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김성호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김경두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황경근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공식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中, 영토 분쟁지에 무인정찰기 동원

    중국이 주변국들과의 영토 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무인 정찰기를 동원한 해양 감시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국가해양국은 최근 연해 지역 11개 성(省)과 시(市)에 각각 기지를 설립하고 기지마다 최소 1개 이상의 무인 정찰기를 배치해 해당 지역의 관할 해역을 감시할 계획이라고 관영 신화통신이 29일 인민일보 해외판을 인용해 보도했다. 국가해양국은 올 초 해양주권 수호를 위해 중국 관할 해역에 해양감시선과 항공기를 동원한 정기 순찰 계획을 밝히면서 그 대상 중 하나로 한국과 분쟁을 빚고 있는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를 언급한 바 있어 이번 조치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가해양국 해역관리사 위칭쑹 사장(司長·실장급)은 인민일보 해외판과의 인터뷰에서 “연해 개발이 날로 증대되는 상황에서 정밀한 해양 감시와 검측이 필요하다.”면서 “중국은 이를 위해 무인 정찰기를 이용한 연해 감시를 계획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시범 사업이 이미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은 위성, 항공기, 현장감시반, 원거리 카메라 감측 등을 이용해 자국 연해를 감시하고 있으나 감측 범위와 정밀도, 편의성, 비용 등 여러 측면에서 역부족이란 설명이다. 위 사장은 “새로 도입될 무인 정찰기의 경우 예정된 궤도를 따라 비행하며 촬영은 물론 내용을 본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어 기동성을 강화한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중국의 군사력 팽창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첨단 무인 정찰기인 ‘글로벌 호크’를 사들여 미군과 공동 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일본 매체들이 보도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北·日회담, 납북자 문제 ‘기싸움’

    북한과 일본이 29일 중국 베이징의 일본대사관에서 정부 간 과장급 회담을 가졌다. 양측의 정부 간 교섭은 2008년 8월 일본인 납북자 문제 재조사 합의 이후 4년 만이다.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부터 2시간 45분 동안 이어진 회담에서 양측은 북한에 있는 일본인 유골 반환과 일본인 유족의 북한 내 묘소 참배 허용 문제를 주로 논의했다. 일본 측은 최대 관심사인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공식 의제에 포함시키자고 제안했으나 북측이 반발하는 등 납북자 문제를 놓고 다소 진통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납치 문제를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함에 따라 30일 오전 북한 대사관으로 자리를 옮겨 회담을 계속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일본인 납북자 문제 논의에 대해 그동안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당초 사전 접촉 과정에서는 납치 문제 협의에 응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지만 회담 계획이 공식 발표되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납치 문제를 앞세우는 것은 불순한 정치적 목적에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태도를 바꿨다. 국장급에서 과장급으로 회담의 격을 낮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양측이 회담을 최장 2박 3일간 진행하기로 합의한 데다 최근 동북아 정세를 감안할 때 양측 모두 관계 개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으로서는 장기적으로 북·일 관계가 정상화되면 100억 달러(약 11조 3300억원)에 이르는 일제 통치 ‘배상금’을 확보해 경제 재건에 주력할 수 있고 한국, 중국 등과 갈등 상태인 일본도 북·일 관계 개선으로 돌파구를 만들려는 기대가 크다는 것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동아시아 영토분쟁 새 국면 예고] 日·中, 센카쿠 숨고르기?

    일본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을 빚고 있는 중국에 대해 유화 제스처를 취하면서 양국 간 충돌이 숨고르기 국면으로 접어드는 양상이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28일 방중한 야마구치 쓰요시 외무 부상(차관)을 통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에게 친서를 보냈다. 노다 총리는 친서에서 센카쿠 열도 문제로 양국 관계가 긴장 상태에 놓인 데 대해 우려 입장을 밝히고 오는 9월 중·일 국교정상화 40주년을 맞아 전략적 호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양국이 냉정을 되찾고 고위급 대화를 전개하자고 촉구했다. 이번 친서 전달은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방침, 센카쿠 열도 상륙 홍콩 시위대 체포, 주중 일본대사 차량 피습 사건 등이 잇따라 발생하는 등 중·일관계에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뤄져 중국 측 대응이 주목된다. 니와 우이치로 일본대사 차량 피습 사건과 관련해 베이징시 공안 당국이 수사에 착수했으며, 공안 수십명을 일본 대사관에 파견해 경계에 나서는 등 중국 정부가 사태 수습에 나섰다고 홍콩 봉황TV가 이날 보도했다. 후지무라 오사무 일본 관방장관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매우 유감”이라면서도 중국 측에 절제된 외교 용어로 공정한 수사를 요청하는 등 감정적인 대응을 자제했다. 한편 중국은 센카쿠 열도 문제의 현상 유지를 위해 일본에 ▲상륙하지 않는다 ▲자원·환경 조사를 하지 않는다 ▲건조물 설치 및 개발을 하지 않는다는 등의 3개 조건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센카쿠 국유화 문제는 요구 사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는 센카쿠 국유화를 사실상 묵인하겠다는 유연한 자세를 내보인 것이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동아시아 영토분쟁 새 국면 예고] 美, 센카쿠 불똥 차단하기?

