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발전국민委 가동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산하에 ‘미디어 발전 국민위원회’가 가동된다. 방송법 등 미디어 관련법 처리를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로서다. 5일 여야 합의에 따른 것이지만, 불씨는 여전하다. 여야가 절반씩 추천하는 20명이 오는 9일부터 100일간 대리전을 치르는 격이다. 6월 미디어 입법전의 서막이라 할 만하다.
상임위와 병행할지, 논의 과정을 공개할지, 논의 결과를 법안에 적극 반영할지 등을 놓고 여야는 이날 합의 결과를 발표하면서도 딴소리를 냈다. 진통은 이어지고, 신경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의견반영·문방위 병행 여부 논란
문방위 소속 3개 교섭단체 간사들은 이날 합의 직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위원회의 논의 결과는 상임위 입법 과정에 최대한 반영토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력’에 대한 해석은 달랐다. 한나라당 나경원 의원은 “국민위원회는 의결 기구가 아니라 자문 기구”라면서 “결과는 받아들일 수도 있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잘랐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위원회에서 안 된다고 하는 것을 무시하고 추진할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국민위원회가 진행되는 동안 상임위를 병행할지에도 의견이 갈렸다. 나 의원은 “국민위원회의 활동 기간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문방위를 운영하면 미디어 관련법 논의를 위한 시간이 촉박하고, 국회의 입법권을 스스로 포기하는 결과가 된다.”고 주장했다. 여야 합의대로 6월에 미디어 관련법을 표결 처리하려면 상임위를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전 의원은 “국민위원회의 결과가 가시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상임위를 연다면 2월의 싸움을 되풀이하게 된다.”면서 “국민위원회가 결론낼 때까지 정치권에서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국민위원회 활동 결과가 나온 뒤 상임위가 이를 축약적으로 심사해야 한다는 논리다.
●한나라 10명·민주 8명·선진 2명
공동위원장 2명은 여야가 한 명씩 추천하기로 했지만, 회의 진행권을 누가 맡을지는 정하지 못했다. 민주당은 홈페이지 등을 운영하면서 국민위원회 논의 과정을 공개하고 여론을 적극 청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비공개를 고집했다.
정치인 배제에는 의견을 모았다. 위원은 한나라당이 10명, 민주당이 8명, 선진과 창조의 모임이 2명을 각각 추천하기로 했다.
주현진 홍성규기자 j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