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니하오 시진핑] 장쩌민·리펑 등 ‘올드보이’ 총출동 건재 과시

    8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한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에는 ‘올드보이’들이 총출동해 건재를 과시했다. 주석단 명단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에 이어 두 번째로 이름을 올린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은 ‘관례’대로 후 주석에 이어 입장한 뒤 후 주석 왼쪽 바로 옆자리에 앉아 시종 밝은 표정으로 자리를 지켰다. 장 전 주석과 함께 ‘건강이상설’이 제기됐던 리펑(李鵬) 전 총리를 비롯해 주룽지(朱鎔基) 전 총리, 완리(萬里) 전 부총리, 차오스(喬石) 전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 리루이환(李瑞環) 전 정협 주석 등도 전대 개막식에 모습을 드러냈다. ‘특별초청대표’인 이들 공산당 원로는 현직 수뇌부와 함께 41명으로 구성된 주석단 상무위원에 선임됐다. 이들은 이번 전대에서 일반 대표들과 마찬가지로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선출, 당장(黨章·공산당 당헌) 개정 등 각종 안건의 심의·의결에 참여한다. ‘사망설’까지 나돌 정도로 건강 이상과 관련해 구구한 억측이 제기됐던 장 전 주석과 리 전 총리 등은 이 같은 소문을 불식시키기라도 하듯 건강한 모습으로 입장해 시종 밝은 표정으로 개막 현장을 끝까지 지켰다. 5세대 지도자로 확정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후원자’인 쩡 전 부주석이 흐뭇한 표정을 짓는 모습도 카메라에 잡혔다. 선전을 담당하는 리창춘(李長春) 상무위원이 광둥(廣東)성 대표단을 이끌고 전대에 참석한 왕양(汪洋) 광둥성 당서기를 개막 전날인 지난 7일 만나 광둥의 발전을 치하했다고 중국 관영 언론들이 대대적으로 보도해 상무위원 진입 경쟁에서 밀린 것으로 알려진 왕 서기가 ‘기사회생’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번 전대 의사일정 등을 주도하는 주석단 비서장으로 선임된 시 부주석은 이날 후 주석의 ‘정치보고’가 진행되는 동안 원고를 살피며 밑줄을 긋거나 박수를 치는 등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전대 전날인 7일부터 개막 당일인 8일까지 쓰촨(四川)성과 칭하이(靑海)성 등 티베트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 티베트인 6명이 중국의 티베트 강압 통치에 항의하며 분신했다고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자유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정부가 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니하오 시진핑] “新간섭주의” 美에 일침… “국제문제 적극 개입” G2 자신감

