체사업 비중을 늘리는 쪽에 주력하고 있다. 주상복합은 물론 쇼핑센터, 호텔 등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개발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기존의 유통업도 강화한다는 게 현산의 계획이다. 부산 해운대구 우동에 짓는 주상복합(1700가구) 복합개발이 대표적인 예다. 내년에는 수원에서 30만평 규모(6000여가구)의 도시개발사업도 벌인다.2010년까지 국내 최고 부동산종합개발회사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베트남에 70층빌딩 건설

    경남기업이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 팜흥스트리트에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70층짜리 복합빌딩과 아파트 2개동으로 구성된 ‘경남하노이 랜드마크타워’를 짓는다.경남기업은 9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이 회사 강창모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발투자조인식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경남하노이는 이달 말 착공, 하노이 천도(遷都) 1000년이 되는 2010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10억 5000만달러(약 9700억원)다. 국내 기업의 베트남 단일투자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팜흥스트리트 4만 6008㎡ 부지에 들어설 이 건물은 연면적 57만 8957㎡로 서울 여의도 63빌딩의 3.5배에 이른다. 최고 높이가 336m로 베트남의 최고층이자 세계 17위에 해당된다. 복합빌딩에는 호텔(372실), 서비스드 레지던스(364실), 오피스 36개층과 기타 부대시설이 들어간다.47층 아파트 2개동에는 총 900여가구의 고급 주택이 들어선다. 호텔은 세계적인 체인업체에 맡겨 운영하고 아파트는 연내 분양할 방침이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2차 남북정상회담] 파주·문산 땅 문의 활발

    남북 정상회담 소식이 전해지면서 파주, 문산, 연천, 철원 등 남북 접경지역 일대 부동산 중개업소에는 매입 시기를 묻는 문의 전화가 적지 않게 걸려오고 있다. 그러나 적지않은 전문가들은 접경지역 상당수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고 이미 가격도 많이 올랐기 때문에 회담 결과에서 특별한 성과가 나오지 않는 한 가격이 더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소장은 9일 “정상회담의 후폭풍이 분다면 1차로 파주 문산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2차는 연천, 철원, 강화도 등 접경지역, 더 나아가 고성지역까지 파장이 확대될 수 있다.”면서 “철도나 국도를 따라 투자자들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우선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파주, 문산 일대에는 벌써부터 토지 문의가 활발하다. 파주 A부동산 관계자는 “파주의 경우 운정신도시가 조성 중이고 연내 아파트 분양을 앞두고 있어 청약경쟁률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근 문산읍 일대에도 LG필립스LCD 공장 및 배후단지, 남북교류 협력단지, 남북교류 배후신도시 등 개발호재가 많아 부동산 호가가 높아질 것이란 기대다. 경원선이 지나가는 철원, 연천 일대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지 않아 외지인들의 관심이 높다. 연천은 이미 연초부터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연천 B부동산 관계자는 “연천은 고양 삼송 보상 직후부터 문의가 부쩍 늘었고 호가도 오른 편 ”이라면서 “연천 신탄리역 주변과 신현, 갈현리 인근 땅값은 연초보다 이미 10∼20% 뛰었다.”고 말했다. 고종완 RE멤버스 사장은 “남북정상회담은 부동산 시장에 전반적으로는 호재이지만 경의선 철도 등 호재로 북부지역 부동산 값은 참여정부들어 이미 너무 많이 올랐다.”면서 “정상회담에서 ‘어느 특정 지역에 남북 관광 단지를 조성한다.’ 등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와야 북부지역 부동산이 직접적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제일기획, 이색 신입사원 환영식 열어

