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윤창수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김성호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남중국해에 나선 美… 물러선 中

    미국이 남중국해상의 영유권 분쟁에 적극 개입하면서 중국이 한 발 물러서는 듯한 제스처를 취했다. 필리핀과 베트남을 향해 연일 협박의 강도를 높이며 분쟁지역에 대한 실효 지배 조치를 강화하고 있어 일단 미국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시간벌기라는 관측도 나온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12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열린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남해각방선언의 법적 구속력을 구체화하는 행동수칙 제정 협상에 나설 의사가 있음을 내비쳤다고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해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ARF 전체회의에서 “미국은 누구 편을 들지는 않겠지만 항행의 자유, 평화와 안정 유지 등에 대한 이해관계가 있다.”며 행동수칙 제정을 서두르는 필리핀과 베트남을 지원사격했다. 미국은 남중국해 이해 당사국들로 구성된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이 합의한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을 토대로 수칙안을 제정해야 하며 중국이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필리핀 주도로 이번 회의에서 수칙 초안을 마련해 오는 9월 아세안 장관급 회담에서 준칙을 제정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중국은 필리핀 등을 향해 연일 협박성 발언을 퍼부으며 남중국해 주권을 주장하고 있어 준칙 마련이 계획대로 이뤄질 지는 아직 미지수다. 국가해양국 소속 해양환경감시감측 총부대 쑨수셴(孫書賢) 당서기는 “필리핀과 베트남이 남중국해에서의 주권을 주장하는 데 맞서기 위해 우리는 이 국가들의 시추 플랜트 케이블을 절단한 경험이 있고, 앞으로도 이 같은 방법을 계속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타이완 연합신문망이 보도했다. 아울러 중국은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일본과의 분쟁에서도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이날 오전 8시 10분쯤 자국 영해인 댜오위다오 황웨이위 서북쪽 41㎞ 지점에서 중국의 어업감시선 33001호를 발견했으며, 일본 순시선이 중국 감시선을 향해 항행 목적을 밝히라고 요구하자 중국 측은 ‘중국 해역에서 순항하는 것’이라고 대응했다고 교도통신을 인용해 CCTV의 인터넷판인 CNTV 뉴스가 보도했다. 앞서 11일에도 중국의 순시선과 일본의 해양감시선이 댜오위다오 인근에서 3시간가량 대치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감시선 센카쿠 ‘진입’, 日 순시선 출동… 3시간 일촉즉발 대치

    中 감시선 센카쿠 ‘진입’, 日 순시선 출동… 3시간 일촉즉발 대치

    중·일 간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 영토 분쟁이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일본은 댜오위다오 구매 모금 운동, 국유화 계획 수립에 이어 미국의 지지까지 등에 업고 연일 중국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일본을 ‘가상의 적’으로 규정해 대규모 해상훈련을 벌이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는 등 양국 외교 수장도 설전을 벌였다. 11일 새벽 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서 중국의 어업감시선 3척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이 3시간가량 대치했다. 일본은 이날 새벽 오키나와현 센카쿠 열도 구바지마 서북서 약 22㎞ 지점 자국 영해에 중국의 감시선이 ‘침입’한 것을 일본 순시선이 발견했으며, 일본 외무성이 주일 청융화(程永華) 중국 대사를 초치해 강력 항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사사에 겐이치로 사무차관은 “일본 영해에 침입한 것을 용인할 수 없다.”라고 항의했다. 일본 측은 중국 선박의 영해 침범이 지난 3월에도 있었지만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센카쿠열도 국유화 방침을 밝힌 이후에는 처음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외교부의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법률에 따라 휴어기 관리 조치를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감시선이 순항한 것이며, 이는 정상적인 공무 수행”이라고 맞섰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 중인 중국 양제츠 외교부장과 일본 겐바 고이치로 외상이 이날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센카쿠 열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 설전을 벌였다. 겐바 외상은 최근 일본 정부가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하는 방안과 관련해 “센카쿠 열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이며 영유권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센카쿠 열도를 평화롭고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국유화를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겐바 외상은 또 센카쿠 열도에 중국 어업감시선 3척이 일본 영해를 침범한 것에 대해서도 항의했다. 반면 양 외교부장이 “센카쿠 열도는 중국 고유의 영토”라며 강력 반발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3일 밤 타이완 해상 수호함과 일본 공무선이 타이완의 댜오위다오 수호 단체 인사들의 주권 선시 운동을 놓고 한 때 대치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도 일본을 공격했다.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을 둘러싸고 타이완과 중국이 일본에 연합전선으로 대응하는 분위기다. 중국은 댜오위다오 문제를 중·일 간 문제로 국한시키며 미국으로까지 전선이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 분위기다. 전날 미국이 미·일안보조약을 거론하며 일본의 입장을 옹호한 것은 중국 봉쇄정책의 일환이라고 여기면서도, 권력교체를 앞둔 시기인 만큼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면서도 일본에 대한 공세 수위는 연일 높이고 있다. 특히 중국은 전날부터 엿새간 일정으로 동해함대를 동원해 일본을 마주보는 자국 동해 해역에서 대규모 실탄 군사 훈련을 벌이고 있다. 이번 훈련에는 댜오위다오에 대한 모의 상륙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은 필리핀·베트남 등과의 영토분쟁 지역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도 연일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최근 남중국해 융싱다오(永興島)에 시사(西沙)·중사(中沙)·난사(南沙) 군도와 주변 해역을 관할하는 행정관청인 싼사(三沙)시를 설립한 데 이어 최근 이곳에 불법 외국 어민을 구류시킬 공안국과 구치소를 설치했다고 이날 환구시보가 전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 中 “경착륙? 3분기 바닥치고 경기 반등”