    [니하오 시진핑] “新간섭주의” 美에 일침… “국제문제 적극 개입” G2 자신감

    ‘주요 2개국(G2)에 걸맞은 힘을 갖추고, 당당히 목소리를 내겠다.’ 8일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식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공개한 ‘정치보고’에는 며칠 뒤 공산당 총서기에 선임돼 10년간 중국을 이끌어 나가게 될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생각도 담겨 있다. 그 역시 후 주석을 비롯한 4세대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정치보고 작성에 참여했고, 그 내용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후 주석의 ‘정치보고’를 철저하게 곱씹어야 할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정치보고는 ‘시진핑 시대’ 중국이 걷게 될 정치, 외교, 국방, 사회, 경제적 노선을 알 수 있는 ‘참고서’ 격이다. 무엇보다도 이번 정치보고의 핵심은 경제 총량에서 G2로 올라선 만큼 이를 바탕으로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 ‘힘’을 과시하면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후 주석이 직접 낭독한 ‘정치보고’의 외교 부분은 미국을 향한 선전포고를 연상케 한다. 그는 우선 “후진국들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강해져 국제적인 힘의 균형이 세계 평화 수호에 유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자국의 달라진 위상을 강조한 뒤 “그러나 패권주의, 강권정치, 신(新)간섭주의가 대두되고 있다.”며 미국을 겨냥했다. 미국이 인권을 빌미로 중국을 공격하고 있으며, 중국이 주변 국가들과 벌이고 있는 영토분쟁에서 미국이 상대편을 들어 중국을 몰아세우고 있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비난한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은 반드시 국가주권과 발전이익을 수호하고 외부의 어떤 압력에도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4년전 17차 전대 정치보고 당시 “중국은 오로지 평화발전의 길만을 걸을 것이다.”라며 낮은 자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영토분쟁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이익 수호’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이 영토 문제에서 보다 강경한 태도를 견지할 것임을 드러냈다. 대국으로서의 지분도 요구했다. 후 주석은 “중국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국제 문제에 참여할 것”이라면서 “대국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해 전 세계적인 각종 도전에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신국제질서 구축에 대한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시진핑 시대’ 역시 공산당 일당 독재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서방의 민주제도와는 선을 긋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드러냈다. 다만 법치를 강화하겠다고 언급한 점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후 주석은 “누구도 헌법과 법률을 초월해 특권을 누려선 안 되며 말로 법을 대체하거나, 권력으로 법을 짓누르거나 개인적인 정에 얽매여 법을 어겨서는 안 된다.”며 ‘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치’가 횡행했던 과거를 비판하고, 법치를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실천’이지만 공산당 간부 등 기득권층의 저항을 어떻게 제압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 분야에서는 17차 전대 정치보고 때와 마찬가지로 내수 확대를 강조한 점이 눈에 띈다. 내수를 키워야 성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만큼 기존의 투자와 수출 의존형에서 소비·투자·수출 등 ‘3두마차’를 고루 중시하는 쪽으로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는 지난 10년간의 미미한 성과를 반성한다는 뜻도 있어 보인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4세대 후진타오만 빼고 ‘투쟁·암투’로 점철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4세대 후진타오만 빼고 ‘투쟁·암투’로 점철

    중국의 공산당 권력교체는 투쟁으로 점철돼 왔다. 1949년 중국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평화적인 권력교체가 이뤄진 것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에서 현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으로 이양됐던 지난 2002년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처음이다. ●‘문혁’ 이후 덩샤오핑 집권… 개혁 추진 ‘건국의 아버지’이자 1세대 지도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다 1976년 9월 사망하자 중국 권부에는 피바람이 몰아쳤다. 문화대혁명(문혁) 때 좌천당한 덩샤오핑(鄧小平)을 지지하는 예젠잉(葉劍英) 등 개혁파와 마오의 부인인 장칭(江靑)을 비롯한 ‘문혁 4인방’이 충돌한 것. 예젠잉 등 군부 개혁파는 ‘군사 쿠데타’에 성공해 4인방을 체포했고, 덩샤오핑은 마오의 뒤를 이은 2세대 지도자로 올라서 개혁·개방 등 중국의 현대화 역사를 새로 써나갔다. 앞서 덩샤오핑이 문혁 당시 좌천됐던 것도 권력투쟁의 결과였다. 마오는 대약진운동 실패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권좌를 내놓고, 당시 2인자였던 류샤오치(劉少奇)에게 전권을 일임했다. 류샤오치는 실용주의를 앞세운 덩샤오핑을 등용해 대약진운동의 후유증 치유에 나섰고, 국민들의 높은 신망을 얻었다.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마오는 홍위병을 앞세워 대대적으로 문혁을 일으켜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을 내친 바 있다. ●자오쯔양, 텐안먼 무력진압 반대로 실각 3세대 지도자 장쩌민으로의 권력교체도 순조롭지 못했다. 당초 덩샤오핑의 후계자는 장쩌민이 아닌 자오쯔양(趙紫陽) 총서기였지만, 자오쯔양이 1989년 6월 톈안먼(天安門) 사태 때 무력진압을 반대하다 실각한 뒤 후임으로 장쩌민이 간택됐다. 덩샤오핑은 4세대 지도자 후진타오의 ‘후견인’으로서 생전에 직접 최고지도부 반열에 올려놓기도 했다. 후 주석에서 5세대 지도자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으로의 권력이양은 외견상 평화적인 권력교체로 보이지만 ‘암투’는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보시라이(薄熙來) 스캔들’이 그것이다. 지난 5월에는 보시라이 처리 문제를 놓고 계파 간 반목으로 톈안먼 광장에 탱크가 진입했다는 소문이 나돌기까지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성장·정의 두 토끼 잡아라…시진핑 개혁 시작된다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성장·정의 두 토끼 잡아라…시진핑 개혁 시작된다