    중·일 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양국 간 갈등 국면이 소강 상태로 전환될지 주목된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28일 “클린턴 국무장관이 양체츠(楊潔?) 외교부 부장(장관급)의 요청으로 오는 9월 4일부터 이틀간 중국을 방문해 중·미 관계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외교부 사이트를 통해 발표했다. 클린턴 장관은 이번 방중 기간 동안 양 부장 외에 중국의 지도자급 인사들과도 면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 장관의 이번 방중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미·중 양국이 일정을 조율한 것으로 사실상 임기 중 마지막 방중이라는 점에서 ‘이임인사’ 성격이 짙다는 것이 베이징 외교가의 분석이다. 하지만 중·일 간 센카쿠 분쟁의 불똥이 미국으로까지 튀고 있다는 점에서 이 문제가 주요 논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국은 겉으로는 ‘중립’을 주장하면서도 미·일 상호방위조약의 적용 범위에 센카쿠 열도가 포함되는 점을 거듭 확인하면서 사실상 일본 편을 들고 있다. 일본을 이용해 ‘중국 봉쇄’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비난을 중국이 제기하는 이유다. 인민일보 해외판은 이날 ‘중 군부, 일본에 거듭 강경 목소리’란 제목의 사설에서 최근 중국의 차이잉팅(蔡英挺) 인민해방군 제1부총참모장이 미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댜오위다오가 미·일 상호방위조약에 해당된다는 점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고 강조하며 “미국은 분쟁을 조정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미국에 화살을 돌렸다.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진찬룽(金燦榮) 교수는 “클린턴 장관이 ‘아태회귀’ 정책의 총설계사란 점에서 그는 이번 방중에서 미국의 ‘아태회귀’ 정책이 ‘중국 봉쇄’ 전략이 아니란 점을 중국 측에 설명하고 격화된 중·일 간 분쟁을 누그러뜨리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미·일 상호방위조약의 적용 범위에 여전히 센카쿠 열도를 포함시킬 가능성이 높은 데다 필리핀과 영토분쟁이 있는 황옌다오(黃巖島·필리핀명 스카버러)에 대해선 중국이 통제를 강화하고 있어 중·일 간은 물론 중·미 간 갈등의 불씨는 해소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 中왕치산 부총리 회동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 中왕치산 부총리 회동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28일 중국 베이징의 중난하이(中南海)에서 차기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임돼 최고지도부 일원이 될 것이 유력시되는 왕치산(王岐山) 부총리를 만났다. 이 사장은 앞서 지난 6월에는 중국의 차기 총리로 사실상 내정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예방한 바 있다. 이 사장이 거대시장인 중국에 몰두하는 형국이어서 삼성의 대중 투자 확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중국삼성은 이날 이 사장과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정연주 삼성물산 부회장, 장원기 중국삼성 사장 등 최고경영진이 왕 부총리를 만나 삼성전자의 반도체 등 중국 투자에 대한 현황을 설명하고 중국 정부에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삼성이 중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생명보험과 화재보험 등 금융부문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왕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외국기업의 경영환경을 개선할 것”이라며 삼성의 투자를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베이징서 주중 日대사 차량 피습”

    중국 베이징에서 주중 일본 대사가 탑승한 차량이 한 중국 남성으로부터 습격받았다고 환구시보의 인터넷 뉴스 사이트인 환구망이 일본 교도통신을 인용해 27일 보도했다. 통신은 이날 니와 우이치로(73) 중국 주재 일본 대사의 차량에 꽂혀 있던 일장기를 탈취당했으며 니와 대사의 신변에는 이상이 없다고 전했다. 일본 대사관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에 따른 반일 행동으로 보고 중국 외무부에 엄중하게 항의했다. 중국에서는 홍콩 시위대가 센카쿠열도에 상륙한 지난 15일 이후 전국 각지에서 반일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26일엔 광둥성과 저장성 등 5개 도시에서 반일 시위가 있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관영 언론을 통해 한국의 ‘독도 수호 역사’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일본과의 영토 분쟁에서 한국을 ‘롤모델’로 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관영 신화통신은 27일 ‘한국 국민들은 일본으로부터 어떻게 독도를 되찾아 왔는가’란 제목으로 홍순칠 독도의용수비대장의 일대기를 사진과 함께 상세히 소개했다. 베이징시 기관지인 베이징만보도 이날 ‘한국 독도 수호의 저력은 무엇인가’란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독도 수호 전략을 소개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무력시위 위협’ vs 日 ‘실효지배 강화’ 영토분쟁 가속

