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중국측 역사왜곡 실태

    중국측 역사왜곡 실태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것은 지난 2002년 무렵이다. 겉으로는 동북지역 역사에 관한 연구라는 이름으로 포장했으나 실제로는 한반도 통일 이후 제기될 수 있는 동북지역 영토 귀속 분쟁과 헤이룽장(黑龍江)성, 지린(吉林)성, 랴오닝(遼寧)성 등 동북 3성과 관련 있는 소수민족을 통제하려는 목적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관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을 동원해 당초 5년 시한으로 추진됐던 프로젝트가 지금까지 계속 확대 진행되고 있다. 고구려와 발해 등을 포함해 고대 동북지역 부족 및 국가의 역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기 위해 ‘고대 동북 속국·방국사’ 발간을 중앙정부가 전폭 지원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현재의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와 문화는 중국에 귀속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연구 대상에는 고구려, 발해, 고조선, 부여뿐만 아니라 중국 동북 3성 안에서 일어난 모든 역사가 포함되어 있다. 지난 8월에는 만리장성의 길이를 기존 발표치보다 2배 이상 늘어난 2만 1196㎞라고 주장하면서 그 동쪽 끝을 고구려와 발해가 지배하던 지린성과 헤이룽장성까지라고 억지주장을 펴기도 했다.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동북공정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의도다. 관영 중국중앙(CC)TV는 지난해 말 한 달여에 걸쳐 매주 토요일마다 ‘창바이산’(長白山·백두산의 중국식 이름)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발해를 세운 주체가 중국 동북지역의 소수민족으로, 발해가 당나라의 지방정부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713년 당나라 황제 현종이 대조영을 발해의 군왕으로 책봉했다고도 주장했다. 역사적 사실과 배치되는 내용 일색이어서 논란이 됐다. 중국은 또 지난해 6월 자국 내 소수민족의 민요와 풍습이 포함된 제3차 국가무형문화유산을 발표하면서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의 ‘아리랑’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 지도부의 두 모습] 원자바오의 위선… 3조원 갑부

    다음 달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이후 사실상 공직에서 물러나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일가의 재산이 무려 3조원에 가까운 것으로 추산된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25일(현지시간) 폭로했다. 중국 정부는 즉각 자국내 인터넷을 통한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접속을 차단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원 총리의 부인, 자녀, 동생, 어머니 등의 명의로 등록된 재산은 최소 27억 달러(약 2조 9592억원)에 이른다. 원 총리 일가가 보유한 자산은 은행 주식과 귀금속, 리조트 회원권 등을 망라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원 총리 일가의 재산이 1998년 부총리에 임명된 직후부터 시작해 총리로 지낸 지난 10년 동안 집중적으로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올해 90세인 원 총리의 어머니 양즈윈(楊志雲)이 핑안(平安)보험 주식 1억 2000만 달러어치를 보유하고 있고, 폐수처리 관련 사업을 하는 동생 원자훙(溫家宏)은 2억 달러의 자산가다. 보석 업계의 ‘큰손’으로 알려진 부인 장페이리(張培莉)는 국유기업인 베이징다이아몬드보석 회장이며, 아들인 원윈쑹(溫雲松)은 사모펀드 운영으로 큰 돈을 번 뒤 역시 국유기업인 중국위성통신그룹(CSC) 회장을 맡고 있다. 원 총리는 총리직에 오른 이후 단벌 점퍼를 입고 다니며 “어린 시절 우리 가족은 매우 가난했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서민적 이미지로 각인돼 왔다. 미국으로 망명한 중국 작가 위제(余杰)는 이런 ‘위선’을 빗대 원 총리를 중국 최고의 연기자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보시라이의 몰락… 전인대 퇴출 실각한 중국의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표 자격을 박탈당했다. 불기소 특권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 사법처리 수순에 접어들 전망이다. 이로써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 자제그룹) 대표 주자로 차기 최고지도부 물망에까지 올랐던 보 전 서기는 재기 불능의 나락으로 추락했다.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는 26일 공고를 통해 보 전 서기의 전인대 대표 자격을 정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인대 상무위는 지난 23일부터 나흘간 보 전 서기 처리 문제를 논의해 왔다. 앞서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28일 뇌물수수, 직권남용, 인사규정 위반, 여성편력 등 그의 모든 범죄 행위에 대해 처벌하라고 사법 당국에 지시한 바 있다.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장, 랴오닝성장, 상무부 부장(장관)에 이어 충칭시 당서기로 공산당 서열 25위의 중앙정치국 위원까지 올랐던 보 전 서기의 몰락은 중국 내에서도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베이징 정가에서는 보 전 서기 재판이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열리는 다음 달 8일 이전에 속전속결 형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변호를 맡게 될 리샤오린(李肖霖) 변호사는 이날 “재판이 전대 이전에 열릴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일부 원로들이 중국 당국에 보 전 서기에 대한 공정한 처리를 요구하는 등 좌파들의 반발도 거세 보 전 서기 재판 결과가 주목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배트맨’에 기대 울어버린 中 인권운동가 천광청