    중국의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8일 개막한다. 전대 폐막 직후인 15일 열리는 18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18기1중전회)를 통해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은 후진타오(胡錦濤)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뒤를 이어 공산당 총서기에 선임돼 5세대 지도자로 등극하게 된다. 마침내 ‘시진핑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마오쩌둥(毛澤東)의 국가건설,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개방, 장쩌민(江澤民)과 후진타오의 경제발전에 이어 향후 10년간 중국을 이끌 시진핑의 ‘청사진’에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하지만 당장 그가 이어받을 집권 환경은 유리하지 않다.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국호(號)를 끌고 나가야 하는 과제가 산더미처럼 놓여있다. 우선 시진핑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래 성장세가 가장 둔화된 시점에 집권하게 된다. 올해 중국의 성장세는 7%대 중반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 경제적 난관을 돌파하려면 무엇보다 경제개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중국의 부와 자원을 독점하고 있는 국유기업의 독점을 깨고 그들이 독점하던 과실을 국민에게 나눠줄 수 있는 개혁을 단행해야 하는 것이다. 동시에 여전히 성장을 위해 속도를 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사회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매년 1000만여명씩 쏟아지는 취업인구를 흡수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성장률도 포기할 수 없다. 후 주석과 달리 경제가 발달한 푸젠(福建)성 , 저장(浙江)성, 상하이에서 행정 경험을 쌓았다는 점에서 난관에 봉착한 중국 경제의 획기적인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중국 봉쇄’를 돌파하고 대국굴기(大國?起·대국으로서 우뚝 일어섬)를 완성해야 한다. 시 부주석은 이미 지난 7월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평화포럼에 “중국과 미국은 서로 각자의 관계와 이익을 존중해야 한다.”며 미국을 향해 새로운 대국관계(大國關系) 구축을 요구한 바 있다. 미국과 대등한 협력자로 세계질서의 새판을 짜겠다는 포부다. 이 밖에 중국의 사법독립, 당·정분리, 당내 민주화 등 정치적 개혁과제는 물론, 호적제 개선, 1자녀정책 폐지, 도시와 농촌 격차 해소 등 사회의 공평과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시 부주석이 외교 문제를 제외하고는 비전을 내비친 발언을 한 적은 없지만 중국인들은 그가 능력 있는 지도자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친다.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 자제 그룹) 출신인데다 장쩌민 전 주석이 이끄는 상하이방(상하이 지역 관료 출신)의 지원을 받아 권좌에 오른 인물이기 때문이다. 자수성가한 후 주석과는 달라 각종 개혁 과제들을 수행하는 데 보다 유리하다는 것이다. 전 세계가 ‘시진핑 시대’의 개막에 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후 주석이 지난 10년간 권력 내부에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 인맥을 두루 양성해왔다는 점에서 공청단파와의 협력은 불가피하다. 실제 올 들어 선출된 31개 성·시의 당서기 등 당 고위층 인사 433명 가운데 148명이 공청단 출신으로 밝혀졌다. 공청단은 6세대 지도부에 오를 만한 인재들을 대거 보유하고 있는 데다 이번에 선출될 중앙위원 및 후보위원들도 대거 확보한 상태다. 시진핑 시대가 개막하지만 총리로 내정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와의 ‘협력’이 필수적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실제 리 부총리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는 격이 다르다. 후 주석은 1992년 일찍이 최고지도부 대열인 상무위원에 진입했지만 원 총리는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2년에야 상무위원이 됐다. 반면 리 부총리는 시 부주석과 함께 17차 전대 때 상무위원이 돼 국정운영에 나섰다. 베이징이공대 후싱더우(胡星斗) 교수는 이 같은 ‘시·리 체제’와 관련, “서로 견제와 감시를 통해 경쟁하는 두 세력의 동거가 시작된 것으로 일종의 비규범적인 중국식 민주주의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정치적 자산인 태자당과 상하이방은 개혁의 대상이기도 한 기득권 세력이라는 점에서 이는 시진핑 시대의 장애물로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베이징의 정치평론가 장리판(章立凡)은 “중국은 더 이상 개혁을 늦출 수 없는 상황에 있고, 중국 국민들은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상태에 있다.”면서 “시 부주석이 과연 기득권자들을 설득하고 과감한 개혁을 할 수 있을지가 그의 성공을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마오 사상’ 당헌서 삭제 않기로…후진타오 ‘과학발전관’도 삽입