    기존의 임명장 수여식과 같은 딱딱한 입사식 대신 이색 선물 증정 파티를 위주로 한 일명 ‘신입사원 환영 축제’를 연 광고회사가 있다. 제일기획은 8일 서울 한남동 본사에서 신입사원 15명과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신입사원 입사식을 가졌다. 입사식의 하이라이트는 선물 수여식. 신입사원들은 제일기획의 광고주 브랜드 로고를 담은 책과 함께 ‘일기인(제일기획인)의 러브마크’라고 새겨진 선물 상자를 받았다. 상자에는 ‘우리의 아이디어로 광고주의 브랜드는 소비자의 러브마크로 변한다.’는 메시지와 함께 이 회사의 광고주 제품인 햇반 고추장 등 생활용품 8종이 들어 있었다. 김낙회 사장은 메시지에서 “광고주와 광고회사의 파트너십은 광고주 브랜드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된다.”면서 “광고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그 브랜드를 소비자의 러브 마크로 변화시키는 열정을 가진 프로 일기인(제일기획인)이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새달부터 청약가점제… 유망단지와 전략은

    새달부터 청약가점제… 유망단지와 전략은

    오는 9월1일부터 시행되는 청약가점제를 20여일 앞두고 청약통장 보유자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연말까지 분양될 예정인 인기 지역을 살펴보면서 당첨을 위한 청약 전략을 정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판교 대우·신구종합건설 948가구 최고 관심지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성남 판교 휴엔하임푸르지오 ▲인천 송도 국제업무지구의 포스코 더 ▲서울 은평뉴타운1지구 등 3곳을 연내 최고 유망 분양 단지로 꼽는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받는 곳은 단연 판교다.A20-2블록에서 대우건설과 신구종합건설이 125∼201㎡(38∼61평형)의 아파트 948가구를 오는 10월에 분양한다. 판교의 마지막 민간 중대형 아파트다. 오는 2011년 개통될 예정인 신분당선 연장선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상업지구와도 가까워 주거 여건도 괜찮은 편이다.30%는 성남 지역 거주자에게 우선 공급된다. 나머지 70%를 놓고 서울지역은 600만원짜리 통장, 경기지역은 300만원짜리 통장이 있으면 125㎡(38평형)에 청약이 가능하다. 대한주택공사 관계자는 7일 “A20-2블록의 경우 사업이 늦어져 청약 일정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면서 “내년에는 주공이 국제현상공모를 통해 설계한 300가구 규모의 타운하우스형 연립주택(B5-1,B5-2,B5-3블록)과 국민임대(공정 80% 이후 분양) 5700여가구도 분양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 은평구 진관내·외동 및 구파발 일대 108만여평에 1만 5200가구가 들어서는 은평뉴타운도 눈길을 끈다. 오는 10월 1지구가 먼저 공급된다.1지구는 112∼214㎡(34∼65형) 2817가구로 이뤄진다. 시공은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SK건설 등이 맡는다. 인천 송도신도시 1공구 국제업무단지 D13,14블록에서 포스코가 짓는 더도 주목받는 대상이다.99∼198㎡(30∼60형) 1400가구의 대단지로 조성되는 이 아파트는 인천 앞바다 조망권이 있다. 송도국제학교도 가깝다. ●가점제에서 유망지구 당첨되려면 가점 최소 50점 이상 현재 100%인 청약추첨제는 다음달부터는 가점제 75%, 추첨제 25%로 청약 당첨자를 뽑는다. 만점은 84점이며,55점 이상이면 안정권이다. 가점제 기준은 무주택기간(2∼32점), 부양가족 수(5∼35점), 가입기간(1∼17점) 등 3개다. 오는 2010년 이후부터는 자산과 소득 등의 항목이 추가된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인기가 높은 판교 아파트는 최소 55점 이상이 돼야 당첨 가능성이 있다.”면서 “은평뉴타운 1지구와 송도신도시는 가점 최소 4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 두달 안에 청약 점수를 높이는 방법은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구원 및 무주택기간을 관리해야 한다. 조부모나 부모 등 직계존속을 빨리 모시고 주민등록을 옮겨와야 한다. 적어도 3년 이상 모셔야 청약점수에 반영이 되기 때문이다. 가구가 분리된 30세 이상 미혼 자녀가 1년 내에 결혼할 계획이 없다면 다시 가구원으로 편입하는 것도 방법이다.1년 이상 같이 지내면 부양가족 점수에 포함된다. 결혼 계획이 있는 미혼이라면 빨리 결혼해 자녀를 갖는 것도 방법이다. 직계비속을 늘려 점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선영 내집마련정보사 연구원은 “청약에 성공할 때까지 가구원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면서 “공동명의 등으로 주택을 소유하면 무주택기간이 없어질 수도 있는 만큼 무주택기간 관리에도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약가점에서 불리한 단독가구주, 신혼부부,1주택자들은 8월 분양 물량에 적극 도전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유주택자·가점 낮은 경우 85㎡ 초과 평형대 관심을