    ‘배트맨’에 기대 울어버린 中 인권운동가 천광청

    중국의 시각장애인 인권운동가 천광청(陳光誠·왼쪽·41)이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서 배트맨 역을 맡았던 주연배우 크리스천 베일(오른쪽)을 통해 국제인권단체가 수여하는 인권상을 받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넷판 등 외신들은 26일(현지시간) 천광청이 국제인권단체 ‘휴먼 라이츠 퍼스트’(Human Right First)가 지난 24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한 특별행사에서 2012년 연례인권상을 수상했으며, 베일이 직접 상을 건넸다고 보도했다. 베일은 지난해 12월 당시 일면식도 없던 천광청을 만나기 위해 그가 가택연금 중이던 중국 산둥(山東)성 린이(臨沂)시 둥스구(東師古)촌을 찾았다가 공안들로부터 폭행당하고 쫓겨났으나 이후에도 천광청의 석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각별한 인연을 이어왔다. CNN은 천광청이 시상식에서 베일의 어깨에 기대 한참을 울먹이고, 베일도 그의 어깨를 두드리며 연거푸 격려의 박수를 치는 장면을 방영했다. 외신들은 “베일이 드디어 천광청을 만났다.”고 전했다. 베일은 시상식에서 “(천을 찾아갔던)나의 노력이 어떤 면에서는 성공적이기도 했으나 한편으론 그저 바보 같은 배우가 얻어터지는 구경거리를 제공했다.”며 둥스구촌에서 구타당한 사건을 상기시켰다. 천광청은 중국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뒤에도 지속적으로 중국의 인권 상황을 비판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타이완을 방문할 계획이다. 앞서 천광청은 중국 당국의 강제 낙태 실태를 폭로했다 장기간 가택연금을 당하는 등 박해를 받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 지도부의 두 모습] 보시라이의 몰락… 전인대 퇴출

    실각한 중국의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표 자격을 박탈당했다. 불기소 특권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 사법처리 수순에 접어들 전망이다. 이로써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 자제그룹) 대표 주자로 차기 최고지도부 물망에까지 올랐던 보 전 서기는 재기 불능의 나락으로 추락했다.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는 26일 공고를 통해 보 전 서기의 전인대 대표 자격을 정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인대 상무위는 지난 23일부터 나흘간 보 전 서기 처리 문제를 논의해 왔다. 앞서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28일 뇌물수수, 직권남용, 인사규정 위반, 여성편력 등 그의 모든 범죄 행위에 대해 처벌하라고 사법 당국에 지시한 바 있다.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장, 랴오닝성장, 상무부 부장(장관)에 이어 충칭시 당서기로 공산당 서열 25위의 중앙정치국 위원까지 올랐던 보 전 서기의 몰락은 중국 내에서도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베이징 정가에서는 보 전 서기 재판이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열리는 다음 달 8일 이전에 속전속결 형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변호를 맡게 될 리샤오린(李肖霖) 변호사는 이날 “재판이 전대 이전에 열릴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일부 원로들이 중국 당국에 보 전 서기에 대한 공정한 처리를 요구하는 등 좌파들의 반발도 거세 보 전 서기 재판 결과가 주목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이번엔 마오쩌둥 띄워 ‘좌파 달래기’

    중국 관영 언론들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지시로 이뤄진 마르크스주의 연구 성과를 찬양하고, 마오쩌둥(毛澤東)의 과감한 부패 척결 등을 집중조명했다. 18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당장(黨章·당헌)을 개정,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지도이념에서 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우경화’에 대한 좌파의 반발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된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25일 “후 주석을 중심으로 하는 당 중앙의 지시로 2004년부터 거국적으로 심혈을 기울여 진행 중인 마르크스주의 이론 연구 및 체계화 공정의 성과가 풍성하다.”며 1면 등에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의 혁명을 완성시킨 이론적 근거인 마르크스주의를 현 시대에 맞게 연구하고 체계화 하는 작업이 중요하다.”며 ‘마르크스 공정’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신문은 또 “2004년부터 3000여명의 마르크스주의 전공학자들이 ‘마르크스주의 원리’, ‘마오쩌둥 사상과 중국특색사회주의 이론’ 등 관련 교재 130여편을 만들어 각 대학에서 널리 가르치고 있다.”면서 “특히 후 주석의 ‘과학발전관’을 접목시킨 교재가 가장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마오 띄우기’에 나섰다. 통신은 이날 특집기사로 마오가 1955년 국가경위대 내 측근들의 비리를 발견하고 일명 ‘쥐새끼 청소’라는 이름하에 관련자들을 엄벌했다는 일화를 사진과 함께 대대적으로 소개하며 마오쩌둥의 혁명 정신을 강조했다. 통신은 또 6·25 전쟁 때 전사한 마오의 아들 마오안잉(毛岸英) 탄생 90주년에 맞춰 참전 장병들의 유해가 묻혀 있는 평안남도 회창군내 열사릉원이 새 단장을 마치고 전날 준공식을 가졌다는 소식도 함께 전했다. 중국 공산당 내에서 조심스럽게 드러나고 있는 마오 사상 등의 퇴색 등과 관련, 중국인민대 정치학과 장밍(張鳴)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중국 내 좌파의 힘은 여전히 막강하다.”면서 “(우파들은)이번 18차 전대의 당장 수정 과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의 색채를 다소 약화시킬 순 있겠지만 빼거나 제외시킬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언론들은 공산당 중앙정치국의 당헌 수정 소식을 전하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언급하지 않았고, 서방 언론들은 이를 마오쩌둥 사상 등의 삭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후진타오, 총참모장에 측근 임명… 군권 유지할 듯

