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임일영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최치봉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백민경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 시진핑 사직說까지 中, 권력교체 플랜B”

    열흘째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부주석의 안위를 놓고 온갖 소문이 돌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차기 지도부 구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홍콩 빈과일보는 11일 최근 베이징 정가에서 차기 지도부 계승에 관한 ‘플랜 B’설이 돌고 있다고 전했다. 기존에 알려진 대로 시 부주석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뒤를 잇고, 리커창(李克强) 부총리가 총리직을 맡는 구도 대신 리 부총리가 공산당 총서기직을 맡고 왕치산(王岐山) 부총리가 총리직에 오른다는 것이 ‘플랜 B’의 내용이다. 후 주석은 공산당 총서기직도 겸하고 있다. 빈과일보는 시 부주석이 중풍이나 정신적인 문제를 포함해 중병을 앓고 있다는 설과 시 부주석이 지도부 내의 권력 투쟁 압력을 견디지 못해 사직했다는 설도 돌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오는 21일 광시(廣西)성 난닝(南寧)에서 열리는 제9회 중국·아세안 엑스포에 시 부주석이 참석하기로 돼 있다면서 이 행사에도 시 부주석이 불참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시 부주석이 운동을 하다 다쳤을 가능성을 재차 제기했다. 통신은 이 소식통이 시 부주석이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과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의 면담을 취소했을 당시 “시 부주석이 평소와 마찬가지로 수영을 하러 갔다가 등을 다쳤다.”고 말한 것으로 전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시 부주석의 상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전날과 마찬가지로 “관련 소식을 알려줄 것이 없다.”고 답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日 센카쿠 국유화에 댜오위다오 영해 기선 선포 ‘강수’

    중국이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전방위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어 양국 관계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전망이다. 중국은 11일 일본 정부가 센카쿠 국유화 절차인 매매계약을 체결하자 해양감시선 2척을 센카쿠 해역에 파견하며 맞대응했다. 전날 일본이 센카쿠 국유화를 결정하자 기다렸다는 듯 영해기선을 선포한 데 이은 즉각적인 조치다. 중국 해감선과 일본 경비선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긴박한 국면이 전개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각의에서 센카쿠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3개 섬을 사들이기 위해 예비비 20억 5000만엔(약 296억원)을 지출하기로 결정하고, 섬 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정부가 사들인 섬은 우오쓰리시마, 미나미코지마, 기타코지마다. 후지무라 오사무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센카쿠의 취득과 유지는 일본 영토 일부의 토지 소유권을 전 소유자로부터 국가로 이전한 것으로, 타국(중국)과의 사이에 문제를 야기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중국과 타이완은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는 불법·무효이므로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중국 국방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발표한 담화에서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는) 중국의 영토 주권을 심각히 침해한 것”이라며 “사태 발전을 주의 깊게 지겨보면서 상응하는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분쟁 추이에 따라 중국군이 개입할 수도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일본에 보낸 것으로 풀이돼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타이완 정부도 이날 외교·안보 분야 각료 등이 참석한 국가안전회의를 열고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에 항의해 자국 대사 격인 주(駐)일본 대표를 소환하기로 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 포스코·현대, 中 동북3성에 ‘물류 허브’

    포스코·현대, 中 동북3성에 ‘물류 허브’

    포스코와 현대그룹이 중국 동북3성의 ‘물류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지린(吉林)성 훈춘(琿春)에 ‘교두보’를 마련했다. 두 기업 합작으로 건설되는 훈춘 국제물류단지는 동해로 쏟아져 나올 중국 동북지방의 막대한 물류를 겨냥한 것으로, 장기적으로는 대북사업 진출을 위한 거점기지 역할까지 할 것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포스코와 현대그룹은 10일 중국 지린성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 훈춘의 국제합작시범구에서 포스코·현대국제물류단지 착공식을 가졌다. 총사업비는 2000억원으로 포스코가 80%를 대고, 공동투자사인 현대그룹이 20%를 투자한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착공식에서 “이번 사업은 중국 정부의 창지투(長吉圖·창춘~지린~두만강유역) 개발 프로젝트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동북3성 내 물류거점으로서 경제교역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훈춘은 낙후된 동북3성 개발의 핵심인 동해 출구를 열어줄 북한 나선(나진·선봉), 청진 그리고 러시아의 하산·자루비노항으로 연결되는 요충지다. 훈춘 국제합작시범구 한가운데에 건설하는 물류단지에는 물류창고, 컨테이너 야적장, 집배송 시설 등이 들어선다. 물류단지에서 자루비노항·나선항·청진항까지는 각각 약 60㎞·70㎞·150㎞ 떨어져 있다. 포스코 측은 향후 50년간 ㎡당 175위안(약 3만원)에 이 부지를 임차해 사용하기로 했다. 사업은 시장 여건 등 리스크를 감안해 3단계로 나눠 추진한다. 이날 착공한 1기 공사는 내년 말 완공돼 2014년 1월부터 운영된다. 2, 3기 공사는 2019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단지 전체 150만㎡(약 45만평) 부지 가운데 1단계 개발규모는 30만㎡다. 아직까지 북한 나진항 이용이 가시화되지 않아 현재로선 러시아 자루비노 항구를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해 출항로가 막혀 있는 지린성과 헤이룽장(黑龍江)성의 물류를 수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지역은 현재 1000㎞가 넘는 내륙 노선을 돌아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과 잉커우(營口)를 통해서만 바다로 나갈 수 있다. 하지만 나선항이 열리면 물동량이 향후 8년간 210% 정도 성장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와 있다. 남북관계 개선 이후에는 대북사업의 거점이 될 것이란 기대감도 크다. 북한의 석탄, 철광석 등 원자재를 직접 개발해 나진항을 통해 국내로 들여오는 것이 골자다. 현대그룹 현정은 회장도 착공식에서 “훈춘에 대한 투자는 동북아 태평양 해양물류 시대를 대비하는 동시에 미래 한반도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훈춘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홍콩 “중국식 국민교육, 학교 재량으로”