    中 ‘무력시위 위협’ vs 日 ‘실효지배 강화’ 영토분쟁 가속

    ■中, 센카쿠 인근서 섬 탈환 훈련 중국이 미국과 일본을 겨냥해 연일 ‘무력시위’에 나서고 있다. 중·일 간 영유권 분쟁지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미·일 방위협력 대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재확인하기 위한 미·일 방위협력 지침 개정 논의가 시작된 데다 미국이 동아시아 지역의 미사일 방어체계(MD) 강화를 공식화한 데 따른 반발 차원으로 풀이된다. 중국 7대 군구 가운데 하나인 난징(南京) 군구의 푸젠(福建) 해군방위부대가 댜오위다오에서 400㎞ 떨어진 난르다오(南日島) 인근 해역에서 연일 도서(섬) 공략 훈련을 실시 중이라고 홍콩 명보가 중국 인민해방군 기관지인 해방군보(解放軍報) 계열의 군사독자(軍事讀者)를 인용해 27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번 도서 공략 훈련에 상륙함 등이 대거 동원됐으며 훈련이 시작된 지 2시간도 채 안 돼 ‘적’이 점령한 부두에 상륙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의 환구시보는 이날 ‘인민해방군의 해상훈련은 일본을 겨냥한 것이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미국과 일본의 도서탈환 합동훈련에 맞춰 난징 군구의 한 부대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했다.”며 이번 훈련이 미·일 합동훈련에 대한 ‘맞불훈련’임을 부인하지 않았다. 중국군은 난징군구 이외에도 청두(成都) 광저우(廣州) 등 여러 군구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군사훈련을 진행하고 있다고 중화권 매체들이 보도했다. 해방군보는 1면 머리기사로 중국 군사력의 비약적 향상을 자축하기도 했다. 신문은 특히 지난 10년간 전략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의 원거리 기동 작전 수행 능력이 현저하게 향상됐다고 강조했다. 제2포병은 앞서 지난달 말부터 한달여 동안 3차례에 걸쳐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東風·DF)41을 비롯한 핵미사일 시험발사를 강행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미국의 아·태지역 MD 강화 계획에 맞서 중국이 미사일 개발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日, 센카쿠 매입가 288억원 제시 일본 정부가 최근 중국과 영토 갈등이 고조된 것을 계기로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의 실효지배를 강화하는 조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다음 달 센카쿠 열도를 소유자 측으로부터 매입하기로 결정하고 본격 교섭 중이라고 도쿄신문이 27일 보도했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의 지시로 나가하마 히로유키 관방 부장관이 소유자와 접촉해 교섭을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매입가로 20억엔(약 288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도의 매입 방침에 따라 국유화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소유자도 최근 들어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 지사가 센카쿠 열도 매입 계획을 포기하지 않고 있어 최종 합의까지는 난관이 예상된다. 실제 도쿄도는 이날 정부의 센카쿠 열도 상륙 불허통보에도 불구하고 이달 안에 직원들이 탄 배를 센카쿠 해역에 보내겠다고 밝혔다. 센카쿠 열도를 사들이려면 어떤 식으로든 현지 조사가 필요한 만큼 배 위에서라도 토지 형태 등을 관측하겠다는 것이다. 10월로 예정된 2차 조사 때는 이시하라 지사가 동행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또 센카쿠 열도 등의 방어를 위한 군사작전을 염두에 두고 상륙돌격장갑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 방위성은 2013 회계연도(2013년 4월∼2014년 3월) 예산 요구안에 4대의 상륙돌격장갑차 조달 경비 30억엔(약 430억원)을 포함할 방침이다. 주된 검토 대상은 미군의 AAV7 상륙돌격장갑차로 알려졌다. 상륙돌격장갑차는 상륙함에서 해변으로 병력을 전개할 때 이용하는 장비로, 일본 방위성은 그동안 탄도미사일, 항공모함 등과 함께 상륙돌격장갑차를 평화헌법이 금지한 ‘공격용 무기’로 해석해 도입하지 않았다. 하지만 방위성 간부는 “자위대의 목적은 전수(專守)방위인 만큼 (상륙돌격장갑차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여겨왔지만, 일단 빼앗긴 섬에 상륙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상륙돌격장갑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 보시라이, 정치 재기불능 ‘당적 박탈’될 듯