    후진타오, 총참모장에 측근 임명… 군권 유지할 듯

    공산당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하고 있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군 최고기구인 중앙군사위에 측근들을 포진시키는 인사를 단행했다. 퇴임 후에도 군을 기반으로 권력을 손에서 놓지 않겠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전임자였던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과 마찬가지로 총서기직을 물려준 뒤에도 일정 기간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유지하려는 포석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최근 4총부(총참모부·총정치부·총후근부·총장비부)와 해군, 공군, 그리고 전략 미사일 부대인 제2포병의 수뇌부 7명에 대한 인사를 마무리했다고 홍콩 명보가 24일 보도했다. 18기 중앙군사위 윤곽이 거의 드러난 셈이다. 현 중앙군사위원 가운데 7명은 정년에 걸려 모두 물러난다. 이번 인사에서는 후 주석의 측근들이 눈에 띈다. 총참모장에 후 주석과 가까운 팡펑후이(房峰輝) 베이징군구 사령원이 승진 임명됐다. 베이징군구사령원을 끝으로 전역하는 관례를 깬 파격 인사다. 총장비부장에 역시 ‘후 주석 사람’인 장유샤(張又俠俠) 선양(瀋陽)군구 사령원이 임명됐다. 또 후 주석의 심복인 쉬치량(許其亮) 공군 사령원은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승진이 확정됐으며 나머지 한 자리의 부주석은 판창룽(范長龍) 지난(濟南)군구 사령원이 유력하다는 소문이다. 후 주석이 임명했던 웨이펑허(魏鳳和) 부총참모장도 제2포병 사령원 자리를 꿰찼다. 후 주석 및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모두 가까운 마샤오톈(馬曉天) 부총참모장은 공군 사령원으로 자리를 옮겨 중앙군사위원이 될 예정이다. 현 중앙군사위원인 우성리(吳勝利) 해군사령원은 유임됐으며, 창완취안(常萬全) 총장비부장도 국방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중앙군사위원에 유임될 것으로 알려졌다. 총후근부장에 임명된 것으로 알려진 자오커스(趙克石) 난징(南京)군구 사령원은 ‘시 부주석 사람’으로 분류된다. 시 부주석이 장기간 근무했던 푸젠(福建)성의 31군에서 1993년부터 12년간 근무했다. 군내 대표적인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들의 자제그룹)이었던 류위안(劉源) 총후근부 정치위원과 장하이양(張海陽) 제2포병 정치위원은 사실상 중앙군사위원 선임 경쟁에서 밀려났다고 명보는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해양조사선, 센카쿠 12해리 첫 진입… 日 압박

    중국이 해양조사선을 처음으로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 12해리(약 22㎞) 안으로 진입시켰다. 해양감시선, 어정선, 해군 군함에 이어 해양조사선까지 보냄으로써 영토 주권을 주장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중국 해양조사선 ‘과학3호’가 지난 23일 오전 10시 30분쯤 처음으로 센카쿠열도 해역 12해리 내에 있는 다이쇼섬 서북쪽 수역으로 진입했다고 중국 인민일보 계열의 환구시보가 24일 보도했다. 당시 해양조사선과 함께 중국의 해양감시선 4척도 발견됐는데 해양조사선과 해양감시선이 나란히 센카쿠열도 해역 12해리 내에서 운항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해군 함정이 일본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오키나와 해역을 빈번히 지나가고 있어 일본의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센카쿠열도 영유권 분쟁을 둘러싸고 일본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날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해상자위대 P-3C 정찰기는 22일 오후 오키나와에서 남쪽으로 470㎞ 떨어진 해상에서 중국 군함 3척을 발견했다. 당시 발견된 군함 가운데에는 중국 최신예 미사일 구축함인 ‘뤼양(旅洋)2’급이 목격됐으며 중국이 뤼양 군함을 보유한 사실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중국 동해함대 소속 군함 7척은 16일에도 오키나와 인근 해역을 통과해 일본을 긴장시킨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건국이념 ‘마오사상’ 당헌서 퇴출?