    마오쩌둥(毛澤東) 사상과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중국 공산당의 당헌격인 당장(黨章)에서 빠지지 않는다.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대변인인 차이밍자오(蔡名照) 인민일보 총편집은 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최한 전대 준비 상황 설명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확인했다. 차이 대변인은 “이번 18차 전대에서 당장 수정을 위해 여러 곳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한 결과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장쩌민 전 국가주석의) 3개 대표론을 당의 중요한 지도 사상으로 삼아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과학발전관을 관철하여 당이 18차 전대에서 확립한 중대 이론 관점과 전략 사상을 새로 삽입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계급투쟁을 중점으로 하는 마오 사상 등이 현재의 중국 사회와 모순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당장에서 삭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좌파의 거센 반대로 건드리지 않는 쪽으로 결론을 낸 것으로 풀이된다. 공산당 최고권력기구인 전대에는 전체 당원 8260만명 가운데 선발된 2270명의 대표가 모여 지도부 인선, 노선 변경 등 주요 현안을 결정한다. 통상 7일 일정으로 열리는 전대의 주요 행사는 첫날과 마지막 날에 몰려 있다. 전대 개막식인 8일에는 중앙위원회를 대표해 공산당 서열 1위인 총서기가 이른바 ‘정치보고’로 불리는 업무보고를 한다. 중국이 향후 5년간 추진할 정치, 경제, 외교, 국방 정책이 총망라된 청사진이다. 마지막 날인 14일에는 당장을 수정하고 새로운 중앙위원회 구성을 위해 중앙위원과 후보중앙위원을 뽑는다.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총서기로 등극하는 18기1중전회(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는 15일 열린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벼락출세는 없었다

    벼락출세는 없었다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폐막 직후인 오는 15일 무대에 모습을 드러낼 중국의 5세대 최고지도부에는 속칭 ‘벼락출세’한 인사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홍콩 명보는 6일 18차 전대를 통해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임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자들은 과거와 달리 대부분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현재의 위치에 올랐고 행정 업무에서 뚜렷한 업적이 있으며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선출된 데다 악성 루머로부터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고 보도했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에 이어 공산당 총서기와 국가주석에 오를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경우 촌장, 현장, 시장, 성장, 당서기 등을 차례로 거쳐 상무위원에 올랐고 차기 총리로 내정된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는 수십년간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뒤 농업지대인 허난(河南)성과 공업지구인 랴오닝(遼寧)성의 당서기를 역임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 17차 전대 직전인 2007년 6월 후 주석을 비롯한 현 최고지도부와 공산당 원로,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등 400여명의 투표를 통해 상무위원에 진입하는 등 민주적인 추천 절차를 밟았다. 4세대 최고지도부에 이공계 출신이 많은 것과 달리 5세대 최고지도부는 인문·사회계열 전공자가 대부분이며 문화대혁명 시절 농촌으로 내려가 노동을 한 경험이 있고 장기간 지방에서 훈련을 거쳐 서민 지향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마오 ‘부활’