    청약부금 가입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청약저축 대상인 공공주택의 비율이 계속 높아지는 가운데 민간 건설업체들이 소형 공급을 꺼려 통장 사용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금 가입자는 지난 연말보다 7월 현재 18만여명이나 줄었다. 청약부금은 민간 건설업체가 짓는 전용면적 85㎡(전용면적 25.7평) 이하 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통장이다. ●부금가입자, 예금으로 갈아탈까? 청약부금은 다음달 1일로 예정된 가점제(75% 가점제,25% 추첨제) 실시와는 상관이 없다. 지금도 민간 85㎡(25.7평) 이하 아파트의 75%는 ‘만 35세 이상·5년 이상 무주택 가구주’에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은평뉴타운, 송파신도시 등 공영개발이 늘어 부금 가입자 대상 물량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문제지만 추첨제로도 앞으로 일정 물량은 계속 나온다. 가점이 불리하다고 가점제 실시 전인 8월에 무조건 청약하는 게 능사는 아니다. 그러나 유주택자나 가점이 낮은 청약부금 가입자라면 추첨제의 비율이 50%인 85㎡(25.7평) 초과 분양물량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투모컨설팅 김정용 투자자문본부장은 “85㎡ 초과 평형대의 경우 50%가 추첨제로 나온다.”면서 “여유자금을 고려할 때 청약부금 가입자의 경우 서울기준 600만원짜리 청약예금으로 전환하면 선택의 폭(85㎡ 이하→102㎡ 이하)이 넓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가점에 유리해지려고 무주택기간 10년 이상이 되기를 기다리기보다 자금여력이 어느 정도 되면 뉴타운이나 재정비촉진지구 내 주택을 산 뒤 청약 전략을 다시 세우는 편이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청약부금을 청약예금으로 바꾸려면 1순위 요건 2년이 지나고 예치금이 300만원(서울기준)이 돼야 한다. 매월 불입한도액은 최고 50만원이다. 예컨대 서울 거주자로 청약부금 300만원을 낸 사람이 청약예금 600만원으로 바꾸려면 차액인 300만원을 준비해 가입한 은행에서 바꾸면 된다. 변경 후 1년이 지나야 1순위로 청약할 수 있다. ●8월 청약부금 대상 단지들은 청약부금가입자들은 당장 이달 길음뉴타운 8·9단지와 오산시 양산동 오산세마 e-편한세상, 남양주 진접 반도 유보라 등에 도전하는 것도 괜찮다. 삼성물산은 길음8구역(일반분양 219가구)과 길음9구역(일반분양 343가구)에서 래미안 2871가구를 분양한다. 부금가입자들은 8단지 79㎡(24평형) 100가구,9단지 79㎡(24평형) 223가구에 청약할 수 있다.79㎡의 분양가는 3.3㎡(1평)당 1280만∼1312만원선이다. 이달 중순 오산시 양산동 140번지에서 대림산업이 분양하는 오산세마 e-편한세상(총 1646가구)의 경우 101㎡(30평형)와 109㎡(33평형) 716가구가 청약부금 가입자 몫이다. 오산시 1년 이상 거주자에게 우선 공급된다. 분양가는 3.3㎡당 800만∼900만원 수준. 이달 말 남양주 진접지구에서 동시분양으로 나오는 반도건설의 유보라 메이플타운(총 873가구)도 있다. 모든 물량(111㎡·33평형)이 청약부금 대상이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해태제과 남영동사옥 매각 추진 중단

