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세운 與지도부
한나라당 지도부가 14일 인사청문회와는 별도로 민일영 대법관 후보자에게 날을 세웠다. ‘자진 용퇴’까지 촉구했다.
한나라당 송광호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근 법을 집행하는 국무위원이나 기관에 계시는 분들의 위장전입 문제가 많다.”면서 “나라를 위해 스스로 용퇴하는 게 애국하는 길”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특히 법관, 법을 지키는 사람은 엄격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강남 개발시 강남을 가야 자녀교육도 잘 시킬 수 있다는 점을 국민은 알았다. 법을 지키려고 안 간 사람들은 경제적 손해를 봤고, 법을 어기고 간 사람들은 이익을 봤다.”고 덧붙였다.
이번 청문회 대상자 가운데 위장전입 문제가 불거진 후보자는 4명. 이 가운데 강남지역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위장전입한 사례는 민 후보자뿐이다. 민 후보자의 경우 부인인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1985년 강남구 도곡동 소재 사원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시댁에 위장전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한나라당 지도부의 공세를 두고, 정치권에선 최근 충청 총리 지명 문제로 여권과 선진당간 사이가 틀어진 것과 연관 짓는 해석도 나왔다.
청문회장 밖에서는 박 의원이 혼쭐났다. 당 대변인을 맡고 있는 박 의원이, 현인택 통일부장관과 김준규 검찰총장의 청문회 당시 논평한 내용이 문제가 됐다. 민주당 김현 부대변인은 “박 대변인이 당시 ‘소시민만도 못한 준법의식을 가진 의혹투성이 인사를 공직자로 임명하는 것은 국회를 능멸하는 처사’, ‘부동산 투기 때문이라면 위장전입이 용서받지 못하고, 자녀 교육을 위해서라면 용서되느냐.’고 논평했다.”면서 “이제 위장전입 사실이 드러난 박 대변인이 답변할 차례”라고 꼬집었다.
이에 박 의원은 “근무하는 회사에서 무주택자 자격으로 분양을 받게 됐는데, 세대주만 분양받을 수 있다고 해서 불가피하게 그렇게 됐다.”고 해명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