    홍콩 정부가 ‘세뇌교육’ 논란을 빚었던 중국식 국민교육 도입 계획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정부의 조치가 조건부라며 반발해 논란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홍콩 행정수반 렁춘잉 행정장관은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교육 도입 계획을 철회하고 도입 여부는 일선 학교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홍콩 당국은 이달 신학기부터 초등학교에 국민교육을 시범과목으로 도입했으며, 내년부터는 중·고교에서 국민교육을 시범 시행하고 3년 뒤에는 이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홍콩 시민들은 공산당 일당 체제의 우월성을 가르치는 중국식 국민교육은 홍콩의 체제를 보장한 일국양제(一國兩制)를 무너뜨리려는 세뇌 조치라며 지난 7월 말부터 대규모 거리 시위를 벌여 왔다. 정부의 양보에도 불구하고 일부 민주계 인사들은 향후 반대 시위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홍콩 정부의 철회 결정이 의회 격인 입법회 선거를 하루 앞두고 전격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선거용’이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교육반대대학연맹 황루이훙(黃瑞紅)은 “정부가 일선 학교 스스로 국민교육 도입 여부를 결정토록 했지만, 이 경우 여러 가지 행정 수단을 통해 일선 학교에 압력을 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다.”며 “당장 선거에서 친중국계 인사들이 당선되도록 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선거 후에) 번복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렁 장관은 “결코 베이징(당 중앙)으로부터 지시를 받았거나 입법회 선거를 염두에 둔 조치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한편 홍콩의 의회 격인 입법회 의원을 뽑는 선거가 9일 홍콩 전역에서 실시됐다. 이번 선거에서는 총 70명의 의원이 선출된다. 이 중 35명은 지역구 의원으로 유권자 350만명이 참여해 직선제로 선출되며, 나머지 35명은 직능별로 선출된다. 직능대표 선출은 간선제로 진행되나 이 중 5석은 유권자들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태평양 패권 다툼 美·日-中 공중전