    크라운·해태제과가 추진해오던 해태제과의 서울 남영동 본사 사옥 매각 계획이 중단됐다. 해태제과는 남영동 사옥과 인근 식품연구소에 대한 매각계획 추진을 중단했다고 6일 밝혔다.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은 지난 2월 부채 최소화 등을 위해 해태제과 남영동 사옥과 식품연구소, 천안 제1공장을 매각하고, 해태제과 본사와 크라운제과 서초동 본사를 크라운 안양공장으로 이전키로 했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천안 제1공장 매각은 계속 추진된다. 크라운·해태제과는 대신 이날 차입금 상환 및 재무구조 개선 등을 위해 경기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소재 크라운제과 안양공장의 건물 1만 1113㎡와 토지 2만 4275㎡를 514억원에 처분키로 했다. 또 크라운제과 본사는 이달 말까지 해태제과 남영동 사옥으로, 과자 ‘산도’ 등을 생산하는 안양공장의 라인은 올해말까지 대전공장으로 각각 이전하게 된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검토 결과, 남영동 사옥이 불경기 등으로 매각 예상금액이 낮은 데다 앞으로 자산가치가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회사의 상징이라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매각계획을 중단키로 결정했다.”고 말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속옷팔아 번 돈으로 제주도서 실버 사업

    ‘비비안’이라는 브랜드로 잘 알려진 남영L&F의 남상수(82) 명예회장이 실버사업 전개를 선언하면서 제주 골프장 빌리지 분양 사업에 나섰다. 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 일대에서 지은 36홀 규모의 ‘사이프러스 골프&리조트’를 최근 정식 그랜드 오픈하면서 이 리조트의 빌라와 콘도 72가구를 분양하고 있다. 남영L&F측은 6일 “남 명예회장은 1970년대 사들인 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 일대 220만평 땅을 실버타운 개념의 리조트로 건설할 계획”이라면서 “우선 그 첫 사업으로 그중 58만평에 회원제 27홀, 퍼블릭 9홀 등 총 36홀 규모의 사이프러스 골프&리조트를 지어 분양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땅은 제주도에 개발허가를 내놓은 상태다. 분양하는 빌라는 188∼353㎡(57∼107평형)로 이뤄진 24가구다. 가격은 3.3㎡(1평)당 평균 1500만원 수준.73세 때 서울컨트리클럽에서 73타의 에이지 슈트(age shoot)를 기록한 남 명예회장은 본인이 쓰기 위해 법인 명의로 79평형짜리 한 개를 샀다. 콘도(총 48실) 30일 사용권은 125㎡(38평형)에 4300만원 수준.(02)749-8888.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올 청약부금 가입자 18만명 감소

    올 들어 청약부금 가입자는 18만여명 줄어든 반면 청약저축 가입자는 18만여명 늘어났다. 6일 건설교통부와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186만 6640명이나 됐던 청약부금 가입자는 6월말 현재 168만 2956명으로 18만 3684명이 감소했다. 청약부금은 민간건설업체가 짓는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통장이다. 반면 청약저축 가입자는 꾸준히 늘고있다. 청약저축은 공공이 짓는 85㎡ 이하 주택에 청약할 수 있는 통장이다. 청약저축 가입자는 6월말 259만 794명으로 6개월 사이 18만 1692명이 늘었다. 청약저축은 변경된 청약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전국 집값 3.3㎡당 800만원 넘어