    실각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가 공산당 최고의 중징계인 당적 박탈 처분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보시라이 파문’이 부인 구카이라이(谷開來)의 살인 사건으로 종결됨에 따라 보 전 서기가 부패 혐의 등으로 사법처리되기보다 출당 조치를 통해 정치적 재기불능 판정을 받는 쪽으로 사건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26일 공산당 지도부가 왕리쥔(王立軍) 전 충칭시 공안국장의 미 총영사관 도주 사건 책임을 물어 보 전 서기의 당적을 박탈할 계획이라고 복수의 공산당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당적 박탈은 당 규약에서 정한 5단계 처분 중 가장 엄한 처벌로 보시라이의 완전 실각을 의미한다. 그는 이미 엄중한 기율위반 혐의로 공산당 중앙 정치국위원과 중앙위원 자격을 정지당했다. 현재 베이징 시내 모처에서 당 감찰기구인 중앙기율검찰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다. 신문은 이와 관련, 이 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진 당내 계파 싸움에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공청단(共靑團·공산주의청년단) 세력이 판정승을 거둔 결과로 해석했다.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상하이방 등이 보시라이에 대한 엄격한 처벌에 반대해 왔다는 이유에서다. 보시라이를 지지하고 현 정권을 비판하는 세력에 대한 강한 경고의 성격도 띤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후 주석은 차기 지도부를 결정할 때에도 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고 신문은 예상했다. 미국에 서버를 둔 반체제 뉴스포털인 둬웨이(多維)뉴스도 보 전 서기가 부패 혐의나 가족 비호 문제로 처벌될 가능성은 희박하며 대신 당중앙의 동의 없이 왕 전 국장을 임의로 파면한 데 대해 엄중 기율 위반 문제로 문책당할 것이라고 25일 보도했다. 보 전 서기가 임의로 왕 전 국장을 파면함으로써 그가 미 총영사관으로 도주했고, 충칭시는 이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왕 전 국장이 휴가 중 치료를 받고 있다.’고 허위 발표까지 한 만큼 보 전 서기가 관련 책임을 회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왕 전 국장은 구카이라이의 살인 사건을 보 전 서기에게 보고한 뒤 그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느껴 미 영사관으로 피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보 전 서기에게 수뢰 등 혐의에 따른 형사 책임은 물론 ‘조폭과의 전쟁’을 벌이면서 강압수사를 묵인했다는 혐의가 적용될 가능성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한·일 독도 갈등 해법 없나] 中 “노다 발언 규탄” 반일 시위 재개

    중국 당국의 제재로 한동안 수그러들었던 반일 시위가 일본 총리의 댜오위다오(釣魚島·센카쿠열도) 주권 발언을 계기로 다시 불붙고 있다. 26일 홍콩 신성(新城)방송에 따르면 이날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시, 하이난(海南)성 하이커우(海口)시, 저장(浙江)성 주지(諸?)시 등 일부 도시를 중심으로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의 ‘댜오위다오는 일본 땅’ 발언을 규탄하는 반일 시위가 벌어졌다. 특히 하이커우에선 수백여명이 아침 일찍부터 밍주(明珠)플라자에 집결해 ‘일본인은 댜오위다오에서 꺼져라.’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 시위를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경찰이 시위대의 폭력 사태를 우려해 일제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기도 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전날 산둥(山東)성 르자오(日照)시에서도 수천명이 모여 일본 총리의 발언을 비난하는 반일 시위를 벌였으며 시위대는 이 과정에서 일제 불매 구호를 외치는 한편 인근 일본 식당을 때려 부수는 등 과격 행동도 잇따랐다고 타이완(臺灣) 연합신문망이 전했다. 반일 시위는 해외에서도 이어졌다. 2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선 중국인 수천여명이 댜오위다오의 주권 수호를 위한 서명 운동에 돌입했으며 이를 미 의회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홍콩 명보가 전했다. 신화통신은 24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의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중국인 시위대 200여명이 ‘중국 영토인 댜오위다오에 대한 일본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고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김정은, 새달 방중 추진설

    김정은, 새달 방중 추진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다음 달 중국 방문을 추진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4일 보도했다. 통신은 북·중 관계에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이번 방중은 김 제1위원장이 중국의 현직 최고지도자와 새 지도자를 만나기 위한 ‘얼굴 익히기’ 성격이며, 회동에선 북한이 세 번째 핵실험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정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대체하라는 요구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지난 20일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한 가장 큰 목적도 김 제1위원장의 방중 협의를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오는 10월 중국이 당대회를 하니까 그 전에 가서 신·구 지도부를 만나기 위해 김 제1위원장이 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보기도 하지만 장성택 부위원장이 이번에 방중했기 때문에 현재로서 김 제1위원장의 방중은 시기 상조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대북 소식통은 “중국의 지도자는 퇴임한 뒤에도 권력을 놓지 않기 때문에 김 제1위원장이 9월에 방중할 경우 신·구 지도자를 모두 볼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제1위원장은 지난 17일 서해 최전방의 장재도·무도를 방문한 지 1주일 만에 부인 리설주를 대동하고 동부전선에 있는 인민군 제4302부대 산하 ‘3중3대 혁명붉은기 감나무 중대’를 시찰했다. 김 제1위원장이 해당 부대를 방문했을 때 중대장은 상급기관 모임 참석차 자리를 비웠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밝혀 김 제1위원장이 예고 없이 깜짝 방문함으로써 또 다른 파격 행보를 드러냈다는 해석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서울 하종훈기자 jhj@seoul.co.kr
  • [주현진 특파원 베이징은 지금] 中 어느 기자의 자살