    중국이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비롯한 5세대 지도부로의 권력교체가 이뤄지는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관영 언론을 통해 ‘마오쩌둥(毛澤東·그림) 사상’을 부각시키고 나섰다. 공산당의 노선이 담긴 전대 ‘정치보고’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 사상의 위상이 갈수록 격하되는 가운데 급기야 당헌격인 당장(黨章)에서 마오 사상 등을 빼려는 시도까지 감지되자 좌파들이 대대적으로 반발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당헌 삭제 반발여론 무마용” 해석 ‘마오 사상 띄우기’는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앞장섰다. 인민일보는 6일 ‘인민일보 중요 평론’을 뜻하는 런중핑(任仲平·人重評의 동음어) 명의의 칼럼을 1면에 게재하면서 “중국의 역사적 성취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등을 견지했기 때문”이라는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평가를 비중 있게 보도했다. 칼럼은 “후 주석이 지난 10년을 결산하면서 중국이 역사적 성취를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鄧小平) 이론, 3개대표론을 지도사상으로 견지하면서 실천을 토대로 새로운 이론 혁신에 나서 과학발전관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는 18차 전대에서 당헌 수정을 통해 후 주석이 제기한 과학발전관이 덩샤오핑 이론,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3개 대표론과 마찬가지로 당의 지도사상으로 격상될 것이며, 마오 사상 등도 삭제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발전의 원동력” 평가 관영 언론들은 여론을 원용해 마오 사상 띄우기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네티즌을 상대로 ‘18차 전대 희망사항’을 조사한 결과 ‘마오 사상’이 인기 이슈로 등장했다고 중국 언론들이 이날 일제히 보도했다. 인민일보 인터넷사이트 인민망이 이날 오전 11시까지 집계한 결과 “18차 전대는 마오쩌둥의 위대한 기치를 높이 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네티즌이 모두 4193명으로 전체 희망사항 3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관영 신화통신은 “마오쩌둥 사상 가운데 사회의 공평과 정의, 대중과의 소통, 부패 방지 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 아이디 후난런(湖南人)의 메모를 소개하기도 했다. 관영 언론들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의중을 그대로 전달해 준다는 점에서 이 같은 보도 행보가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전대 ‘정치보고’에서 갈수록 마오 사상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 16차와 17차 전대의 경우 장 전 주석과 후 주석은 덩샤오핑 이후의 중국특색 사회주의에 중점을 둬 자신들이 제시한 이론을 강조한 반면 마오 사상 등은 형식적인 언급에 그쳤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원자바오 재산 조사 착수… 공개여부는 불투명

    중국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가족이 27억 달러(3조원)에 이르는 ‘비밀 재산’을 보유 중이라는 의혹과 관련해 중국 지도부가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5일 보도했다. 원 총리는 뉴욕타임스의 폭로 기사가 나온 뒤 자신이 소속된 최고 지도부인 공산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자신의 재산 내역을 조사해줄 것을 건의했으며 상무위가 이를 받아들여 조사를 시작했다고 신문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원 총리 일가가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핑안(平安) 보험 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앞서 뉴욕타임스는 원 총리의 모친 양즈윈(楊志雲·90) 여사가 2007년 기준으로 원 총리의 정치적 고향인 톈진(天津)의 ‘타이훙’이란 회사를 통해 핑안보험 주식 1억 2000만 달러어치를 보유하는 등 원 총리의 가족들이 이 회사 지분 22억 달러어치를 보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타이훙의 돤웨이훙(段偉紅) 대표는 원 총리 일가의 명의를 빌려 투자한 것이라며 원 총리 일가의 축재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이번 조사는 평소 원 총리의 자유주의적 성향을 탐탁해하지 않던 보수파 원로들이 원 총리에게 뉴욕타임스가 제기한 의혹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선 원 총리가 이번 조사를 ‘역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원 총리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고위 공직자 재산을 공개하는 내용의 이른바 ‘선샤인 법’을 구체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가 공개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 전망이 우세하다. 베이징대 법학과 허웨이팡(賀衛方) 교수는 “설사 원 총리가 재산을 공개하더라도 ‘비밀 재산’이 있을 수 있는 다른 지도자들이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공개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을 사흘 앞둔 5일 인민일보는 전날 폐막한 제17차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제8차 전체회의를 주제로 한 장문의 칼럼에서 지난 10년간 부패 사범 처리가 괄목한 만한 업적을 이뤘다고 평가하면서 그 주요 사례 가운데 첫 번째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 퇴출을 꼽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美·日 대규모 해상훈련… 中 ‘발끈’