    전국 집값 3.3㎡당 800만원 넘어

    전국 아파트 값이 3.3㎡(1평)당 평균 800만원을 넘었다. 부동산써브는 6일 “1일 현재 전국 아파트(583만 2489가구) 시세를 조사한 결과 3.3㎡당 평균 가격이 801만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아파트 값이 급등하면서 2004년 3월 전국 아파트 값은 3.3㎡당 평균 600만원을 넘었다. 10·29대책이 나온 지 1년만인 2004년 9월(599만원) 3.3㎡당 평균 600만원대가 무너지기도 했다. 그러나 2005년과 2006년 집값이 각각 9.9%와 22.9% 급등, 지난해 8월 3.3㎡당 평균 700만원을 돌파했다.1년만에 3.3㎡당 평균 아파트가격이 700만원에서 801만원으로 100만원이 넘게 뛴 셈이다. 집값은 올 들어 1·11대책의 영향으로 안정세를 찾아 지난달 말 현재 지난해 말보다는 1.9% 오르는 데 그치는 등 비교적 안정세다. 1일 현재 3.3㎡당 가격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1221만원, 그외 지역은 414만원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1627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서울 지역 집값은 지난 2004년 1월 3.3㎡당 1130만원에서 이달 1627만원으로 뛰었다.3년 7개월동안의 상승률은 44.0%다. 같은 기간 전국 집값 상승률은 34.6%(595만원→801만원)로 나타났다. 이달 경기도의 3.3㎡당 평균 아파트가격은 939만원으로 전국 평균 집값을 훨씬 웃돌았다. 이어 인천(606만원), 대전(488만원), 대구(469만원), 부산(440만원), 울산(440만원), 경남(411만원)의 순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은 모두 평균을 밑돌았다. 채훈식 리서치팀장은 “서울·경기는 기존 아파트 값이 크게 오른 데다 분양가가 높은 새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평균 집값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8월 ‘분양봇물’… 내집을 잡아라

    8월 ‘분양봇물’… 내집을 잡아라

    분양 비수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8월에 수도권에서만 총 1만 2095가구의 아파트(주상복합 포함)가 분양될 예정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6995가구)보다 173% 많다. 31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8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46곳에서 아파트가 분양된다. 전국적으로는 총 86곳에서 4만 7604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8월에 공급되는 물량으로는 수도권이나 전국이나 모두 1997년 조사 이후 가장 많은 규모라고 한다.9월 분양가 상한제 실시를 앞두고 업체들이 분양을 서두르기 때문이다. ●서울 강북 재개발 풍성 서울에서는 이달 총 11곳 1817가구가 분양된다. 대규모 재개발 단지가 많다. 삼성물산은 길음동 길음 8구역에서 총 1617가구를 지어 79∼132㎡(24∼40평) 20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정릉동 정릉길음 9구역에서는 총 1254가구 중 79∼145㎡(24∼44평) 32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모두 길음뉴타운 내에 있다. 성북구 하월곡동에서는 대우건설이 월곡 1구역을 재개발해 총 714가구 중 79·138㎡(24·42평) 5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영등포구 신길동에서는 GS건설이 신길 5구역을 재개발해 총 198가구 중 82∼142㎡(25∼43평) 108가구를 분양한다. 왕십리뉴타운 인근인 서울 중구 황학동에서는 대림산업이 ‘황학 아크로타워(총 263가구)’를 이달 중순 일반 분양한다.110㎡대 기준층 기준 분양가는 3.3㎡(1평)당 1900만원대다. 지하철 2·6호선의 역세권으로 신당역까지는 걸어서 1분 정도면 갈 수 있다. ●남양주 5927가구 동시분양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택지개발지구내 5927가구의 아파트가 이달 24일 동시분양된다. 경기지방공사, 금강주택, 남양건설, 반도건설, 신안, 신도종합건설, 신영 등 7개 건설사가 참여한다. 남양주 지역 거주자에게 물량의 30%가 우선 공급된다. 경기지방공사, 금강주택, 남양건설, 반도건설, 신안 등 5개사는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를 공급한다. 전체의 83.6%(4955가구)나 된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는다.10년간 전매가 금지된다. 분양가는 3.3㎡(1평)당 700만∼750만원대. 경기지방공사가 3블록에 분양하는 509가구(112㎡,34평형)는 이들 단지 중 유일한 청약저축 가입자 몫이다. 나머지는 모두 청약부금(경기 200만원)이나 청약예금(경기 200만원) 가입자 대상이다. 신도종합건설과 신영은 85㎡ 이상의 중대형 아파트를 공급한다. 입주 후 바로 전매할 수 있다. 청약예금 가입자(경기 400만원 이상)만 청약할 수 있다. 남양주 진접지구는 총 2005만㎡(60만평) 규모다. 공동주택 1만 2156가구가 들어선다. 서울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 아직은 47번 국도 하나뿐이다.2009년말 경춘선 복선전철(망우역∼춘천역),2013년 지하철 8호선 연장구간 별내선(암사∼구리 퇴계원)이 개통될 예정이다. ●양주 고읍서 4000여가구 이달 양주 고읍에서는 총 8곳 4347가구가 분양된다. 이중 3270가구가 85㎡ 이하 중소형 물량. 양주 지역 거주자에게 물량의 30%가 우선 배정된다. 분양가는 3.3㎡(1평)당 700만원대다. 신도종합건설이 11블록에 분양하는 108∼258㎡(32∼78형) 744가구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아 등기 후 바로 전매할 수 있다. 중대형 물량이 많아 400만원 이상 청약예금 가입자도 청약할 수 있다. 한양이 고읍지구 1블록에서 분양하는 598가구(109∼149㎡,32∼45평형)와 6-2블록에서 분양하는 434가구(124∼185㎡,37∼55평형)의 중대형 물량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는다. 양주 고읍지구는 148만㎡(43만평) 규모다.2008년까지 8706가구가 들어선다. 고읍지구와 가까운 경원선 덕계역이 오는 10월 개통되면 서울 도심까지 이동시간이 40분으로 단축될 예정이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대림, 아파트 1층계단 없앴다