    “기자는 한 마리의 개와 같다.”(言官如狗·언관여구)며 중국 언론인을 은유적으로 ‘충견’에 빗대 풍자했던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중견 기자가 최근 자살했다. 그는 지인들에게 ‘벽’에 가로막힌 중국의 언론환경을 토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암울한 중국의 언론 현실이 새삼 도마에 오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중견 기자 쉬화이첸(徐懷謙·44)이 베이징 자신의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한 것은 지난 22일 오후 1시. 인민일보는 24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그의 자살 소식을 전하면서 쉬화이첸이 최근 우울증 치료를 받아 왔다고 발표했다. 쉬화이첸은 최근 중국 언론인의 현실을 개탄한 언관여구(言官如狗)란 제목의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게재해 큰 반향을 일으켰던 인물이다. 그의 자살이 중국의 억압적 언론체제와 무관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언관여구’는 근대 중국의 군벌정치가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자신의 정치투쟁에 총대를 메 줄 언관을 물색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쉬화이첸은 해당 글에서 “언관들은 정치적 후각이 발달했고, 진실 대신 주인에게 충성하는 특성을 지녔는데 그들이 살던 전제주의 제국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계승자들이 아직 얼마나 많이 남아 있는지 모르겠다.”며 공산당과 정부의 나팔수 역할을 해야 하는 관영언론 기자들의 현실을 개탄했다. 그는 지인들에게도 비슷한 말을 남겼다. 보하이(渤海)대 중국문화·문학연구소 장훙제(張宏杰) 부소장은 쉬화이첸이 생전에 자신에게 “생각하되 말하지 못하고, 말하되 쓸 수 없으며, 쓰되 게재할 곳이 없다. 그럼에도 ‘체제’를 벗어날 수 없다. 굶어 죽기 때문이다.”라는 내용의 신세한탄을 했다고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전했다. 이날 웨이보에는 그의 자살과 관련된 글이 15만건을 넘어섰다. 중국 언론인 직업 준칙에는 ‘당의 노선을 선전하고 당과 정치적 의견을 일치시키며 당의 결정에 반하는 보도는 금지한다.’고 규정돼 있다. jhj@seoul.co.kr
  • 美기업 삼키는 ‘차이나 머니’

    중국 기업들이 놀랄 만한 기세로 미국 자산과 기업을 흡수하고 있다. 1980년대 ‘맨해튼’을 접수한 일본 기업들에 이어 30여년 만에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주요 기업과 자산을 인수·합병(M&A)하고 있다.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전문 분석기관 딜로직의 집계를 인용해 올 들어 7월 현재까지 중국이 인수한 미국 자산과 기업 규모가 78억 달러로 이미 지난 2007년의 한 해 전체 기록인 89억 달러(약 1조 48억원)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베이징大 교수들 음란한 이중생활”

    “베이징大 교수들 음란한 이중생활”

    ‘베이징대에는 음란교수들이 넘쳐난다?’ 중국 최고 명문인 베이징대가 교수들의 성추문 파문에 휩싸였다. 최고 명문대 교수들의 추잡한 소문이 확산되자 중국 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종업원 간음… 色魔 많다” 파문은 한때 이 학교 경영학과 강단에 섰던 쩌우헝푸(鄒恒甫·50) 세계은행 연구원의 폭로 글로 시작됐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은 첫 번째 중국인인 쩌우 연구원은 평소에도 거침 없는 발언으로 유명하다. 쩌우 연구원은 지난 21일 오전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 “베이징대 모 학과장과 교수들이 학교 내 고급 식당인 멍타오위안(夢桃源) 여성 종업원들을 상대로 간음과 성매수를 일삼고 있다. 베이징대에는 이런 ‘색마’가 아주 많다.”고 폭로했다. 또 “이들은 주로 멍타오위안의 한 룸에서 부적절한 행각을 벌인다.”면서 “외부 유흥업소에서 음란행위를 일삼는 교수들도 부지기수”라고 주장했다. ●대학측 “사실무근” 베이징대 대변인은 즉각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며 법적대응을 공언했다. 그러자 쩌우 연구원은 다음 날인 22일 또다시 웨이보를 통해 “베이징대 교수들을 모조리 조사한 뒤 발표한 것이냐.”며 오히려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관련자 이름이나 숫자를 공개하지 않는 등 쩌우 연구원의 주장이 모호한 데다 그가 2007년 부실강의를 이유로 퇴직당했다는 점에서 공연한 흠집내기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美전역 타격 가능… 中 ICBM 시험발사