    중국이 중국 경제 경착륙설을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이번 주중 발표할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겠지만, 경제지표들이 3분기부터 호전돼 올해 경제성장률은 8%선을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10일 ‘중국 경제 바닥 치고 안정되는 중’ 제하의 기사에서 “유럽 재정위기로 중국의 수출이 타격을 받자 서방 언론 매체 등이 연일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내고 있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가 정부의 경기부양 조치에 힘입어 3분기부터 호전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우선 경기 호전의 근거로 당국이 이달부터 3분기가 끝나기 전에 기준금리를 2회 정도 추가 인하해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라고 씨티은행 애널리스트 딩솽(丁爽)의 말을 인용해 강조했다. 또 지난 1일 중국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7개월 이래 최저치인 50.2로 나타나면서 중국 경제 경착륙설이 확산되고 있지만 거꾸로 이 때문에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 조치를 빨리 내놓을 수 있게 됐으며 중국 정부는 조만간 매우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고 HSBC 애널리스트 취훙빈(屈宏斌)의 분석을 전했다. 이 밖에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2% 상승에 그치는 등 물가가 뚜렷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 중앙은행이 조만간 지급준비율 인하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7일 인민일보 해외판은 일부 외국계 기관과 외신들의 중국 경제 붕괴론은 아무런 근거가 없으며 이들 기관이 이 같은 위기설을 확산시키며 이익을 꾀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1일 PMI 발표 직후 씨티은행의 한 분석가는 ‘중국 경제가 30년 만의 최대 위기’라고 주장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들도 PMI를 근거로 중국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바닥은 아니어서 불경기가 심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천주교 직책 거부’ 상하이 주교 실종

    상하이(上海)의 한 주교가 중국 정부의 천주교 단체 직책을 거부한 뒤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해 파문이 일고 있다. 10일 홍콩 명보(明報)에 따르면 상하이의 마다친(馬達欽) 주교는 지난 7일 중국 정부의 천주교 단체인 천주교애국회(天主敎愛國會)가 그를 상하이 교구의 보좌주교로 임명하는 서품식에서 자신은 바티칸 교황청으로부터 보좌주교로 승인받은 몸이어서 향후 천주교애국회가 부여한 어떠한 직책도 맡을 수 없다고 공개 선언했다. 직후 그는 한 무리의 남성들에 의해 끌려갔으며 사흘째 행방불명 상태다. 당시 상하이 쉬자후이(徐家匯)에 있는 성(聖) 이그나시우스 성당에는 그의 서품을 축하하기 위해 1000여명의 신도들은 물론 중국 국가종교국 인사들도 함께 자리했으며, 때문에 마 주교의 이 같은 돌발 발언은 용기 있는 일로 받아들여져 신도들로부터 우레와 같은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중국 천주교애국회는 중국 정부가 천주교를 통제하기 위해 만든 조직으로 교황청으로부터 사제 및 주교 서품 승인권을 인정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서품 활동을 강행해 교황청과 장기간 갈등을 빚어 왔다. 마 주교는 교황청과 천주교애국회의 승인을 모두 받은 주교로, 2008년에는 상하이 정치협상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아세안 국가들, 남중국해 中 압박 연합전선

    중국과 남중국해 분쟁을 겪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동전선을 펴며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겉으로는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면서도 남중국해의 실효적 지배 강화 조치를 통해 주변국의 공세에 대항하고 있다. 9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닷새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의 주제는 중국을 겨냥한 남중국해 문제이며, 중국과 영토분쟁을 빚고 있는 필리핀과 베트남이 아세안(ASEAN·동아시아국가연맹) 국가들을 규합해 중국을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고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의 환구시보가 9일 보도했다. 회의는 오는 13일 필리핀 주도로 황옌다오 영토분쟁 당사국들에 대해 최대한의 자제와 평화적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공동성명문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9일 동시 개막된 아세안 외무장관회담에선 남중국해에서 무력 금지 등을 골자로 한 ‘남해 각방 선언’의 법적 구속력을 명문화하는 행동수칙안인 ‘남해 행위 준칙’의 초안을 마련해 중국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아세안 국가들은 중국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남중국해 일대를 독점하려 들면서 이 일대에 위기감을 고조시킴에 따라 남해 행위 준칙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도출된 초안을 바탕으로 아세안은 오는 9월 장관급 회담에서 준칙을 확정할 계획이다. 중국은 2002년 아세안 국가들과 남해 각방 선언에는 합의했으나 실효성 있는 행동수칙안 제정은 거부해 왔다. 중국은 이에 맞서 최근 남중국해의 시사(西沙)·중사(中沙)·난사(南沙) 군도와 주변 해역을 관할하는 싼사(三沙)시를 설립하고, 이 일대에 군구를 설립하기로 한 데 이어 이번에는 사상 처음으로 남중국해 섬 지역의 야생동물 연구조사를 연말부터 한 달간 실시하기로 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이날 발표했다. 또 중국 해군은 10일부터 닷새간 일정으로 일본을 마주 보고 있는 저장(浙江)성 닝보(寧波) 인근 해역에서 실탄 군사 훈련을 벌이며 해군력을 과시할 예정이다. 앞서 중국 해군은 지난 6일에도 남중국해에서 종합 실탄 해상훈련을 실시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6월 소비자물가 2.2 %↑… 2년만에 최저