    中 건국이념 ‘마오사상’ 당헌서 퇴출?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당내 좌·우파 간 노선 대립이 한층 뜨거워지고 있다. 당헌격인 당장(黨章)을 개정해 공산당의 5대 지도이념 가운데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毛澤東) 사상’을 퇴출시키려는 우파의 시도가 가시화되고 있는가 하면 좌파 원로들은 공개적으로 보시라이(薄熙來) 비호에 나섰다. 당장 수정안은 다음 달 1일 열릴 17기 7중전회(17기 중앙위원회 제7차 전체회의)의 논의를 거쳐 18차 전대에서 확정된다. 이와 관련, 지난 22일 당장 수정안 등을 의제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마오쩌둥 사상 등을 언급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회의에서는 공산당 지도이념으로 ‘덩샤오핑(鄧小平) 사상’과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3개 대표론’(三個代表論), 그리고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과학발전관’만 언급했을 뿐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은 거론하지 않았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3일 “18차 전대에서 마오 사상의 중요성을 격하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16차와 17차 전대를 앞두고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도 당장 수정안을 논의하면서 마오 사상 등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 공산당 지도부가 마오 사상 등의 퇴출을 노리고 있다는 관측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지적도 있다. 중국 인민대 마르크스주의학원 신이(辛逸) 주임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후 주석이 과거 마오 사상을 당장의 지도이념에서 삭제하려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했다가 좌파의 분노를 촉발해 즉각 정정했던 전례가 있다.”면서 “좌파들이 항상 예의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당장에서 마오 사상 삭제 작업이 이뤄질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단언했다. 마오가 주장했던 공유제, 안로분배(按勞分配·노동한 만큼 분배받음), 계획경제 등은 중국 사회에 남아 있지 않지만 마오 사상을 건드렸다간 좌파들로부터 괜한 공격만 당한다는 것이다. 한편 리셴녠(李先念) 전 주석의 비서장을 지낸 리청루이(李成瑞) 등 좌파 원로 300여명은 전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에 보낸 공개서한에서 보시라이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에 대한 공정한 처리를 요구했다. 앞서 리청루이 등을 포함한 좌파 원로와 보수파 학자 등 1600여명은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전면도입하고 있다며 원 총리 파면을 공개 요구하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남북 ‘전단살포’ 군사적 긴장감”

    중국이 민간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 문제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5세대 지도부로의 권력 교체를 앞두고 한반도 주변의 안보 상황 변화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한반도의 이웃 국가로서 남북 간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지하고, 긴장을 촉발하는 어떠한 행동이나 무장 충돌에 반대한다.”면서 “양측이 냉정과 억제를 유지하고 과격한 행동을 취하지 않음으로써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훙 대변인은 지난 20일에도 이례적으로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남북의 절제를 촉구한 바 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이날 “북한 군의 타격 위협 이후 한국 군이 군사분계선과 8㎞ 거리에 불과한 임진각 일대에 K9 자주포, 155㎜ 견인포 등을 추가 배치하고, F15K와 KF16 전투기 등 공군 초계 전력도 증강 운용하는 등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며 “한국 군은 이날부터 경계 태세를 최고 단계로 격상시켰다.”고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도 ‘한국 군, 최고 경계 태세 돌입’ 제하의 기사에서 대북 전단 살포 문제로 야기된 남북 간 긴장 상황을 상세하게 전했다. 한편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날 방중 일정을 마치고 숙소인 베이징 웨스틴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 단체가 북으로 향하는 전단을 보내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 민간 지역을 포탄으로 겨누는 위험한 상황이 조성됐다.”면서도 “풍선에 폭탄으로 대응하는 것은 비례의 원칙에 맞지 않는 만큼 북이 앞으로도 이런 위협적인 행동을 삼가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장쩌민 연일 언론 노출 “차기인선 영향력 행사”

    중국의 ‘상왕’(上王)이자 상하이방(上海 )의 수장인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연일 관영 언론을 통해 모습을 비치고 있다. 다음 달 8일 개막하는 공산당 18기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건재를 과시해 차기 지도부 인선에서 지분을 늘리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장 전 주석은 모교인 장쑤성 양저우(揚州) 중·고등학교 개교 110주년 기념식에 축하의 글을 헌정했다고 장쑤(江蘇)성 기관지 신화일보(新華日報)가 21일 보도했다. 장 전 주석은 지난 9일에는 베이징에서 상하이해양대학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축하 연회를 열어 이 대학 지도자들과 만났다고 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포털인 인민망이 지난 20일 보도했다. 노로돔 시아누크 전 캄보디아 국왕의 사망과 관련해 유족들에게 조전을 보내 애도를 표시했다는 소식은 지난 16일 관영 신화통신 등을 통해 일제히 보도됐다. 지난 9월 말에는 상하이방과 느슨한 연대 관계인 태자당(太子黨)의 보스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과 베이징 국가대극원에서 오페라를 관람한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인민대 정치학과 장밍(張鳴) 교수는 “장 전 주석의 잦은 노출은 (차기 지도부 인선에서) 그의 지분이 높아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北, 북·중접경 휴대전화 엄중 단속”