    美전역 타격 가능… 中 ICBM 시험발사

    중국이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해 군사력 과시에 나서는 한편 미국과의 고위 군사교류를 재개했다. ‘중국 봉쇄’에 나선 미국에 위협과 함께 대화 제스처를 보낸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국의 전략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이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신형 둥펑(東風·DF)41의 개발을 마치고 지난달 24일 산시(山西)성 우자이(五寨) 기지에서 처음으로 시험 발사했다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영국의 제인스디펜스위클리를 인용해 22일 보도했다. DF41은 최대 사정거리가 1만 4000㎞로 중국 동부 해안에서 발사할 경우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 DF41이 가공스러운 것은 목표물을 공격하는 핵탄두를 한꺼번에 10개까지 동시탑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총중량 1200㎏까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 최대 음속의 10배로 비행하는 핵탄두들이 최대 10개의 목표물을 동시에 타격하게 되면 미국의 첨단 미사일방어(MD) 시스템으로도 완벽한 요격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게 군사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번 시험 발사가 미국과 일본에 대한 군사적·전략적 위력과시로 받아들여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사안의 민감성 때문인 지 중국 측은 ‘치고 빠지는’ 전략을 구사했다. 환구시보는 이날 오후 인터넷판을 통해 군사전문가 웨이궈안(魏國安)의 분석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DF41 시험 발사가 없었다고 부인했다. 중국은 2009년 건국 60주년 기념 열병식 때 개발 중이던 DF41을 국력과시 차원에서 공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다가 한 단계 아래 기종인 DF31만 공개한 바 있다. 미국 등의 정보기관 요원들이 당시 열병식을 예의주시하기도 했다. 그만큼 중국의 DF41 보유 여부가 민감하다는 얘기다. 중국의 첫 항공모함 바랴크함의 함재기로 유력한 젠(殲)15 전투기 모형을 이용해 전투기 승강(升降) 시험을 하는 장면도 공개됐다. 홍콩 명보는 이날 바랴크함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젠15 전투기 모형을 승강 시험하는 사진을 게재했다. 촬영 일자와 장소 등은 밝히지 않았다. 바랴크함은 이르면 올 건국기념일(10월 1일)을 전후해 취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인민해방군의 차이잉팅(蔡英挺) 부총참모장이 이끄는 군사대표단이 미국을 방문 중이라고 관영 언론들이 보도했다. 중국 군 대표단의 방미는 지난 5월 량광례(梁光烈) 국방부장의 방미 이후 3개월 만에 이뤄진 것으로 양국 군 고위층 인사교류의 복원이라는 의미가 있다. 중국은 지난해 초 미국이 타이완(臺灣)에 첨단무기를 판매한 데 반발해 인적 군사교류를 1년여 동안 중단한 바 있다. 대표단에는 왕닝(王寧) 베이징군구 참모장, 정췬량(鄭群良) 지난군구 부사령원, 자샤오후이(賈曉煇) 광저우군구 참모장 등 각 군구의 전략책임자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중국은 올해 전년 대비 11.2% 증가한 6703억 위안(약 119조원)의 국방 예산을 편성하는 등 매년 두 자릿수 이상 국방비를 증액해 미국 등 서방국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한일 독도갈등] 댜오위다오 다음은 이어도? 중국의 끝없는 영토 야욕

    [한일 독도갈등] 댜오위다오 다음은 이어도? 중국의 끝없는 영토 야욕

    이어도가 중국의 ‘포스트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목표물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이 댜오위다오 영유권을 둘러싼 일본과의 분쟁 타결 이후 한국과의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巖礁) 관할권 갈등해결에 나선다는 것이다. 2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계열 참고소식(參考消息)은 이례적으로 “한국은 중국과 이어도 관할권 문제가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중국 광저우(廣州) 주재 베트남 전 총영사의 주장을 소개했다. 참고소식은 외국 및 외국인의 중국에 대한 시각을 전하는 신문이다. 베트남 전 총영사는 신문에서 “독도 영유권 문제로 한·일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이 쳐놓은 함정에 한국이 빠진 것”이라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또 “중국은 이어도 문제에 대해 지금은 아무 일 없는 듯 태연하게 행동하고 있지만 이는 한국을 끌어들여 중·일 간 분쟁 중인 댜오위다오 문제에 집중하기 위한 의도”라고 분석한 뒤 “일단 댜오위다오 문제가 일단락될 경우 중국은 이어도로 목표를 옮겨갈 것이 확실한데 한국은 그제서야 일본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중국과 영토 분쟁을 겪고 있는 모든 국가들은 반드시 힘을 합쳐 중국에 맞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지난 3월 이어도 관할권을 놓고 외교갈등을 빚은 바 있다. 중국이 이어도 관할권을 주장하며 감시선 및 항공기를 통한 정기순찰 계획을 밝히자 우리 측은 장신썬(張?森) 주한 중국대사를 초치해 항의하는 등 강력 반발했다. 당시 중국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쑤옌자오는 중국과 한국의 배타적경제수역이 중첩되는 지역에 있어 그 귀속 문제는 한·중 양국 간 협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반일시위 보도 통제… 갈등 수습 본격화