    대림산업은 업계 최초로 아파트 동(棟) 출입구의 계단과 장애인 램프가 없는 일명 ‘오렌지 로비’ 디자인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1층 가구와 엘리베이터 로비는 바닥 높이가 지면보다 약 1.5m 가량 높아 계단이나 장애인 램프를 통해 출입해야 한다. 그러나 오렌지 로비의 경우 로비와 엘리베이터의 높이를 지면까지 낮췄다. 또 타는 쪽과 내리는 쪽의 문이 반대로 열리는 ‘양면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엘리베이터 로비와 1층 가구의 공용홀을 분리,1층 입주자의 소음 문제도 해결했다. 이계훈 상품개발부장은 “오렌지 디자인은 앞으로 20년간 대림산업이 시공하는 e-편한세상 아파트에만 사용할 수 있다.”면서 “내년 분양 예정인 안양 평촌 e-편한세상에 첫 적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새 아파트 넘쳐 콧대꺾인 전셋값

    7월에 이어 8월에도 강남을 비롯한 서울 주요지역에서 대단지 입주가 많지만 비수기여서 전세 수요는 뜸한 편이다. 이에 따라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는 편이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7월 한달간 서울 전체 전셋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02% 떨어졌다. 강동구(-0.58%), 마포구(-0.39%), 강서구(-0.23%), 강남구(-0.13%), 송파구(-0.07%) 등의 전셋값이 떨어졌다. 주요 단지들을 살펴보면 잠실주공3단지를 재건축한 송파구 잠실동 트리지움 3696가구(83∼179㎡,25∼54평형)는 이달 말 입주를 앞두고 전세 문의가 뜸한 편이다.109㎡(33평형) 전셋값은 3억원선에 나와 있다,142㎡(43평형) 전셋값 호가는 3억 7000만∼4억원이다. 용산구 한강로에 있는 시티파크1단지 421가구(142∼304㎡,43∼92평)도 이달 말 입주를 시작하지만 수요가 별로 없다. 인근 I부동산 관계자는 “집주인들은 새 아파트인데다 입주까지 시간이 좀 남아 가격을 조정해주려 않는다.”면서 “그러나 인근의 CJ나인파크, 이안용산프리미어 등의 전세 물건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어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142㎡ 전셋값은 4억원 수준이다. 이달 30일 입주를 시작하는 인근 시티파크 2단지 208가구(152∼238㎡,46∼72평형)도 상황이 비슷하다. 동대문구 장안시영 2차를 재건축한 힐스테이트 859가구(76∼165㎡,23∼50평형)는 이달 18일부터 입주한다. 전셋값은 76㎡는 1억 5000만원대,106㎡는 1억 8000만원 수준이다. 이달 초에 입주하는 강남구 대치동 대치현대아이파크는 인근 렉슬보다도 1억원가량 전셋값이 싸게 나와 있다.76㎡(23평형)는 3억원,106㎡·109㎡(32·33평형)는 4억원선이다. 인근 렉슬은 70㎡대(20평대)가 3억 5000만∼4억원,106·100㎡는 4억 9000만∼5억원 초반에 나와 있다. 인근 C부동산 관계자는 “대치 현대아이파크의 경우 물건이 많지만 수요가 없어 전셋값이 안정세”라면서 “주변에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가 많아 당분간 약보합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강동구에서는 암사동 프라이어팰리스(1622가구)가 지난달 입주를 시작했지만 매물이 많아 전셋값이 약세다. 주로 109∼132㎡(30∼40평형대)가 많이 남아 있다. 가격은 입주 전인 6월보다 많게는 5000만원 떨어졌다.109㎡(32형) 전셋값은 1억 8000만원대. 인근 현대홈타운 같은 크기의 전셋값도 2000만원가량 조정된 1억 8000만원에 나와 있다. 한편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7∼8월 수도권 입주 물량은 3만 2533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가량 많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장영신회장이 구로동에 둥지 트는 까닭은