    중국의 6월 소비자물가가 2년 만에 최저치인 2.2% 상승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에선 조만간 지급준비율 인하 등 경기부양을 위한 조치들이 추가로 단행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2% 상승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는 2010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 들어 식품값이 안정되면서 중국 물가는 뚜렷한 하락세를 보여 왔다. 예컨대 6월 한 달 중국 식품 물가의 척도인 돼지고기값은 무려 12.2%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물가가 안정된 가운데 조만간 발표될 2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7%대에 그치는 등 바오바(保八·경제성장률 8% 유지)가 붕괴될 것이 확실시되는 만큼 지준율을 추가로 인하해 경기를 부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올 들어 지준율과 기준금리는 각각 두 차례씩 인하된 바 있다. 광다(光大)은행 수석 애널리스트인 성훙칭(盛宏?)은 “지난 6일 단행된 기준금리 인하와 맞물려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쯤 지준율을 추가 인하해 유동성을 확대하고 장기 금리를 내려 기업들의 투자 활동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최근 중국 난징(南京) 지역을 순시하면서 “중국 경제의 하행 압력이 여전히 크고, 때문에 감세 조치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정책의 미세 조정 강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8일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원 총리의 발언이 추가 경기부양 조치를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국제 비난 뻔한데 “센카쿠 국유화” 日 극우본색 왜?

    일본 정부가 중국과 영토 갈등을 빚고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제도를 국유화하기로 해 중국과 타이완이 강력 반발하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6일 센카쿠제도 매입을 추진하고 있는 도쿄도의 이시하라 신타로 지사에게 센카쿠 매입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일본 정부는 연내 센카쿠를 국유화한다는 방침으로, 섬의 소유주인 민간인과 매입을 전제로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일 정부는 센카쿠제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우오쓰리시마, 미나미코지마, 기타코지마 등 3개 섬의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사이타마현에 거주하는 개인 소유자로부터 이들 섬을 임대해 관리하고 있다. 임대 계약이 내년 3월 말 종료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소유자와 협의해 3개 섬을 사들이기로 했다. ●인기 떨어진 노다 총리 총선용 이벤트 노다 총리는 지난 7일 기자들에게 “센카쿠를 평온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한다는 관점에서 민간인 소유자와 연락을 취하면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다 정권은 정부가 직접 센카쿠를 매입함으로써 영토 주권에 소홀했다는 비판은 피하고, 강한 정부의 이미지로 지지율을 높여 차기 총선에 활용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지난 4월 매입을 선언한 이시하라 지사는 강력 반발했다. 도쿄도는 이미 센카쿠를 사들이기 위해 국민으로부터 13억엔(약 185억원) 이상을 모았다. 이시하라 지사는 정부의 매입 방침에 대해 “난폭하다고 해야 할까, 졸속·조잡하다고 해야 할까. 민주당 자체가 혼란스러운 와중에 인기를 얻으려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도쿄도는 정부의 방침에 동의하지 않고 예정대로 센카쿠를 사들인 뒤 추후 정부에 양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시하라 지사 역시 센카쿠 매입을 신당 창당 등 향후 자신의 정치 행보에 활용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中·타이완 “신성한 영토 놔둬라” 센카쿠는 일본이 배타적경제수역(EEZ)의 기점으로 삼고 있어 경제적, 전략적, 영토적 측면에서 핵심적인 섬이어서 중국과 타이완도 강력 반발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7일 성명에서 “중국의 신성한 영토를 거래하는 행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 정부는 필요한 조치들을 통해 댜오위다오에 대한 주권을 강력히 수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잉주(馬英九) 타이완 총통도 “댜오위다오 문제는 민족대의 및 국가주권과 관련된 것이어서 한치도 양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7월 7일이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한 7·7 루거우차오(盧溝橋) 사변이 일어난 지 75주년이란 점에서 일본 정부를 성토하는 중국 네티즌들의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댜오위다오 수호’, ‘일제상품 불매’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반일감정을 확산시키고 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 中 톈진백화점 화재 사망자수 은폐 의혹