    태평양 패권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일본, 중국이 태평양상의 공중정찰을 대폭 강화했다. 미국과 일본은 무인기 정찰을 강화키로 했고, 중국은 위성을 통한 감시에 나섰다. ●‘중국 봉쇄’ 미·일, 괌 무인정찰기 공동사용 미국과 일본이 중국의 세력확장을 견제하기 위해 미군의 괌 기지를 함께 사용하는 군사협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교도통신이 7일 보도했다. ‘중국 봉쇄’에 초점을 둔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정책에 맞춰 괌 기지를 핵심 허브로 만드는 것으로, 미군과 일본 자위대는 중국의 군사활동 감시를 위해 무인정찰기의 원격 조종을 위한 설비, 격납고 등을 공동 사용하게 된다. 미군은 현재 괌 기지에서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3대 운용하고 있다. 자위대도 글로벌호크를 도입, 괌에 배치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2020년까지 여러 대의 무인정찰기를 도입하기로 했다. 미군도 글로벌호크 개량형인 ‘트라이턴’ 배치를 검토 중이다. ●중, 2020년까지 해양위성 8기 발사 중국은 이에 맞서 오는 2020년까지 해양위성을 대거 발사해 태평양 연안의 정찰활동을 대폭 강화한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황옌다오(필리핀명 스카버러), 시사(西沙)군도 등의 부속 도서 전체 및 해역을 감시하기 위해 향후 8년 동안 해양위성 8기를 발사할 계획이다. 중국은 현재 3기의 해양위성으로 황옌다오 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 해양위성을 추가 발사하면 감시 범위가 동중국해까지 확대되는 것은 물론 악천후 시에도 목표 지역에 대한 정확한 감시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잉주 “日, 댜오위다오 국제법 해결 왜 피하냐” 한편 일본이 오는 11일 센카쿠열도 매입 절차를 마치고, 국유화를 선언할 방침인 가운데 타이완의 마잉주(馬英九) 총통은 이날 헬리콥터 편으로 센카쿠열도와 인접한 타이완 최북단 섬 펑자위(彭佳嶼)를 방문, 현지 정세를 살폈다. 마 총통은 일본의 국유화 추진에 대한 대응을 묻는 기자들에게 “독도 문제는 국제법으로 해결하려 하면서 왜 댜오위다오 분쟁은 그런 방법을 피하려고 하는 것이냐.”면서 “역사적으로 일본의 댜오위다오 취득 과정은 국제법 위반이며, 기본적으로 침략 행위이자 강탈 행위”라고 비난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장쩌민측 습격설·권력투쟁설 뒤로 사라진 中미래권력 시진핑

    중국의 권력교체가 이뤄질 18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를 한 달 남짓 앞두고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관련된 각종 괴소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단초는 중국 당국이 제공한 측면이 있다. 지난 6일 중국 측은 시 부주석이 10일 덴마크 총리와 회동할 계획이라며 건강이상설 등을 불식시켰지만 하루 만인 7일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시진핑 부주석 대신)국무원의 고위층이 덴마크 총리와 회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5일 시 부주석이 미국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의 회동을 전격 취소하면서 그와 관련된 괴소문이 나돌았다. ‘공을 차다 허리를 다쳤다.’ ‘수영하다 등을 다쳤다.’ 등 처음엔 건강이상설과 미국에 대한 불만 때문에 회동을 취소한 것이라는 분석이 대부분이었지만 전날부터는 권력투쟁설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실제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는 시 부주석이 습격을 당해 현재 최고위급 인사들이 이용하는 군 병원인 베이징의 ‘301병원’에 입원해 있으며, 내부인사로부터 습격을 당한 것이라는 내용의 글이 떠돌고 있다. 해외에 서버를 둔 반체제 중화권 매체들도 “시 부주석이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 처리 결정에 동조한 데 대해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측이 분노해 공격했다.”며 구체적인 정황들을 전했다. 시사평론가 류밍(劉銘)도 “3일 오후 5~6시쯤 베이징 고위층 간 총격전이 벌어져 경위 등 여러 명이 부상했고, 301병원의 경계가 대폭 강화됐다는 소문도 있다.”고 말했다. 중국 언론들은 지난 1일 중앙당교 개학식 참석을 마지막으로 시 부주석의 동정을 보도하지 않고 있어 그의 동정이 추가로 보도되기 전까지는 의혹이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로이터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 시 부주석이 최근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장남으로 개혁파 인사인 후더핑(胡德平)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상무위원을 만나 정치 및 경제개혁 구상을 밝혔다고 보도했지만 회동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덴마크 총리와 10일 전격 회동

    ‘불만표출설→허리부상설→권력투쟁설’ 다음달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총서기에 올라 대권을 거머쥘 예정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지난 1일 이후 공식석상에 일절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각종 소문이 무성하게 퍼지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중국은 시 부주석과 덴마크 헬레 토르닝슈미트 총리의 10일 회동계획을 전격 공개했다. 6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는 시 부주석이 전날 미국 힐러리 클린턴 장관과의 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을 계기로 권력투쟁설이 확산됐다. ‘회담취소’ 등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시 부주석이 입원한 것은 ‘왕위’ 계승 플랜에 변동이 생겼다는 신호다.”, “시 부주석이 내부 인사로부터 배신을 당했다.”는 등의 확인되지 않은 괴소문이 온갖 은어와 기호로 표기된 채 떠올랐다. 삭제를 피하기 위해 클린턴 장관은 ‘HC’, 시 부주석은 ‘북방 고위층’ 등으로 표현돼 있다. 홍콩 시사평론가 린허리(林和立)는 “권력교체가 예정된 중요한 시기에 시 부주석이 중요한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것은 긴히 처리해야 할 ‘돌발사건’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권력투쟁설에 힘을 실었다. 외신 및 중화권 언론들도 각종 추측을 쏟아냈다. 당초 클린턴 장관과 양제츠(楊潔?) 외교부장의 공동 기자회견이 전날 30분 앞당겨지면서 회담 취소 사실이 공개됐고, 중국이 미국의 ‘아·태정책’에 대한 불만을 회담 취소라는 방식으로 표출했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클린턴 장관이 이번 아·태 순방길에 남중국해 문제를 집중 제기하는 등 ‘중국 봉쇄’에 골몰한 만큼 차기 지도자가 만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홍콩 명보가 분석했다. 반면 워싱턴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회동 직전인 지난 4일 밤 11시쯤 시 부주석의 허리 부상을 내세워 회담 취소를 통보했고, 시 부주석은 싱가포르 리셴룽 총리와의 회담도 취소했다.”며 미 관리가 전한 ‘허리부상설’을 보도했다. 하지만 홍콩 언론들은 “미국의 체면을 고려해 싱가포르 총리와의 회동도 취소한 것”이라며 여전히 ‘불만표시’에 무게를 뒀다. 중국 언론들은 시 부주석이 지난 1일 공산당 중앙당교 행사에 참석한 것을 마지막으로 그의 동정을 보도하지 않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왕리쥔 정식기소… ‘형량 가벼운’ 배반도주죄