    중국이 일본과 영토 분쟁 중인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 문제로 최근 잇달아 발생한 반일 시위에 대한 보도를 통제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댜오위다오 문제로 고조된 민족 감정을 자제시켜 일본과의 관계 악화를 막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중국 공산당의 언론 통제 기구인 당 중앙 선전부는 최근 중국 19개 도시에서 발생한 반일시위 관련 보도 수위를 조절하라는 내용의 지침을 각 언론사에 하달했다고 21일 홍콩 명보가 전했다. 지침은 댜오위다오 반일시위 관련 보도에서 언론들이 일률적으로 신화통신의 일부 기사만 게재할 수 있도록 했으며, 반일시위에서 시위대가 일제 차량에 돌을 던지고 일장기를 불태우는 내용이 담긴 자극적인 사진은 보도 금지시켰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화통신의 기사는 ‘10여개 도시에서 시위가 있었다’, ‘외교부, 일본 우익분자의 댜오위다오 방문에 항의했다’, ‘한국, 독도 수호 표지석 제막식 개최’ 등 3개 정도다. 이에 따라 시위가 가장 과격하게 진행됐던 광저우, 선전 등 지역은 물론 전국 대부분 신문에선 최근 최대 이슈였던 반일시위 관련 사진 기사가 실리지 못했고, 그나마 허용된 신화통신의 기사도 국제면으로 밀렸다. 과격한 시위 사진을 게재한 중경신보, 중경만보 등 신문들의 경우 관련기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할 수 없도록 삭제했다. 한편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이날 자체 포털 사이트에서 ‘외교 난국, 중국은 일본과의 관계를 조화로운 방향으로 조정하고 싶어하고, 일본은 주중 대사를 교체하기로 했다’는 제목의 머리기사를 내보내 중국 정부가 일본과의 갈등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고 싶어한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강경파 “첫 항모 이름 댜오위다오함으로”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충돌이 민간 차원에서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 정부는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한 수습에 나서고 있다. 갈등이 고조될 경우 양국 모두 적잖은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관영 언론을 중심으로 “댜오위다오 분쟁 확산은 일본 정부나 국민이 아닌 일본 우익분자 때문”이라고 강조하며 반일 시위의 열기를 가라앉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해외판은 20일 사설에서 “40년 전 양국 정치인들이 정치 생명의 위험을 감수하며 외교 관계를 정상화시켰으나 현재 일본의 일부(우익) 인사들이 이를 파괴하고 있다.”면서 “댜오위다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양국이 협상 테이블에 앉아 진정성 있고 의미 있는 대화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도 ‘불 끄기’에 나섰다. 후지무라 오사무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센카쿠 열도 문제가 전체 일·중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센카쿠 열도에 상륙한 지방의원 4명 등 10명은 오전 경찰에 자진 출두해 조사를 받았으며 정부 허가 없이 상륙한 혐의로 약식 기소될 전망이다. 하지만 홍콩 시위대가 댜오위다오 재방문 계획을 밝힌 데 이어 타이완 지방의회 의원들도 댜오위다오 방문 의사를 표명하는 등 민간 차원에서는 갈등의 불씨가 여전하다. 타이완연합보는 이날 타이완 이란(宜蘭)현 의회 소속 의원 전원이 댜오위다오를 찾아 영토 주권을 선언하는 행사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타이완 행정구역상 댜오위다오는 이란현 터우청(頭城)진 관할이다. 일본 도쿄도도 센카쿠 열도 상륙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져 파장이 예상된다. 후지무라 관방장관은 도쿄도가 지난 17일 센카쿠 상륙을 신청했지만 신청 서류에 상륙 예정자의 이름이나 상륙 일시가 적혀 있지 않아 접수를 유보했다고 밝혔다. 도쿄도는 지난 4월 민간 소유자로부터 섬을 사들이겠다고 선언한 뒤 모금을 벌이는 등 센카쿠 열도 문제에 앞장서고 있다. 한편 중국 군부의 대표적인 강경파 이론가인 군사과학학회 부비서장 뤄위안(援) 소장은 19일 열린 댜오위다오 관련 포럼에서 “한국이 대형수송함(LPX)의 이름을 ‘독도함’으로 한 것처럼 우리도 주권 수호 차원에서 첫 항모 이름을 ‘댜오위다오함’으로 짓자.”고 제안했다고 홍콩 봉황TV가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도쿄 이종락특파원 jhj@seoul.co.kr
  • 권력, 사법을 이기다