    최근 중국의 한 백화점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300여명이 숨졌으나 지방 정부가 이를 숨기고 있다는 주장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파문이 커지자 급기야 당국이 이 같은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진상조사를 하겠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의혹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 중국 톈진(天津)시 쑤(蘇)현 라이더(?德) 백화점에서 화재 사고 이후 24시간이 지나도록 가족들이 실종자를 찾고 있으며 이들을 접촉하려는 기자들의 취재가 봉쇄돼 사망자가 발표된 것보다 훨씬 더 많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고 윈난(雲南)신식보(新息報)가 인민일보의 인터넷 사이트인 인민망의 공식 웨이보 글을 인용해 6일 보도했다. 웨이보에서는 백화점 주인이 화재를 이유로 고객들이 물건값을 지불하지 않고 도주할 것을 우려해 1층 출입문을 봉쇄하면서 사망자가 10명이 아닌 300여명에 달한다는 내용의 글이 6일 현재 14만건 이상 쇄도하고 있다. 이날 쑤현 당위원회 선전부 측은 “사망자는 10명이며, 실종자는 없는 것으로 공안 수사 결과 확인됐다.”면서 “조만간 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인터넷 루머에 대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특파원 칼럼] 韓中수교 20년에 보는 ‘역사 갈등’/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韓中수교 20년에 보는 ‘역사 갈등’/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한국에서도 단오절을 지내죠? 주로 뭘 하나요?” 지난 단옷날(6월 24일) 즈음 홍콩 언론사에 근무하는 한 중국 본토인 기자가 건넨 질문이다. 베이징(北京)시 신문판공실이 외신 기자들(홍콩, 타이완, 마카오 포함)을 베이징의 관광 명소인 이화원으로 초청해 경주용 배인 용주(龍舟) 타보기, 나뭇잎으로 싸서 찐 찹쌀밥인 쫑즈(?子) 만들기 등 단오 풍습을 체험하는 행사를 통해 단오가 중국의 전통 명절임을 각인시키는 자리였다. 행사의 취지는 물론 중국 기자의 질문에도 한국에 단오를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불편한 심기가 여실히 묻어 있었다. 실제로 적잖은 중국인들에게 단오란 초나라 충신 굴원(屈原)을 기리는 데에서 유래한 전통 명절이라기보다 반한(反韓) 감정을 자극하는 초강력 기제에 가깝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8월부터 1년간 베이징에서 학교를 다닌 적이 있는데, 그때 함께 공부했던 중국 대학원생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았던 한국 문화에 대한 질문 중 하나 역시 단오에 관한 것이었다. ‘한국에서 유래한 한국 고유의 명절은 도대체 뭐가 있느냐.’는 공격적인 이슈로 이어질 만큼 강릉단오제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한국을 중국 문화의 약탈범 정도로 여기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한국의 단오는 중국의 굴원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단옷날의 성격에 맞게 개발한 지역 민속 축제를 문화재로 인정받은 것이어서 중국의 명절을 한국에 빼앗겼다고 우려할 필요도, 더더욱 억울해할 필요도 없다. 일부 중국 학자들도 이같이 주장하지만 악화된 정서를 돌이키기엔 역부족이다. 당장 지난 3일 ‘고대 중국 화폐에 한글로 보이는 두 글자를 찾아냈다.’고 밝힌 한국의 한 주역 연구가의 주장이 전해지면서 반한 감정이 들끓었다. 한국에선 눈길도 끌지 못한 이 학설이 중국에선 “한국이 중국 고화폐에 한글이 있다고 또 우긴다.”는 식으로 받아들여졌다. 중국의 트위터 격인 웨이보에서 이 문제와 관련해 지난 4일 하루에만 ‘한국의 중국 문화 도적질’이란 비난성 댓글이 무려 2000만건도 넘게 올라왔다. 앞서 한자(漢字), 공자(孔子) 등 한국인이 보기에도 황당한 출처 모를 문화 기원에 관한 오해가 응어리처럼 깊게 축적된 탓이다. 중국을 봉쇄하려는 미국의 전략에 한국이 동참하는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한·일정보협정 문제는 외교문제를 넘어 반한 여론으로 비화하는 분위기다. ‘한·중 수교 이후 중국과의 무역을 통해 중국에서 큰 돈을 벌면서도 틈만 나면 미국과 손잡고 중국의 뒤통수를 치려 한다.’는 정서가 저변에 깔려 있어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쉽게 조성된다. 2007년 신화통신 계열의 신문이 실시한 국가 선호도 조사에서 한국은 중국인이 싫어하는 국가 1위에 처음 꼽힌 이후 지금도 네티즌들로부터 주요 비호감 국가로 거론된다. 물론 한국인의 중국 혐오도 이에 뒤지지 않는다. 역사 문제로 따지자면 할 말이 더 많다. 중국이 한국의 고구려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시킨 동북공정이나, 동북공정을 완성하기 위한 만리장성 늘리기 공정이 대표적이다. 다민족국가인 중국이 민족·영토 통합용으로 내놓는 주장이라지만 역사를 입맛대로 왜곡하는 행위는 몰상식하다. 분단의 아픔을 초래한 6·25전쟁을 항미원조(抗美援朝)전쟁이란 이름으로 부르며 위대한 승리로만 부각시키는 것은 한국인의 마음에 큰 상처를 준다. 역사 문제는 민족의 자존심이나 긍지와 연결돼 있어 이성을 마비시키고 민족주의를 고조시킨다. 협상의 여지가 없어 해소되지도 않고 작은 계기만 있어도 거대한 혐오의 불길로 번지기 쉽다. 올해로 한국과 중국이 수교 20주년을 맞지만 양국 관계는 성숙되기보다 역사 문제로 서로 반감만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단옷날에 대한 중국인의 질문에 뭐라 말하면 현명한 답이 될까. 인식이란 한 번 형성되면 바꾸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양국이 역사 갈등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수교 20주년을 맞아 곰곰이 생각해 본다. jhj@seoul.co.kr
  • 글로벌 경제 ‘비상벨’ 중앙은행들 경기부양 팔 걷었다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경기 부양에 나섰다. 유럽 재정위기가 심화되면서 경기 침체가 전세계로 확산되자 경제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결국 세계 주요 은행들이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라는 경기 부양 카드를 꺼내들고 정책 공조에 들어갔다. 5일(현지시간)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금리를 0.31% 포인트, 1년 만기 예금금리를 0.25% 포인트 각각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금리 인하는 6일부터 시행된다. 중국이 지난달에 이어 두달 연속 금리를 내린 것은 그만큼 중국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이날 기준금리를 현행 1.0%에서 0.75%로 0.25% 포인트 내렸다. ECB는 마리오 드라기 총재가 취임한 이래 지난해 11월과 12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씩 내린 이후 올 들어서는 7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것이다. 특히 기준금리가 1.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유로화 도입 이후 처음이다. 영국 영란은행은 기준금리는 현행 0.5%로 동결했으나 양적완화 규모를 종전보다 500억 파운드(약 88조 4000억원) 늘렸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서울 유대근기자 jhj@seoul.co.kr
  • 민족갈등 中위구르 ‘일촉즉발’