    지난 2월 쓰촨(四川)성 청두(成都) 미국 총영사관으로 망명을 시도해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부인 구카이라이(谷開來)의 살인 사건이 공개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왕리쥔(王立軍) 전 충칭시 부시장 겸 공안국장이 검찰에 정식 기소됐다. 당초 예상대로 종신형이 선고될 수 있는 국가안전위해죄 대신 통상 5년형 이하로 형량이 가벼운 배반도주죄가 적용됐다. 왕 전 부시장이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 법의 왜곡 ▲배반도주 ▲직권남용 ▲뇌물수수 등 4개 혐의로 쓰촨성 청두시 인민검찰원에 의해 기소됐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5일 보도했다. 이달 중순쯤 청두시 중급인민법원에서 재판이 열릴 예정이다. 검찰은 기소장에서 왕 전 부시장이 구카이라이가 영국인 사업가 닐 헤이우드를 살해한 혐의를 인지하고도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 구카이라이에 대한 형사적 책임을 묻지 않는 등 직무를 위배했다고 밝혔다. 앞서 외신들은 구카이라이가 헤이우드를 독살한 뒤 이를 왕 전 부시장에게 고백했으며 왕 전 부시장이 이 고백 내용을 녹음했다고 전한 바 있다. 검찰은 또 왕 전 부시장이 공직자로서 함부로 자리를 이탈해 미 총영사관으로 망명한 것은 배반도주죄에, 상부의 허가 없이 도청 장치를 사용한 것은 직권남용죄에, 직무상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거액의 뇌물을 받은 것은 뇌물수수죄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당초 중화권 언론들은 배반도주 혐의가 적용될 경우 비교적 가벼운 형량을 선고받을 것으로 관측했다. 그러나 배반도주 혐의로 기소되더라도 왕리쥔은 국가기밀을 다루는 공직자여서 가중 처벌될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됐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정부, 中에 ‘김영환 고문’ 재조사 촉구

    우리 정부가 한·중 영사국장 회의에서 중국 측에 김영환씨 고문 사건에 대한 재조사와 재발 방지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 안영집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국장은 5일 베이징의 중국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영사국장 회의에서 중국 측의 황핑(黃屛) 외교부 영사사 사장(司長·국장급)에게 김씨의 서울대 병원 정밀진단 결과를 건네면서 중국 측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양국 간 영사국장 회의는 김씨 사건 이후 처음 열렸다. 우리 측이 건넨 검진 결과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진단과 더불어 이는 감금 당시 고문 등에 따른 정신적·신체적 외상의 후유증으로 추정된다는 의견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측은 이와 관련, “한국의 요구에 따라 성실하게 재조사를 실시했으나 김씨가 주장한 고문 여부에 대한 사실 확인을 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고 주중 한국 대사관 측이 전했다. 또 서울대 병원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조사를 실시할 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양국은 이날 회의에서 ‘영사 핫라인’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또 2002년부터 논의를 시작한 영사협정을 이른 시일 내에 체결하자는 데 공감하고 조만간 이를 위한 제5차 실무협상을 열기로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韓·조선족 가까이 하지마”