    북한 당국이 북·중 국경지역에서 휴대전화 및 인터넷 사용을 엄중 단속하고 있다고 중국청년망이 21일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지시로 이달 초부터 북한 보위부가 주축이 된 단속조가 북·중 국경지역에서 신호를 추적해 휴대전화와 인터넷 사용자를 검거하고 있다. 매체는 이어 보위부는 물론 인민군 정보 당국도 단속에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매체는 그러나 북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북·중 국경지역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주민이 보통 산속에 숨어서 전화를 걸기 때문에 신호를 추적해 이들을 붙잡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런 행위를 근절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북한 체신성은 오라스콤 텔레콤과 합작해 2008년 12월부터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뒤 4년간 휴대전화 사용을 장려해 현재 가입자 수가 100만 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무인기 해양굴기’… 中, 기지 2곳 설치해 서해 감시한다

    ‘무인기 해양굴기’… 中, 기지 2곳 설치해 서해 감시한다

    중국이 서해와 보하이(渤海)만에 대한 감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무인기 기지를 설치하기로 했다. 중국은 2015년까지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과 잉커우(營口) 두 곳에 무인기 기지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관영 신화통신이 지난 20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무인기를 이용해 서해상의 어업활동은 물론 인위적인 지형 변화와 같이 영유권과 관련된 각종 사안에 대해서도 감시를 강화한다. 서해상에서 중국 어선들의 불법어로 행위로 한국과의 마찰이 빈번한 점을 감안하면 중국 어선의 활동은 물론 한국 해양경찰의 동태에 대한 감시도 이뤄질 수 있다. 어업 분규와 같은 긴급상황에서 중국은 무인기를 활용해 신속한 대응에 나설 수 있다. 중국은 특히 무인기를 통해 자국이 주장하는 해역에 대한 정기순항 및 감시활동으로 주권 시위 강화 효과도 노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국가해양국은 앞서 2015년까지 자국이 주장하는 해역 전반에 무인기 감시 체제를 완성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감시 범위에는 중국이 일본 및 필리핀과 각각 분쟁 중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와 황옌다오(필리핀명 스카보러섬)는 물론 한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도 포함돼 있어 주변국과의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센카쿠열도에 대한 무력 시위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북해함대 소속 해군 함정 편대 7척이 중국 해군 처음으로 댜오위다오 부근 해역에 진입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1일 보도했다. 통신은 해군 함정 편대가 지난 2일부터 19일까지 총 17일간 원양 훈련을 실시했으며, 이들은 지난 4일 미군과 일본 군이 극도로 민감해하는 일본 오키나와섬과 미야코섬 사이 해역을 관통해 서태평양으로 진출하는 것은 물론 지난 14일에는 댜위오위다오 30해리(약 55.6㎞) 인근 해역까지 접근했다고 밝혔다. 반면 일본은 다소 자제하는 분위기다. 일본 언론들은 이날 미국과 일본 정부가 다음 달 5~16일 일본 남부의 규슈와 난세이(南西)제도 등에서 실시하려던 주일 미군과 자위대의 합동 훈련을 취소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 中, 센카쿠서 ‘日겨냥’ 첫 군사훈련

    中, 센카쿠서 ‘日겨냥’ 첫 군사훈련

    중국이 19일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 인근 동중국해상에서 사실상 일본을 지목해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중국은 특히 이번 훈련을 전날 관영 언론을 통해 이례적으로 ‘예고’하는 등 일본에 대한 무력시위로 활용하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일본은 민감하게 반응하며 훈련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관영 신화통신 등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중국 해군은 이날 센카쿠열도가 있는 동중국해를 담당하는 동해함대 주도로 ‘모 해역’에서 해양국 소속 해감총대 및 농업부 산하 어정국과 공동으로 합동훈련 ‘동해 협력작전-2012’를 실시했다. 훈련에는 동해함대의 미사일호위함 저우산(舟山)호, 의무선 허핑팡저우(和平方舟)호, 해감총대 소속 해양감시선, 어정국 소속 어업지도선 등 11척의 함정과 동해함대 소속 젠(殲)11 등 최신예 전투기와 헬리콥터 등 항공기 8대가 참여했다. 동해함대는 성명을 통해 “중국 해감대와 어정국이 해상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센카쿠)분쟁 해역을 순시할 때 ‘타국’ 함선의 이유 없는 추적, 방해, 심지어 악의적인 저지 등을 당하고 있다.”고 규정한 뒤 이번 훈련은 이 같은 상황을 상정해 실시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센카쿠 해역에서 순찰활동을 벌이던 감시선과 어업지도선이 ‘타국’ 순시선과 충돌해 손상되거나 승조원이 부상한 상황을 가정해 해군이 해상 및 공중 입체 작전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내용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일본을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센카쿠 해역에서 중·일 관공선 간 충돌이 빈번했다는 점에서 ‘타국’은 사실상 일본을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경제성장률 7분기 연속 하락