    장영신(71) 애경그룹 명예회장이 다음달 이 회사가 시행한 서울 구로구 구로동의 ‘신(新)구로자이’ 펜트하우스(316.8㎡·96평형)로 이사한다.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이 아파트 터는 장 명예회장의 남편이자 애경 그룹 창립자인 고(故) 채몽인씨가 처음 세웠던 ‘영등포 공장’ 부지다. 당시 이 일대는 영등포구에 속했다. 애경 관계자는 30일 “장 명예회장이 결혼 이후 지난 2000년까지 살았던 동대문구 신당동 자택(대지 4000여평)은 지난해말 미술관인 ‘몽인 아트 스페이스’로 개관해 신인작가들의 작업실로 사용되고 있다.”면서 “장 명예회장은 그뒤 구로동 회사 근처 주상복합에서 혼자 지내다 이번에 애경의 최초 본거지로 옮기게 됐다.”고 전했다. 장 명예회장이 입주하는 이 아파트는 2004년 5월 분양 당시 경쟁률이 높았다.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주상복합이었기 때문이다.299가구 모집에 모두 8559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은 29대1이었다. 장 명예회장의 펜트하우스 분양가격은 13억 8500만원이었으나 거래가 되지 않아 시세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아파트 분양가격 ‘격차’ 심화

    최근 대형 아파트와 중소형 아파트의 3.3㎡(1평)당 분양가 차이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29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 분양가는 전용면적 85㎡(25.7평) 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3.3㎡(1평)당 1261만원,135㎡(40.9평) 초과 대형아파트는 3.3㎡(1평)당 2667만원이었다. 격차가 1406만원이나 됐다.3.3㎡당 대형 아파트 분양가는 중소형보다 111.5%나 비쌌다. 지난 2003년에는 3.3㎡당 중소형은 987만원, 대형은 1630만원이었다. 대형은 중소형보다 65.1% 비쌌다. 최근 서울에서 5년간 분양가 상승률은 중소형은 27.8%, 대형은 63.6%였다. 한 관계자는 “중소형과 대형간 분양가 격차가 갈수록 벌어진 것은 분양가 자율화에 따라 건설업체들이 공급면적을 확대하고 대형일수록 평면과 마감재 등을 차별화하면서 분양가를 크게 올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분양한 뒤 대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는 것도 분양가에서 대형과 중소형의 차이가 심해지는 요인으로 꼽힌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몸에 좋은 ‘매실·보리·식초’ 쿨~하게 마시자