    한국과 중국이 공동 주최한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행사에 한국 측이 초청한 조선족 인사 수십 명이 중국의 반대로 참석하지 못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5일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주최 측인 인민대외우호협회는 지난달 3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수교 20주년 경축 리셉션을 하루 앞두고 우리가 초청한 조선족 인사 30여명을 참석자 명단에서 모두 제외하라고 통보했다. 우리 측이 이의를 제기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주중 한국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이날 행사에는 곧 국가주석직을 승계할 예정인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깜짝’ 참석해 한·중 우호를 과시하기도 했다. 소식통은 “시 부주석이 참석하기로 하면서 중국 최고지도부 비서실 격인 중앙판공청이 인민대외우호협회로부터 참석자 명단을 넘겨받아 심사했고, 그 결과 조선족들이 집단 배제됐다.”면서 “전날까지도 아무런 이의 제기가 없었다는 점에서 의도적인 조선족 배제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 측이 초청한 조선족 인사들은 대부분 기업인들로 중국 내 정·관계 인사는 없었다. 행사에 관여한 중국인민외교학회 황싱위안(黃星源) 부회장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행사 취지와 관련 없는 조선족 인사를 불러야 한다는 논리가 잘못됐다.”면서 “격을 맞추기 위한 결정에 따른 것으로, 확대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동북공정’을 통해 중국 영토 내 ‘한국 흔적 지우기’에 골몰해 왔다는 점에서 조선족과 한국인의 민족적 유대감이 커지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 하나의 사례라는 것이 베이징 외교가의 분석이다. 최근 대대적으로 자치주 설립 60주년 행사를 개최한 옌볜조선족자치주가 기념행사에 이규형 주중 한국대사를 초청하지 않은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 간 힐러리, 후진타오·시진핑과 ‘센카쿠 조율’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4일 1박 2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했다. 미국이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미·일 상호방위조약 대상이라며 중·일 간 영토 분쟁에서 일본을 지원하고 있는 데다 중국이 남중국해 국가들과 ‘평화로운 방식’으로 영토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경고하는 등 중국을 압박하는 모양새여서 회담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클린턴 장관은 4일 밤 베이징 도착 직후 곧바로 외교부에서 양제츠(楊潔?) 외교부장과 만나 남중국해 문제와 센카쿠열도를 주제로 회담을 가졌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언론에 공개된 모두 발언에서 “오늘밤 중요한 지역적 이슈와 국제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들에 대해 중국 측과 이야기할 기회를 갖게 돼 기쁘다.”며 포문을 열었다. 이에 양 부장도 “양국 지도자가 합의했듯 우리는 건설적이고 우호적인 파너트십 구축을 위해 중요한 국제 문제들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싶다.”고 응수했다. 클린턴 장관의 이번 아시아·태평양 6개국 순방은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이 남중국해 영토 분쟁에서 중국에 맞서 싸우도록 협력을 촉구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는 등 ‘중국 봉쇄’ 성격이 짙다. 이번 순방에 남중국해 분쟁에서 중립을 지켜 온 인도네시아와 브루나이를 포함시킨 의도 역시 중국의 의심을 사고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 분쟁의 경우 당사국 간 개별 협상을 통해 해결할 일이라며 미국의 간여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센카쿠열도 갈등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 목청을 높인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이 패전국인 일본의 불법 점유를 방임해 사태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이날 “미국은 댜오위다오 주권 문제에 대한 중립성(입장을 갖지 않는 태도)을 성실히 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장관은 5일 오전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차기 국가주석직을 예약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잇따라 회동한 뒤 양 부장과 공동 기자회견을 갖는다. 이어 오후 원자바오(溫家保) 총리, 다이빙궈(戴秉?)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릴레이 회동을 가진 뒤 중국을 떠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日 “독도 공시지가 6300만원”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국유재산대장에 올려놓고 공시지가까지 산정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일본 외무성의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어업의 변천’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1945년 11월 1일 독도를 대장성(재무성의 전신)국유재산대장에 등록했다. 등록명은 ‘다케시마방어구’이고, 재산의 종류는 미개척 벌판을 의미하는 ‘원야’(原野)로 분류해 놓았다. 면적은 23만 1371.89㎡(약 7만평)로 계산했다. 토지의 연혁에는 ‘일본군 해군에서 2000엔에 넘겨받았다.’고 적혀 있다. 일본은 독도를 국유재산대장에 등록하면서 공시지가도 산정하기 시작했다. 독도의 공시지가는 1947년 3510엔에서 2001년에는 532만엔까지 올라갔지만 지난 3월 말에는 437만 1594엔(약 6300만원)으로 떨어졌다. 이는 일본이 독도의 땅값을 시마네현의 미개척 벌판과 비슷하게 산정하기 때문으로 시마네현 땅값이 내려가면서 덩달아 하락했다. 우리나라 국토해양부가 지난해 1월 1일 기준으로 산정한 독도의 자산가치는 73억 7000만원이었고, 지난 5월 경상북도가 발표한 올해 1월 기준 독도의 공시지가는 12억 5200만원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20억 5000만엔(약 300억원)에 매입, 국유화하기로 했다. 이날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달 중으로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민간인 소유였던 3개 섬을 국유화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이 댜오위다오에 대해 ‘국유화’ 시도로 불법적인 입장을 강화하는 것은 헛수고에 불과하다.”고 항의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 왕양, 中 최고 지도부에 최종 낙점?