    中 경제성장률 7분기 연속 하락

    중국 경제가 하락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7.4%로, 2010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7.5%)보다도 낮은 것으로 금융 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 이래 최저 수준이다. 중국 경제의 위축은 유럽과 미국 경기의 장기화된 침체 영향으로 경제 성장의 동력인 수출이 감소한 데다 내수와 투자마저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경제를 이끌어 온 ‘삼두마차’인 수출, 내수, 투자 모두 저조한 데다 과감한 부양책도 뒷받침되지 않아 당초 2분기를 바닥으로 경기가 살아날 것이란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국은 9월 이래 수출 등이 호전되고 있어 목표 달성에 문제가 없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도 지난 15일까지 연속 사흘간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에서 경제 정세 간담회를 주재하면서 “3분기 경제 상황이 비교적 좋은 편이고 (지표로 볼 때)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어 올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날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지표들도 차츰 개선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9월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9.2%로 전년 동기보다 4.6% 포인트 낮아졌으나 전달보다는 0.3% 포인트 올랐다. 1~9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20.5%)도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4.4% 포인트 낮아졌지만 1~8월(20.2%)보다는 0.3% 포인트 높아졌다. 9월의 수출 증가율 9.9%는 올 들어 월간 기준으로는 가장 좋은 수치다. 9월 민간소비 증가율(14.2%)도 전년 동기(17.7%)보다 낮지만 전달(13.2%)보다 높아 지난 2월(15.2%)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해 중국 인민은행의 이강(易綱) 부총재는 올해 성장률이 7.8%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세계 경제 불황이 지속되고 있어 중국 경제가 당분간 ‘강력한 회복세’로 돌아서기는 힘들기 때문에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도 여전하다. 중국 경제가 장기간 저성장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른바 ‘L자형’ 경기 침체에 빠져들고 있다는 것이다. 왕젠(王建) 중국거시경제학회 사무국장은 “9월 수출이 9.9% 증가했지만 최대 수출 지역인 유럽의 수출은 10% 감소했으며 성장을 뒷받침할 투자도 2009년에 비해 훨씬 적다.”면서 “중국 경제가 아직 저점에 도달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대사 항의방문 돌연 취소… 외교분쟁 원치 않는 듯

    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 선원의 사망 사건에 대한 책임 소재를 놓고 한·중 양국이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17일 외교통상부를 항의 방문하려던 주한 중국대사가 이를 전격 취소했다. 급격한 외교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낮아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주한 중국대사관 측은 장신썬 대사와 안호영 1차관과의 면담을 위해 이날 오전부터 우리 외교부와 일정을 조율했다. 하지만 오후 늦게 “이날은 방문 계획이 없다.”면서 “특별한 함의는 없다.”고 통보했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태도에 대해 외교가에서는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성명과 더불어 이 사건이 외교적 분쟁으로 크게 확산되는 상황을 원치 않는 중국 정부의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자국 어민의 사망 건에 대해 한국에 교섭을 요구하는 한편 공정하고 책임 있는 조사와 (중국 어민을 사망하게 만든) 해당 인원에 대한 처벌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한국 해양경찰이 폭력적인 법 집행 활동을 중단해 유사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사건의 원인을 한국 해경의 폭력적인 법 집행에 있다고 주장했다. 훙 대변인의 발언은 앞서 주한 중국 대사관이 발표한 내용보다는 수위가 다소 낮아진 것이다. 중국대사관은 이날 새벽 발표한 성명에서 “한국 해경의 폭력적인 법 집행이 우리 어민의 사망을 초래한 것에 대해 한국에 강한 불만과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현재 정확한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불법 조업을 단속하는 상황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한 일로 외교 문제가 될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중국 대사가 내일 항의 방문할 개연성도 있는 만큼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라면서도 “중국 관영지나 다름없는 환구시보 사설 등에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17일자 사설에서 “이번 사건으로 인해 양국 관계가 악화되고 양국민이 감정적으로 대립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5세대 지도부 7명 확정… 親장쩌민계 5명 포함”