    본격적인 무더위를 맞아 허해진 기를 보하고 열을 내려주는 건강 음료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체들도 더위를 겨냥해 웰빙 음료 신제품들을 속속 내놓는 추세다. ●매실, 배탈 예방+체질 개선 일명 ‘초록 진주’로도 불리는 매실은 예로부터 여름철 건강을 지켜주는 식품으로 각광받아왔다. 대장에 질병을 유발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해 여름철 배탈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칼리성이어서 체질 개선 효과도 있다는 설명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어린이용 캐릭터음료 ‘마법천자문 삼장’(180㎖ㆍ500원)을 내놓았다. 홍삼과 매실 과즙을 섞어 만들었다. 샘표는 흑초에 국내산 매실 농축액을 혼합한 식초 음료 ‘마시는 화이버 식초’(350㎖ㆍ3500원)를 출시했다. 원액과 물의 비율을 1대1 정도로 섞어 마시면 된다. ●보리, 소화를 돕고 갈증을 해소 보리는 여름철 갈증 해소를 돕고 탈 난 속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음료로 알려져 있다. 샘표의 차 브랜드인 ‘순작’의 유기농 보리차(300g 1750원)는 뜨거운 물이나 찬물에 담가 우려내는 티백타입과 물에 넣고 끓여 먹는 알곡 타입으로 나온다. 유기농 보리만을 사용해서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동서식품은 국내산 보리와 지하 200m 이하의 암반수를 이용해 만든 보리 음료 ‘동서 보리수’(430㎖ 1000원) 를 내놓았다. 롯데칠성음료는 ‘오늘의 차-보리차’(370㎖ 1200원)를 판다. ●식초, 아름다움과 건강 유지 식초 음료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는 가운데 여름철 음료를 겨냥한 신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식초는 유기산 성분이 들어 있어 신진대사를 도와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으며, 피로의 원인이 되는 젖산과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초의 구연산은 칼슘과 만나 칼슘 흡수를 돕고, 지방화합물의 합성을 방해해 비만을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란 설명이다. 샘표는 상반기 현미를 자연숙성으로 발효시킨 ‘샘표 마시는 흑초’ 시리즈를 내놓았다. 벌꿀흑초(350㎖·3500원), 홍삼흑초(350㎖·4000원) 등이 있다. 대상에서는 홍삼과 백년초로 만든 마시는 홍초 2종(900㎖ 8500원)을 내놓았다. 롯데칠성음료에서는 ‘상큼한 석류초 사랑초(180㎖ 600원)’를 팔고 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제2 롯데월드 무산 불똥 송파 아파트값 내림세로

    잠실 제2롯데월드 건립 계획이 무산되면서 최근 ‘나홀로’ 단기 급등 양상을 보이던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섰다. 롯데그룹의 대응 방향에 따라 다시 오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당분간 하락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국무조정실 행정협의조정위원회가 26일 제2롯데월드의 높이를 555m가 아닌 203m 수준으로 제한하는 등 사실상 제2롯데월드 건립을 무산시킴에 따라 잠실주공 5단지 아파트값이 이날 하루 사이 5000만원이나 빠지는 등 이 일대 아파트 값이 하락세로 반전했다. 잠실주공 5단지 112.39㎡(34평형)의 경우 올 들어 하락세를 면치 못하던 집값이 지난 5월 말 이후 반전된 뒤 6월 말에는 전달보다 1억원 이상 오른 12억 5500만원까지 치솟았으나 12억 500만원으로 5000만원 빠졌다. 신천동 장미, 잠실 우성아파트와 인근 삼전동, 송파동, 잠실본동, 석촌동 등의 단독주택, 빌라 등도 지난 6월 한 달간 호가가 낮게는 1000만원, 높게는 2억원 가까이 뛰었다가 행정협의조정위의 최종 결정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잠실주공 5단지 근처에 있는 V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지난달 말 건축허가 결정이 유보됐을 때만 해도 지금처럼 비관적이진 않았는데 막상 이런 결과가 나오자 집을 팔아야 하는 게 아니냐며 불안해하는 집주인들이 많다.”면서 “당분간 매물이 증가하겠지만 거래가 끊겨 집값이 하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편 롯데그룹측은 “제2롯데월드 건립이 무산되자 행정소송 제기설, 주상복합 건축설,203m 높이의 롯데월드 건립설 등 여러가지 설이 나돌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그룹에서는 아직 아무것도 결정한 바 없고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지는 검토해봐야 안다.”고 말했다.주현진기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