    왕양, 中 최고 지도부에 최종 낙점?

    다음 달 중순 중국 공산당 제18기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이뤄질 권력교체의 밑그림이 완성됐다.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이 현재 9명에서 7명으로 축소되는 가운데 관심의 초점이던 왕양(汪洋) 광둥성 당서기의 최고 지도부 진입이 확실시 된다고 홍콩 명보가 3일 보도했다. 7명으로 축소된 최고지도부는 이미 각각 국가주석 및 공산당총서기, 국무원 총리 자리를 예약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 부총리 외에, 리위안차오(李源潮)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장, 왕치산(王岐山) 부총리, 위정성(?正聲) 상하이시 당서기, 장더장(張德江) 부총리 겸 충칭(重慶)시 당서기, 그리고 왕 서기가 유력하다고 신문은 전했다. 왕 서기는 당초 7인 가운데 마지막 한 자리를 두고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 선배인 류윈산(劉雲山) 중앙선전부 부장,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계열인 상하이방 출신의 장가오리(張高麗) 톈진(天津)시 당서기와 경합하다가 최종 낙점됐다는 것이다. 왕 서기는 그동안 좌파인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의 분배에 역점을 둔 ‘충칭모델’에 맞서 분배를 위한 성장에 방점을 찍는 ‘광둥모델’을 추진해왔다. 그의 최고지도부 입성을 두고 중국 공산당이 권력교체 이후에도 개혁·개방 노선을 견지할 것이란 해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일각에선 또 다른 ‘시나리오’도 흘러나온다. 서열 4위 후보까지는 변동이 없는 가운데 왕 서기와 장가오리 톈진시 당서기, 그리고 홍일점인 류옌둥(劉延東) 정치국 위원의 입성 가능성을 담은 ‘플랜B’가 그것이다. 류윈산 부장·장더장 당서기·위정성 당서기는 연령이 너무 많아 시 부주석이 국정을 펴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명보는 그럼에도 덩샤오핑(鄧小平) 일가와 장쩌민 전 주석의 지원을 받고 있는 위 서기는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최고지도부가 7명으로 줄게 되면 언론과 선전(서열 5위) 및 공안과 사법(서열 9위) 담당 상무위원 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시진핑, 요직 인사 착수… 권력인수 나서

    다음 달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총서기에 올라 대권을 거머쥘 예정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59) 부주석이 본격적으로 ‘인사’를 챙기는 등 권력인수에 나섰다.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의 비서실장 격인 중앙판공청 주임에 리잔수(栗戰書·62) 전 구이저우(貴州)성 당서기가 선임됐다고 2일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후진타오 주석의 ‘오른팔’이자 ‘복심’이었던 링지화(令計劃·56) 현 주임은 상대적으로 한직인 공산당 통일전선부 부장으로 옮겼다. 이번 중앙판공청 주임 인사는 시 부주석의 입김이 반영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중앙판공청은 공산당 지도부, 특히 총서기의 의중을 정책으로 입안해 집행하는 부서이기 때문에 책임자는 항상 ‘총서기의 남자’가 맡았다.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시절의 쩡칭훙(曾慶紅), 후 주석 시대인 현재의 링지화가 그랬다. 리 신임 주임이 후 주석을 필두로 하는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으로 분류되면서도 중앙판공청 주임 자리를 차지한 것은 그만큼 시 부주석의 신임이 높다는 뜻이다. 실제 리 주임은 허베이(河北)성 우지(無極)현 당서기 재직 당시 옆 마을인 정딩(正定)현당서기이던 시 부주석을 알게 돼 ‘깊은 인연’을 쌓아온 것으로 전해진다. 각 계파가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인물이었다는 점이 리 주임의 강점이었던 셈이다. 중앙판공청 주임이 새로 선임된 만큼 곧 전면적인 인사개편이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후진타오의 남자’인 링지화가 한직으로 밀려난 것은 지난 3월 페라리를 몰고가다 나체 상태에서 음주교통사고로 즉사한 외아들 사건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금도 중국 내 인터넷에선 ‘페라리 차 사고’가 검색 금지어로 지정돼 있다. 한편 후 주석은 퇴임 후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는 대신 자신의 측근인 리커창(李克强·58) 부총리를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선임하는 방식으로 군부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장 전 주석은 국가주석과 공산당 총서기직에서 물러난 뒤 2년간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내놓지 않고, 군부 통제권을 유지했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식 국민교육 도입 반대” 홍콩주민 4만여명 또 시위