    중국 18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가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이끄는 상하이방(上海幇)과 고위관료 자제그룹인 태자당(太子黨)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중국 제5세대 최고 지도부 인선안이 확정됐다고 중화권 뉴스 포털 명경신문망(明鏡新聞網)이 17일 보도했다. 명경신문망에 따르면 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들은 지난 15일 회의를 열고 당 18기 전대에서 선출될 제5세대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7인)과 정치국위원(25명)의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 명단에는 상하이방인 장더장(張德江) 충칭(重慶)시 당서기, 장가오리(張高麗) 톈진(天津)시 당서기, 위정성(兪正聲) 상하이(上海)시 당서기와 이들과 연대를 맺고 있는 태자당 출신의 왕치산(王岐山) 부총리 등 범장쩌민 계열이 대거 포함됐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이끄는 공청단(共靑團·공산주의청년단) 계열로는 최근 장 전 주석 계열로 돌아섰다는 설이 나오는 류윈산(劉雲山) 당 중앙 선전부장의 이름이 올라 있다. 진입이 확실시되던 공청단 출신의 리위안차오(李源潮) 당 중앙 조직부 부장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거론됐던 왕양(汪洋) 광둥(廣東)성 당서기는 명단에 들어 있지 않았다. 물론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 등극이 확실시되는 태자당 출신의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과 공청단 계열로 국무원 총리직을 맡게 될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는 변동이 없다. 이번 후보안대로라면 범장쩌민 계열이 5명, 공청단 계열은 2명에 그친다. 그러나 후 주석이 현재 최고 권력인 데다 올 들어 선출된 31개 성·시 지도부급 433명 가운데 148명이 공청단 출신이란 점을 감안하면 차기 지도부 인선에서 공청단이 불과 2석만을 확보했다는 추론은 납득하기 어렵다. 이처럼 이번 인선안이 계파 균형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대를 앞둔 추측성 보도라는 평이 나오고 있다 명경망은 일반적으로 최고지도부 인선과 당 개최일에 대해 각 계파가 모두 의견을 조율한 뒤 정치국 회의를 통해 당 날짜를 선포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계파 간 경쟁이 워낙 치열해 전대 개최일이 공표된 뒤에도 후보 명단이 계속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홍콩 명보는 오는 11월 8일 열릴 당 전대를 주재할 주석단으로 시 부주석과 리 조직부장, 류 선전부장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이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정부 “무력저항 선원 제압과정 우발적 사건”

    정부 “무력저항 선원 제압과정 우발적 사건”

    전남 신안군에서 불법 조업을 하던 중국 선원이 해경이 쏜 고무탄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성어기인 4~5월과 10~12월 우리나라 EEZ 접경 해역에서 불법조업을 하는 어선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어선의 저항도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16일 해경에 따르면 우리 해역에서 불법조업을 하다 해경에 나포된 중국 선박은 2009년 388건, 2010년 375건, 지난해 537건에 달했다. 지난달 24일 제주시 차귀도 서쪽 140㎞ 해상에서 불법조업하던 중국 어선이 검문검색을 차단하기 위해 선체에 철판을 둘러 4m 높이까지 올리고 쇠창살을 달아 해경의 단속을 방해하며 달아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지난해 12월에는 인천 옹진군 소청도 남서방 85㎞ 해상에서 불법조업하던 66t급 중국 어선을 나포하는 과정에서 해양경찰관 2명이 중국 선장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중국 선원이 숨지는 사고도 2010년 12월 이후 두 번째다. 당시 전북 군산 해상에서 중국 어선이 우리 해경 경비함을 들이받고 전복돼 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되면서 한·중 외교 갈등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시신은 한·중 양국 입장차로 장례식장에 방치됐다가 지난 6월 화장돼 중국 측에 전달됐다. 이번 사건도 중국 내 반한감정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부는 이날 주한 중국대사관을 통해 사건 개요에 대한 설명과 유감을 표명하고 대책회의를 소집하는 등 분주히 움직였다. 정부 당국자는 “무력으로 저항하는 선원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우발적인 사건”이라면서 “인명 피해에 유감을 표명하는 등 외교적 사안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중 양국은 지난 6월 ‘한·중 어업문제 협력 회의’를 갖고, 중국 어선의 불법조업이 문제가 됐을 경우 신속히 논의할 수 있는 심의관급 핫라인과 협의체를 구축했다. 이날 중국 매체들은 각사 포털 사이트를 통해 이 뉴스를 크게 보도했다. 신화통신과 인민망, 환구시보 등 관영언론 등은 지난 5일 한국이 중국의 불법조업 어민들을 상대하기 위해 관련 워크숍을 갖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며, 중국 어민을 타깃으로 한 한국 해경의 강경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 중국의 트위터 격인 웨이보(微博)에서는 이 사건을 두고 벌써부터 한국 해경에 책임을 전가하거나 중국 외교부의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어 자칫 반한 감정으로 불길이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목포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다른 길 걷는 中 대표작가 2인, 불편한 심경 토로

    다른 길 걷는 中 대표작가 2인, 불편한 심경 토로

    중국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모옌(莫言)과 관련된 논란이 그치지 않고 있다. 중국 반체제 인사들을 중심으로 모옌의 노벨상 수상 비난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모옌 스스로 그런 논란에 대한 불편한 심정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모옌은 14일 밤(현지시간) 관영 중국중앙(CC)TV 뉴스 채널의 인터뷰 프로그램에 출연해 “당신은 지금 행복합니까?”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에 진행자가 “절대 다수의 사람들은 당신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지금 매우 신나고 반드시 행복할 것으로 믿고 있다.”며 ‘행복하다’는 답변을 유도했지만 모옌은 오히려 행복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행복이란 아무런 걱정도 고민도 없이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를 말하지만 나는 현재 매우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근심 또한 많은데 어찌 행복을 논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일각에서는 ‘공산당과 친한 어용 작가’라는 비난이 쇄도해 행복감보다는 심적 고통에 시달리는 상황을 표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그는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도 대부분의 시간을 자신에 대한 비난을 해명하는 데 할애했다. 한편 모옌에 대해 ‘국가가 필요로 할 때마다 손재주를 부리는 국가 시인’이라고 혹평한 중국의 반체제 망명작가 랴오이우(廖亦武)가 14일 중국을 맹비난했다. 랴오는 이날 세계 문화 소통과 평화에 기여한 공로로 독일출판인협회가 수여하는 평화상을 받는 자리에서 “중국이란 나라는 깨부숴야 하는 거대한 쓰레기 더미”라고 규정했다. 그는 또 “중국은 손에 피를 묻히는 비인간적인 제국”이라면서 “서구는 자유무역이란 미명 아래 학살자들과 공모하고 있다.”고 중국과 서방을 싸잡아 비난했다. 톈안먼(天安門) 사태 희생자를 애도하는 ‘대학살’이라는 시를 발표해 4년 동안 옥살이를 한 랴오는 지난해 7월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베트남까지 걸어서 탈출한 뒤 독일로 망명했다. 랴오는 이날 시상식에서도 톈안먼 희생자를 추도하는 노래를 불렀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자본가 타도” 외쳤던 마오쩌둥…딸은 재벌을 사위로