    영국인 사업가 닐 헤이우드를 독살한 혐의로 기소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부인 구카이라이(谷開來)에게 20일 예상대로 사형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세기의 재판’으로 불리며 국내외 이목을 끌었던 구카이라이 재판은 지난 9일 하루 만에 속전속결로 심리가 끝난 데 이어 최종 선고도 심리가 끝난 지 11일 만에 초스피드로 종결됐다.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시 중급인민법원은 이날 오전 선고공판을 열어 구카이라이에게 사형을 선고하되 형 집행을 2년간 유예했다. 사형 집행유예는 사형 집행을 2년간 유예한 뒤 수형 태도 등을 고려해 징역형으로 감형해주는 중국 특유의 사법 제도다. 중국 법조계는 최소 15년 이상의 징역형으로 감경될 것으로 보고 있다. 범행을 도운 보 전 서기의 측근 장샤오쥔(張曉軍)에게는 징역 9년이 선고됐다. 구카이라이와 장샤오쥔은 선고 직후 항소 포기 의사를 밝혔다. 재판부는 구카이라이가 헤이우드를 독살한 것은 1급 살인죄에 해당되지만 ▲헤이우드가 구카이라이의 아들을 위협해 갈등이 격화되도록 원인을 제공했고 ▲구카이라이가 정신장애 병력이 있어 통제 능력이 약한 데다 ▲수사 과정에서 다른 이들의 위법 사건 단서를 제공하는 한편 ▲죄를 시인하고 반성해 사형 집행유예를 선고했다고 설명했다. 문화대혁명 4인방 재판 당시 마오쩌둥(毛澤東)의 부인 장칭(江靑)의 변호를 맡았던 장쓰즈(張思之) 변호사는 구카이라이가 사형 집행유예를 받은 것과 관련, “중국의 정치 환경이 복잡하고 사법이 정치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입증했다.”며 중국 지도부가 이번 사건을 정치적으로 처리했음을 시사했다. 구카이라이 재판이 일단락되면서 ‘보시라이 파문’도 정리 단계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구카이라이에게 부패 혐의 등이 제외된 살인 혐의만 적용된 데다 재판 과정에서 보 전 서기의 이름이 거론되지 않은 만큼 형사적으로는 보 전 서기가 ‘면죄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엄중한 기율 위반 혐의로 공산당 중앙정치국위원과 중앙위원 자격을 정지당하고 당 기율검찰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만큼 권력 교체 과정에서 출당 등 최고 수준의 정치적 중징계를 받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訪中 장성택, 경제특구만 전념”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방중 목적은 황금평·위화도 및 나선(나진·선봉) 경제지구와 관련한 북·중협력 확대에 국한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장 부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대표단은 지난 18일 고려항공 편으로 평양에 귀환했다. 북한 대표단의 한 관계자는 이날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 2청사에서 “이번 북·중 협의의 초점은 경제 특구 문제에 집중됐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방중에서 남포, 신의주, 해주 등 경제특구 확대 문제를 협의했느냐.’는 질문에 “이번에 협의한 황금평·위화도 및 나선 지구 두 개가 먼저 잘돼야 한다. 이번에는 두 개 지구에 대해서만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번 방중에서 중국의 기술이전·차관협조·사회간접자본(SOC)시설 건설 등 경제지원 논의가 이뤄졌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그는 “이번 (장 부위원장의 방중으로 이뤄진)북·중 협의는 황금평·위화도 및 나선 두 개 지구 건설에만 초점이 맞춰졌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7일 장 부위원장과의 면담에서 “북·중 양국이 각자의 경쟁력을 충분히 발휘해 새로운 협력방식을 적극 탐색하고, 두 개(황금평·위화도 및 나선지구) 경제 지구 개발 협력 등 양국 간 중점 프로젝트를 착실히 이행해 양국 경협의 새로운 성장점을 개발하자.”며 두 개 지구에 대한 관심을 강조했다고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18일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한·중 수교 20주년…상생의 미래를 열자] 中 대학생 절반 “북한보다 한국이 더 좋다”

    중국 젊은이들은 북한보다 한국을 더 가깝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중국 대학생들의 49.3%가 한국을 북한보다 더 좋아한다고 답해 ‘혈맹’으로서 북한을 우선시하는 중국 구세대들의 통념을 계승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차이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36.7%였고, 북한이 더 좋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실제로 젊은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선 북한을 ‘깡패국가’, 김정은 위원장을 작은 김뚱뚱이란 뜻인 ‘진샤오팡’(金小?)이라고 조롱하는 것은 물론 탈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중국이 북한의 편을 드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 같은 정서가 향후 중국의 외교정책에 반영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중국도 점점 여론에 민감해지고 있고, 또 외교정책에 국민정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는 시류를 감안할 때 향후 중국 정부가 친북 일변도의 정책을 고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