    중국 공산당 정치체제의 우수성을 담은 ‘중국식 국민교육’ 과목 도입을 앞두고 홍콩 주민들의 반대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홍콩 당국은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과목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맞서고 있어 향배가 주목된다. 홍콩 주민 4만여명이 지난 1일 정부청사 앞에서 ‘중국식 국민교육’ 과목 도입 반대 시위를 벌였다고 국제뉴스 전문 채널인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RFI)이 2일 보도했다. 시위는 지난 7월 말에 이어 두 번째로 3일 또 한 차례 예정돼 있다. 시위대는 자유, 인권 그리고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홍콩의 ‘핵심가치’를 지키기 위해 중국식 국민교육 과목 도입을 반대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침례교 목사인 주야오밍(朱耀明)은 자신을 소년 공산당 조직인 소년선봉대 출신이라고 소개한 뒤 “중국 공산당의 애국 교육은 전형적인 우민화 교육이다.”라고 주장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한국처럼”… 中, 뉴욕타임스에 영토 광고

    중국에서 왕성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한 천광뱌오(陳光標) 장쑤황푸그룹 회장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중국 땅이라는 내용의 주권선포 광고를 미국 뉴욕타임스에 게재해 중국 네티즌들로부터 큰 지지를 얻고 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뉴스포털인 인민망은 2일 천 회장이 지난달 31일자 뉴욕타임스에 중국어와 영어로 “일본 우익분자들이 중국의 고유 영토인 댜오위다오(釣魚島)를 침범했다. 미국인들이여, 만약 일본인들이 하와이가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한다면 어떤 기분이 들겠는가?”라는 내용의 지면 광고를 선보였다고 전했다. 천 회장은 이번 광고에 3만 달러(약 3400만원)를 사용했으며, 일본의 요미우리신문에도 댜오위다오 주권 선포 광고를 내기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천 회장의 뉴욕타임스 ‘댜오위다오 광고’는 가수 김장훈과 서경덕 성신여대 객원교수의 ‘독도 광고’를 연상케 한다. 앞서 중국 관영 언론들은 ‘한국인들의 독도 수호 역사와 실효지배 전략을 배우자’고 강조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北·日 국장급 본회담 개최 합의

    북한과 일본이 4년 만의 첫 정부 간 회담을 마무리하고 납북자 문제 등을 논의할 국장급 본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31일 중국 베이징의 일본대사관에서 유성일 북한 외무성 일본과장과 오노 게이치 일본 외무성 동북아과장을 대표로 마지막 과장급 회담을 갖고 국장급 본회담을 열어 ‘관심사항’에 대해 논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일본 언론은 북한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의제에 포함하는 것을 수용했다고 전했다. 국장급 회담은 이르면 이달 중 열릴 것으로 보인다. 본회담에는 송일호 외무성 북·일 교섭 담당 대사와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도통신은 납치 가능성이 있는 특정실종자 문제, 1959∼1984년 재일동포와 함께 북한으로 건너간 일본인 처의 귀국 문제, 일항기 요도호 납치범 송환 문제 등이 국장급 회담의 의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 정부는 ‘상호 관심사항’을 논의하기로 합의한 것을 두고 비록 모호한 표현이지만 납치 문제에 관해 상당 부분 관철된 것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후지무라 오사무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 측 관심사에 납치 문제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양측은 지난 29일부터 열린 이번 회담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향후 본회담 의제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두고 기싸움을 벌였다. 하지만 이날 합의로 오히려 북·일관계 개선의 여지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rlee@seoul.co.kr
  • 中 ‘짝퉁’ 업자에 종신형