    200명이 넘는 목숨을 앗아간 신장(新疆) 우루무치(烏魯木齊) 유혈사태 3주기를 맞아 신장 일대에 또다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신장은 시짱(西藏 티베트), 네이멍구(內蒙古)와 함께 중국내 3대 민족 갈등의 화약고로 통한다. 우루무치 자치구 장춘셴(張春賢) 당 서기가 전날 지역 내 한 대테러 전담 특수부대를 방문했으며 부대원들과 함께 직접 실탄 사격 훈련에도 참가했다고 5일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人民日報) 계열의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중국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장 서기는 이날 부대원들에게 “신장자치구의 안정 문제가 심각하고 안정의 기초 또한 취약하다. 경계심을 강화해 폭력 테러 세력이 숨을 곳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라.”며 당에 대한 충성과 사회안정에 대한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가 직접 실탄 사격까지 해가며 대테러 경비를 강화한 것은 우루무치 유혈사태 3주기를 맞아 크고 작은 테러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 것과 관련 있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위구르 독립세력으로 추정되는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9.11 테러 사태를 연상케 하는 비행기 공중 탈취 사고가 발생했다. 젊은 위구르인 남성 6명이 쇠지팡이 등 흉기를 소지하고 신장 허톈(和田)에서 베이징(北京)으로 향하던 톈진(天津)항공 소속 여객기에 탑승해 승객들을 위협했으나 이 비행기에 타고 있던 특수경찰들에 의해 바로 제압됐다. 이 과정에서 테러리스트 2명이 목숨을 잃었다. 반면 중국 망명 위구르인 조직인 위구르인대표대회 대변인 디리샤는 “인종차별 발언을 한 한족들과 말다툼 끝에 빚어진 단순 폭력사건을 중 정부가 비행기 납치 사건으로 둔갑시켰다.”며 3주기를 앞두고 이 지역을 통제하기 위한 명분 축적용이라고 비난했다. 같은 날 밤에는 두바이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던 아랍에미리트연합 항공 소속 비행기가 신장 지역 상공에서 화재로 우루무치 공항에 비상착륙했던 사건이 뒤늦게 알려졌다. 항공사측은 화물칸에 있던 승객의 휴대전화 배터리에 불이 붙으면서 사고가 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위구르인 테러리스트들의 소행이란 의혹이 제기된다. 이 밖에 지난 1일에는 신장 우루무치 한 마을의 농부 류유팡(劉有芳)이 밭에서 일하다 맞아죽은 채로 발견된 사건이 발생해 일대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이날 반관영인 중국신문망이 보도했다. 피해자는 38세의 한족 여성으로 우루무치 공안당국은 인근 100여가구를 수색하는 등 범인 검거에 총력을 쏟고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하얼빈 주교 서품 놓고 中-바티칸 해묵은 갈등

