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경선전 시작
4·29 재·보선은 이달 중순 실시되는 여야의 18대 국회 제2기 원내대표 선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에서는 재·보선 참패로 친이계 지도부의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친박 탕평인사론이 부상하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주류와 비주류 간 세대결이 치열할 전망이다. 민주당은 오는 15일, 한나라당은 21일 각각 새 원내대표를 뽑는다.
■한나라, 친박카드 부상
김무성 추대론에 친이 정의화 대안론
한나라당에서는 친박 중진인 김무성 의원의 원내대표 추대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재·보선 참패의 근본 원인이 당내 친이·친박 간 갈등에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친박 인사의 중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정작 친박 쪽에서는 갸웃한다. 친이·친박 간 신뢰의 부재라는 뿌리 깊은 문제가 당직 몇 개로 해결되겠느냐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집권 1년 남짓 만에 권력의 분점이 가능하겠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깔려 있다.이런 가운데 당내에서는 온건 성향의 원내 지도부가 들어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야 관계를 우선 생각해야 한다는 논리다. 1, 2차 입법전쟁에서 성과를 제대로 챙기지 못한 것은 여권의 강성 기류가 원내에서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투영됐기 때문이라는 지적과 일맥상통한다. 친박 쪽의 한 의원은 3일 “현 정권이 국민의 뜻을 받들려는 의지가 있다면 계속 강경파 지도부로 밀어붙이기보다는 온건파를 택할 것”이라면서 “패배를 보상받기 위해 강성 인사를 원내 지도부로 내세운다면 갈수록 수렁으로 빠져드는 격”이라고 말했다.
이런 면에서 친이계 온건파인 정의화 의원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 의원은 정책위의장 파트너로 친박계인 진영 의원에게 여전히 공을 들이고 있다. 반면 일부 친이계에서는 대야 협상보다는 여권의 정국 주도권 강화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의견이 만만찮다. 강성 이미지의 친이계 안상수 의원을 염두에 둔 것이다.
■민주, 丁-鄭 대리전
주류 이미경·박병석 vs 비주류 이종걸·이강래
민주당에서는 이번 재·보선에서 등을 돌린 정세균 대표와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대리전이 예상된다. 정 전 장관의 복당 문제는 물론 10월 재·보선과 내년 6월 지방선거,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주류·비주류간 당내 파괴력을 가늠할 수 있는 무대다. 당권 경쟁에서 당내 역학관계를 가늠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정 대표 체제를 지지하는 주류에선 4선의 이미경 사무총장, 3선의 박병석 정책위의장,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인 김부겸 의원, 송영길 최고위원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정 전 장관의 무소속 출마와 복당 시도를 성토했던 이들은 무소속 연대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모아 ‘반(反) 정동영 연합전선’ 구축을 꾀하고 있다.
전북 출신의 이강래 의원과 당내 비주류 모임인 민주연대 공동대표 이종걸 의원 등이 경선 출마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전통 지지 세력인 호남 민심의 이반을 부각시키며 주류층과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 지도부의 ‘정동영 공천 배제’ 결정이 당내 분란과 지지층 이탈을 부추겼다는 인식이다.
현재 민주연대 등 비주류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의원은 20여명 수준이다. 이들 가운데 이번 재·보선에서 지도부의 구원투수로 활약한 김근태 상임고문 쪽 의원들도 상당수여서 비주류 후보가 어느 정도 세를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중립지대에서는 홍재형·이석현 의원 등이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주현진 홍성규기자 j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