    중국 법원이 짝퉁 에르메스 가방 제조업자에게 이례적으로 종신형을 선고했다. 광둥(廣東)성 허위안(河源)시 중급인민법원이 이달 초 짝퉁 에르메스 가방을 제작, 생산, 판매한 샤오전창(肖振强)에게 개인 재산 전액 몰수와 함께 종신형을 선고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범 3명에게도 징역 7∼10년과 벌금 50만∼80만 위안(약 9000만~1억 2400만원)의 중형이 선고됐다. 샤오는 지난 2월 광둥성 둥위안(東源)현에서 짝퉁 에르메스 공장을 운영하다 당국에 적발돼 공장을 폐쇄당했으나 석달 뒤 기술자 3명을 끌어모아 또다시 짝퉁 가방을 만들다 검거됐다. 로펌 앨런 오버리의 중국 지적재산권 담당 대표인 벤저민 바이는 “매년 수천명이 짝퉁 명품 제조 혐의로 검거되지만 대부분 징역 3∼7년형을 선고받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처벌은 매우 무거운 편”이라고 말했다. 중국 법원이 짝퉁 제조업자에게 종신형을 선고한 것과 관련, 중국이 시장경제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강력한 짝퉁 근절 의지를 보여준 것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 차기 최고지도부 입성을 노리는 왕양(汪洋) 광둥성 당서기가 권력 교체가 예정된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자신의 실적 과시를 위한 정치적 행보를 보인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왕 서기는 지난 3월 정치 개혁 토론회에서 “지적재산권 보호 체계를 갖추고 위반 사례를 강하게 처벌하지 않는다면 경제 개혁과 발전은 어렵다.”고 강조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손 벌린 메르켈에 “EU 국채투자 지속”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중국으로부터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진일보한 답변을 이끌어 냈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30일 위험을 충분히 관리한다는 전제 아래 유럽연합(EU) 국채 투자를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원 총리가 이날 중국을 방문한 메르켈 총리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제2차 중·독 총리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원 총리는 또 중국이 EU, 유럽중앙은행 등과 함께 부채로 고통받는 EU 회원국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 총리는 그러나 어떤 채권을 얼마나 매입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메르켈 총리가 방중 전 이미 이탈리아와 스페인 국채 투자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는 점에서 중국의 긍정적인 답변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상황이다. 하지만 원 총리의 ‘화답’이 기대에 부합하는 수준인지는 불투명하다. 원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메르켈 총리로부터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들었지만 과연 제대로 실행될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앞서 메르켈 총리는 지난 2월 초에도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해 방중,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등에 대한 투자를 요청했지만 중국은 각종 기금에 대한 참여 확대만 언급했을 뿐 구체적인 약속은 하지 않았었다. 중국이 유럽 지원에 대한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던 ‘시장경제 지위 인정’과 ‘첨단기술 수출 제한 완화’ 등의 현안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만큼 이번에도 ‘성의’ 표시만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러나 메르켈 총리는 중국으로부터 큼지막한 ‘선물 보따리’를 챙겼다. 중국이 유럽 브랜드인 에어버스 항공기 A320 50대를 구매하기로 했다. 35억 달러(약 4조원) 규모다. 메르켈 총리는 31일 톈진(天津)의 에어버스 조립 공장을 방문한다. 인권 문제도 제기했지만 그다지 큰 목소리는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중국 주재 독일 특파원들은 방중을 앞둔 메르켈 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중국 당국이 비자 갱신 거부 위협이나 중국인 직원들에 대한 협박 등의 방법으로 취재를 방해하고 있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메르켈 총리의 방중은 2005년 11월 취임 이후 여섯 번째이며 올 들어 벌써 두 번째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북·일회담 ‘일본인 납치’ 의제 놓고 파행

    4년 만에 재개된 북한과 일본의 정부 간 회담이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가로막혔다. 회담은 31일 하루 더 열린다. 북한과 일본은 30일 전날에 이어 각각 유성일 북한 외무성 일본과장과 게이치 오노 일본 외무성 동북아과장을 대표로 베이징의 북한대사관에서 향후 열릴 국장급 본회담 공식 의제를 조율했으나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둘러싸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둘째 날 회담은 시작부터 파행을 겪었다. 당초 오전 8시 30분부터 열릴 예정이었으나 북한이 일본 측의 납북자 의제화 요구에 불만을 표출하며 협상테이블에 앉기를 거부해 3시간여 늦은 오전 11시 40분쯤에서야 겨우 시작됐다. 오전에 회담을 마치고 오후 비행기로 귀국하려던 일본 대표단은 오전 내내 숙소인 창푸궁(長富宮)호텔 정문 앞에서 북측의 통보를 기다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은 1시간 50분 만에 종료됐다. 전날처럼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한 기존 주장만 되풀이하면서 평행선을 달렸다. 일본은 납북자 문제가 논의되지 않는다면 국장급 본회담을 열기 어렵다고 주장한 반면 북한은 2002년 북·일 정상회담 합의로 일본인 5명을 돌려보내 납북자 문제가 종결됐다며 맞섰다. 양측은 후일을 기약하지 않고 회담장을 나왔으나 일본 측이 회담을 하루 더 열자고 제안했고, 북측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파국을 면했다. 양측은 당초 29일부터 최장 2박3일간 협상을 벌이기로 한 바 있다. 그러나 양측이 31일에도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다음 달로 예정된 국장급 본회담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진다. 4년 만에 물꼬를 튼 북·일 간 대화의 지속 여부가 31일 회담에 달려 있는 셈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