    오랫동안 불편한 관계에 놓여 있던 중국과 바티칸이 새 주교 서품을 놓고 또다시 충돌하고 있다. 중국 국가종교사무국은 4일 바티칸 교황청이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 새 주교 서품에 대한 ‘파문’ 위협과 관련, “바티칸 측의 질책과 위협적 태도는 극도로 야만적이고 충격적인 것으로 중국 가톨릭 교무 활동에 대한 간섭과 질책은 종교의 자유를 제한하는 비관용적 태도”라고 반발하며 ‘파문’ 위협 철회를 요구했다고 인민일보 계열의 환구시보가 5일 보도했다. 앞서 교황청은 중국이 하얼빈 주교로 지명한 웨푸성(岳福生·48) 신부가 교황의 승인을 얻지 못한 만큼 만약 서품된다면 파문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는 공지문을 보낸 바 있다. 웨 주교의 서품식은 6일 예정돼 있다. 바티칸과 중국은 교황청이 1951년 타이완 정부를 중국의 합법정부로 승인, 마오쩌둥(毛澤東) 정권의 거센 반감을 산 이래 공식 외교관계를 맺지 않고 있다. 중국의 가톨릭 신자는 공식적으로 중국천주교애국회 교회에서만 미사를 볼 수 있으며 교황을 영적인 지도자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황의 사제와 주교 서품권이 거부돼 교황청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지금까지 190여명의 주교를 서품하면서 교황청과 갈등을 빚어왔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리먼사태보다 심각”… 세계 중앙은행 경기부양 ‘승부수’

    “리먼사태보다 심각”… 세계 중앙은행 경기부양 ‘승부수’

    경기가 좀처럼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자 다급해진 중국과 유럽중앙은행이 일제히 금리 인하에 나섰다. 영국은 기준금리가 사실상 제로 금리나 다름없어 양적완화 규모를 늘리면서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경기부양 모드에 가세했다. 5일 중국이 채 한 달도 안 돼 또다시 기준금리를 전격 인하한 것은 중국의 경제상황이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하다는 신호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조만간 기준금리는 물론 지급준비율을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은 경제의 3대 축인 투자·소비·수출이 좀처럼 부진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지난달 4년 만에 금리를 내렸지만 한창 위축된 기업들의 경제활동을 진작시켜 경기를 살리기에는 역부족으로 드러나자 예상을 깨고 한달 만에 다시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HSBC가 지난달 말 발표한 중국 제조업체들의 6월 신규 수출주문지수는 45.9로 지난 2009년 3월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 5월 중국의 수출이 15.3% 증가하며 호전되는 듯한 양상을 보였으나 신규주문이 줄어들면서 6월 상황은 둔화될 것이 확실시된다. 소매 증가폭은 연일 둔화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억제 정책으로 투자도 살아나지 않고 있다. 대외경제무역대학 공공관리학원 리창안(李長安) 교수는 “중국 경제 둔화로 산업계가 직격탄을 맞아 실물경제는 2008년보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친황다오(秦皇島) 석탄 재고량은 연일 기록을 경신하며 가격이 8주째 연속 하락하고 있으며, 장쑤(江蘇)성 장자강(張家港)시의 한 화력발전소의 경우 최근 주 3일 휴업할 정도로 일감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금리인하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상무부 연구원 메이신위(梅新育)는 “중국이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통화정책 방향을 이미 완화쪽으로 틀었다.”고 진단했다. 연내에 기준금리는 최소 1차례, 지급준비율은 3차례가량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 상황이 나빴던 지난 2008년의 경우 기준금리 인하가 9월 16일, 10월 9일, 10월 30일 등 한 달도 안 되는 간격으로 연속 세 차례 이뤄졌다. 유럽도 상황이 나쁘기는 마찬가지다. 유럽의 지난 5월 실업률은 11.1%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올해 유로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3%로 위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임스 닉슨 소시에테제네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준금리 인하는 현 시점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다.”면서 “그보다 예금금리를 제로로 내렸다는 것은 ECB의 경기부양책이 새 영역으로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예금금리를 제로로 내릴 경우 유럽 은행들은 이자 수익이 거의 없어 ECB에 자금을 묶어두기보다는 다른 기관이나 기업, 개인들에 대한 대출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대출금리 인하는 시중은행의 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서울 유대근기자 jhj@seoul.co.kr
  • ‘후 주석 오른팔’ 궈진룽 베이징시 당서기에 선출