    “자본가 타도” 외쳤던 마오쩌둥…딸은 재벌을 사위로

    농민, 노동자들과 함께 공산혁명을 성공시킨 중국 ‘건국의 아버지’ 마오쩌둥(毛澤東)이 아이러니하게도 억만장자를 외손녀 사위로 맞았다. 관영 신화통신은 14일 마오쩌둥과 그의 세 번째 부인인 허쯔전(賀子珍)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 리민(李敏·76)의 딸인 쿵둥메이(孔東梅·40)가 억만장자 재벌인 천둥성(陳東升·55) 타이캉(泰康)생명보험 회장과 결혼했다고 보도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인터넷포털 인민망도 ‘마오쩌둥의 외손녀가 누구랑 결혼했다고?’라는 제목으로 같은 소식을 전했다. 이 밖에 대부분의 지방 유력지들과 인터넷포털도 리민이 딸과 천둥성을 대동한 채 국경절 연휴기간인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장시(江西)성 징강산(井岡山) 등 공산혁명 성지를 둘러봤고, 이때 천둥성은 자신을 “징강산의 사위”라고 불렀다며 ‘쿵·천 커플’의 결혼 소식을 알렸다. 앞서 홍콩 언론들은 지난 12일 천둥성이 우한(武漢)대 동창이던 전 부인 루양(陸昻)과 지난해 이혼했으며 지난 15년간 불륜 관계였던 쿵둥메이와 베이징에서 결혼식을 올렸다고 보도한 바 있다. 15살 연하인 쿵둥메이는 1996년 베이징항공항천대를 졸업한 뒤 타이캉생명 창업에 동참했다가 천 회장과 알게 돼 연인 사이로 발전했으며 둘 사이에는 이미 3명의 자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쿵둥메이는 현재 베이징 차오양(朝陽)구 다산쯔(大山子) 798예술특구에 베이징둥룬쥐샹수우(北京東潤菊香書屋)를 창업해 ‘홍색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국화 꽃향이 나는 서재란 뜻의 ‘쥐샹수우’는 마오쩌둥이 생전에 사용하던 서재의 이름이다. 마오는 국민당군에 패해 징강산에서 전열을 재정비하던 1928년 비서인 허쯔전을 세 번째 부인으로 맞이해 슬하에 6명의 자녀를 뒀으나 내전 등에서 모두 죽고 리민만 남았다. 첫번째 부인 뤄이슈(羅一秀)와의 사이에는 자식을 남기지 않았다. 두번째 부인 양카이후이(楊開慧)와의 사이에서 아들 셋을 뒀으나 모두 죽었고, 장손인 마오신위(毛新宇)가 인민해방군 장성으로 활동하고 있다. 네번째 부인 장칭(江靑)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딸 리너(李訥)는 베이징시 부서기 등을 역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정부 ‘모옌 부주석 구하기’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모옌(莫言) 구하기’에 나섰다. 공산당의 지휘를 받는 중국작가협회 부주석인 모옌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데 대한 반체제 인사들의 비난이 잇따르자 모옌의 작품성을 적극 홍보하는 등 방어에 나서고 있다. 당국은 모옌의 단편 ‘투명한 홍당무’(透明的?卜)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하기로 했다고 베이징에서 발행되는 경화시보(京華時報) 등이 14일 보도했다. 신문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노벨상 수상과 모옌의 작품 수록이 관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모옌의 작품은 학생들의 수업이나 독서 교재로 활용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언론들은 지난 11일 모옌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지자 “모옌은 중국의 수많은 작가 가운데 한 명”이라며 의미를 축소하는 보도를 내보낸 바 있다. 하지만 지난 주말 사이 보도 태도는 180도 달라졌다. 반체제 인사들의 비난이 폭주하자 “문학적 가치를 알아본 노벨상 심사위원들의 안목은 정확한 것이었다.”며 모옌의 작품성을 부각시키는 여론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미국, 프랑스 등 해외 언론 기사들을 인용해 “그의 현실주의적 작품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