    ‘후 주석 오른팔’ 궈진룽 베이징시 당서기에 선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오른팔 격인 궈진룽(郭金龍) 현 베이징시장 겸 당 부서기가 베이징시 당서기에 선출됐다고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人民日報)가 4일 보도했다. 후 주석의 퇴임 이후를 염두에 둔 인사라는 분석이 나온다. ●후진타오, 퇴임 뒤 염두에 둔 인사? ‘슈퍼 엘리트’ 코스로 인식되는 베이징시 당서기는 현 지도부인 자칭린(賈慶林) 전국정치협상회의 주석, 차기 지도부 진입이 유력한 왕치산(王岐山) 부총리 등이 거쳤던 자리로 권력의 핵심인 중앙정치국 위원에 자동 선임되는 요직으로 통한다. 특히 전임자 류치(劉淇) 베이징시 당서기가 70세 연령 제한에 걸려 베이징시 당서기 및 중앙정치국 위원직에서 퇴임한 점이 눈길을 끈다. 이는 연령 제한이 걸리지 않는 장더장(張德江·66) 충칭(重慶)시 당서기, 위정성(兪正聲·67) 상하이(上海)시 당서기, 장가오리(張高麗·66)톈진(天津)시 당서기, 왕양(汪洋·57) 광둥(廣東)성 당서기 등이 중앙정치국위원으로 유임되고 나아가 최고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후보로 가시화된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전날 인민일보 해외판은 1면 칼럼에서 당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은 9인으로 구성되며 이는 중국 특색의 우월한 지도 체제라고 주장해 최고지도부가 기존 9인에서 7인으로 축소될 것이란 항간의 설을 일축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저우융캉, 왕양의 광둥 칭찬 한편 이날 남방일보는 저우융캉(周永康) 중앙 정법위 서기가 중남해(中南海)에서 주밍궈(朱明國) 광둥 정법위서기의 업무보고를 받은 뒤 중국의 민주주의 모델로 꼽힌 광둥의 우칸(烏坎)촌 사건 처리 방식 등을 높이 평가했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比, 美정찰기 요청 검토… 남중국해 갈등 재점화

    필리핀이 미국에 영토 분쟁지인 남중국해 황옌다오(黃巖島·필리핀명 스카버러 섬)의 공중 초계 지원 정찰기 파견을 요청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잠시 소강 상태를 보였던 중국과의 갈등이 다시 악화될 조짐이다. 라몬 카랑당 필리핀 대통령궁 대변인은 한 언론에 정부가 남중국해 스카버러 섬 초계를 위해 미국에 ‘P3C 오리언’ 정찰기 파견을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현지 ABS-CBN방송과 홍콩의 피닉스TV가 3일 보도했다. 카랑당 대변인은 미 정찰기 파견 요청을 중국 정부가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경계했다. 또 필리핀 정부는 오는 15일부터 스카버러 섬 일대에 발동했던 휴어령을 해제하는 만큼 어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해안경비대의 업무를 적극 도울 것이라 밝혔다고 홍콩 명보가 전했다. 이런 가운데 필리핀이 지난 2일부터 미국과 합동 군사훈련에 돌입한 점도 중국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 중국의 해군력 팽창을 겨냥해 볼테르 가즈민 필리핀 국방장관이 모리모토 사토시 일본 방위상과 2일 해양 안보 협력 강화 내용을 담은 협정문을 체결했다고 피닉스TV가 전했다. 가즈민 장관은 이날 회동에서 스카버러 섬을 둘러싼 필리핀과 중국 간의 영유권 분쟁이 평화롭게 조정되려면 공개적인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모리모토 방위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필리핀과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류웨이민(劉爲民)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필리핀의 황옌다오 휴어령 해제 조치와 관련해 “필리핀은 양국 협력 관계 발전에 이득이 되는 일을 좀 더 많이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황옌다오를 둘러싼 양국 간 영토 분쟁은 중국과 필리핀이 지난달 이 일대에 각각 휴어령을 발동해 자국 선박을 철수시키면서 일단락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한·일정보협정 파장] 中의 엄포

    국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과 관련해 중국이 ‘한·미·일 삼각 군사 동맹의 포석’이라며 반발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의 환구시보(環球時報)는 3일 ‘한국, 미·일과 연합해 중국에 대항하지 말아야 한다’는 제하의 사설에서 한·일 정보보호협정이 겉으로는 북한을 겨냥한 듯 보이지만 사실은 중국을 상대하기 위한 조치여서 중국이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한·미·일 군사 동맹 전략에 한국이 동참할 경우 대국 간 힘겨루기 전장의 최전선에 자신을 밀어넣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협정은) 근시안적인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사설은 이어 “이성적인 한국이라면 중·미 관계 및 동북아 대국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라면서 “만약 한국이 계속 이런 식으로 한쪽으로 기울 경우 결국 중국과 대척점에 서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라울 카스트로, 中·베트남 공식 방문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의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중국과 베트남을 공식 방문한다. 중국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라울 카스트로 의장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4~7일 나흘간 중국을 방문한다.”면서 “쿠바는 중남미 주요 국가로 중국은 그의 국빈 방문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라울 카스트로 의장은 후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류 대변인은 “양측은 공동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한편 양국 간 협력을 담은 각종 문서에 서명할 것”이라면서 “중국은 라울 카스트로의 이번 방문이 양국 관계를 더욱 심화·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라울 카스트로가 2008년 형 피델 카스트로로부터 권력을 물려받은 뒤 중국을 방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쿠바 관영통신사(ACN)도 라울 카스트로 의장이 중국과 베트남을 공식 방문하기 위해 1일 수도 아바나의 호세 마르티 국제공항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칭다오서 쫓겨나는 한국기업

    ‘star’(스타) 상표가 붙은 축구·농구공을 생산하는 신신상사의 중국 현지법인이 현지 지방정부의 과도한 임대료 인상 요구에 밀려 결국 다른 곳으로 이전하게 됐다. 신신상사는 칭다오(靑島)시 촌(村)정부로부터 토지임대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당한 뒤 한 달 가까이 출입문을 봉쇄당했고 급기야 쫓겨나는 것이다. 2일 신신상사에 따르면 이 회사의 중국 현지법인 신신체육용품유한공사(이하 신신)와 산둥성 칭다오시 중한사구(中韓社區·사구는 한국의 동 이하급 행정단위) 주민위원회는 전날 공장을 2년 안에 다른 장소로 이전하기로 했다. 장소는 정하지 못했지만 향후 2년간 공장 땅 임대료는 최근의 연간 18만 달러(2억 600만원)에서 연간 300만 위안(5억 4100만원)으로 배 이상 올리기로 했다. 신신은 지난 1991년 중한사구 주민위원회와 50년 장기 계약을 맺고 이곳에 농구공 등을 생산하는 대형 생산 기지를 갖췄다. 첫 해 11만 달러의 임대료를 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약서에 정해진 비율로 임대료를 완만히 인상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계약 후 20여년이 지나는 사이 공장 주변은 아파트가 대거 들어선 노른자위 땅으로 변했다. 중한사구 측은 지난 4월 50년 계약은 무효라며 임대료를 500% 인상하고 임대 기간도 2년마다 갱신하자는 새 조건을 내밀었다. 이번 사건은 투자 유치 단계에서는 각종 유리한 조건을 내걸어 외국 기업을 끌어들인 뒤 나중에 사정이 바뀌면 기존 계약을 뒤집어 버리는 일부 중국 지방정부의 행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외국인 최단 취업비자 180일에서 90일로 단축

    중국 당국은 취업비자가 없는 외국인을 고용한 업주에게 1인당 1만 위안(약 180만원), 최대 10만 위안의 벌금을 물릴 수 있게 된다. 외국인의 최단기 취업비자 기간은 종전 180일에서 90일로 단축된다. 중국 체류 외국인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출입경관리개정법이 중국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를 통과해 내년 7월 1일부터 시행된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지난달 30일 보도했다. 개정법은 불법 취업 외국인뿐 아니라 이들을 고용한 업주에 대한 처벌을 대폭 강화한 게 특징이다. 불법 취업의 경우 기존에는 적발 시 외국인에 대해서만 1000위안(약 18만원)의 벌금을 물렸으나 앞으로는 업주에 1인당 1만 위안의 벌금 부과는 물론 업주가 불법고용으로 얻은 경제적 이득까지 몰수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공안기관이나 국가안전부(국정원)가 국가 및 공공 안전을 위해 특정 지역에서 외국(법)인의 거주 및 사무업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이미 거주하고 있거나 사무실로 쓰고 있더라도 공안이 이전 명령을 내리면 옮기도록 했다. 허가 없이 외국인 출입 제한 지역에 들어갈 수 없도록 하는 조항도 명문화했다. 유학비자로 취업하는 등 비자 종류에 부합하지 않는 활동을 하거나 중국의 법을 위반할 경우 공안이 강제 출국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외국인 출입경 문제는 공안이 총괄한다는 점을 확실히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7월1일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위안화 환전 한도 확대… 후의 15돌 선물?

    홍콩 반환 15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29일 홍콩을 찾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선물 보따리’에 관심이 쏠린다. 후 주석의 홍콩 방문은 반환됐던 해인 1997년과 10주년 행사가 열렸던 2007년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정치적 민주주의 확대보다는 경제적인 지원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앞서 중국은 최근 자칭린(賈慶林) 정협 주석이 푸젠(福建)성 샤먼(廈門)시에서 열린 제4차 양안(兩岸·중국과 타이완)포럼에 참석해 ▲푸젠 등 6개 성·시에서 타이완인들에 대한 공기업 일자리 개방, 타이완 기업에 대한 6000억 위안 상당의 대출 허용 계획 등 선물을 안기며 인기몰이를 한 바 있다. 홍콩에서는 금융중심지라는 홍콩의 특색을 감안해 금융·경제·무역과 관련된 규제 완화 조치를 안겨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홍콩에서는 홍콩 주민의 일일 위안화 환전 한도를 기존 2만 위안에서 추가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앞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 본토로 위안화를 송금할 때 적용되는 8만 위안 한도를 추가로 늘릴 가능성도 나온다. 위안화 거래 활성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지원도 기대하고 있다. 올 들어 위안화 절상 추세 둔화로 외국인의 위안화 투자가 감소하고 있는데다 싱가포르, 런던, 도쿄 등이 위안화 역외 거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어 홍콩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 밖에 중국 본토인들이 홍콩 증시에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전용 주식투자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2003년 체결한 중국·홍콩 자유무역협정(CEPA) 내용을 일부 개정하는 방안도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