    미국과 일본이 5일 일본 오키나와 근해에서 섬 지역 방어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을 시작했다. 일본 방위청에 따르면 오는 16일까지 열리는 양측의 이번 합동 훈련에는 미군 1만명을 포함해 총 4만 7000여명의 병력이 참가하고 있다. 일본 자위대는 이번 훈련을 위해 지난 4일 오키나와 화이트비치 미군 기지에 구축함과 이지스함을 파견했다고 NHK가 전했다. 또 미국 항공모함 한 척도 훈련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훈련은 자위대와 미군 내부에서 비상사태를 대비한 섬 상륙 작전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오키나와현 이리스나섬에 상륙하는 방안으로 추진됐다. 섬 탈환 훈련은 중국군을 ‘가상 적’으로 설정해 외국 병력이 점거한 섬을 되찾아오는 것이었다. 하지만 최근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으로 심각해진 일본과 중국 간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해상 훈련으로 변경됐다. 중국에서의 반일 시위와 일본 제품 불매 운동, 중국 정부의 경제·외교 보복, 센카쿠 열도 해역에서의 양국 감시선 대치 등으로 갈등이 첨예화된 상황에서 섬 상륙 훈련을 강행할 경우 사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그러나 이 같은 조치가 결코 중국을 배려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경계심을 나타냈다. 신화통신은 이날 “일본이 당초 미·일 합동 훈련을 취소했다가 다시 실시하기로 하고, 또 막판에는 섬 탈취 계획을 삭제하는 등 훈련을 놓고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일본의 복잡한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면서도 “그렇다고 일본이 나약함을 보여준 것으로 인식해선 안 되며 오히려 일본에 대한 경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민감하게 반응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전국대표 2270명 베이징 입성… 첫 직군대표 농민공 26명 참석

    중국에서 10년 만의 권력 교체가 이뤄지는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대에 참석할 대표들이 베이징에 속속 도착하는 등 전대 준비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5일 18차 전대 대표인 허베이(河北)성 출신의 농민공(농촌 출신 도시 일용직 노동자) 런샤오윈(任曉云)의 베이징 도착 사실을 전하며 이번 전대 대표들의 면면을 상세히 보도했다. 통신은 특히 이번 전대 대표 가운데 농민공 출신은 모두 26명(1.14%)으로 농민공들이 전대에 하나의 직군으로 대표성을 갖고 참여한 것은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7년 17차 전대 당시에도 농민공이 대표로 참여한 바 있지만 단 몇 명에 불과해 2억 5000만명에 이르는 농민공을 대표했다고 볼 수 없었다는 것. 18차 전대에 참여하는 2270명의 전국 대표들은 전체 8260여만명의 공산당원들을 대표한다. 이번에는 농민공 뿐만 아니라 기업가와 대졸 학력의 농촌 관리들이 이전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이번 전대에 27명이 참석하는 기업인 대표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지난 2002년 16차 전대 당시 기업가들의 입당을 처음 허용한 직후부터 선발되기 시작했다. 17차 전대 때는 모두 17명이 참석한 바 있다. 대기업인 산이(三一)중공업의 량원건(梁穩根) 회장, 다롄(大連) 완다그룹 왕젠린(王健林) 회장, 롄상홀딩스 류촨즈 (柳傳志) 회장 등이 포함됐다. 반관영 중국신문망은 “18차 전대 대표들의 출신과 배경이 다양화된 것은 중국의 사회발전을 반영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차기 상무위원 유력 7인 중 ‘후의 남자’ 1명뿐

    中 차기 상무위원 유력 7인 중 ‘후의 남자’ 1명뿐

    중국의 권력교체가 예정된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임박한 가운데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이끄는 상하이방(상하이 기반 정치세력) 및 이들과 연대를 이룬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 자제그룹) 인사들을 중심으로 5세대 최고지도부가 구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왔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포함,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7인이 사실상 결정됐다. 시 부주석은 공산당 총서기와 국가주석, 리 부총리는 국무원 총리를 맡게 된다. 서열 2위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에 장더장(張德江) 부총리 겸 충칭(重慶)시 당서기, 서열 4위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에 위정성(兪正聲) 상하이(上海)시 당서기가 사실상 확정됐고, 선전 담당 상무위원에는 류윈산(劉雲山) 중앙선전부장, 경제 담당 부총리에 장가오리(張高麗) 톈진(天津)시 당서기,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에 왕치산(王岐山) 부총리가 유력하다. 이런 인선대로라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이끄는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 출신은 리 부총리와 류 부장 2명에 불과하다. 특히 류 부장은 경합 과정에서 장쩌민 계열로 돌아섰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어 사실상 후 주석 계열은 리 부총리 1명뿐이다. 게다가 시 부주석과 리 부총리를 제외하면 모두 64세 이상으로 장더장, 류윈산, 위정성, 장가오리 등 보수파가 대거 지도부에 진입하게 된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신구세력 간 권력투쟁에서 후 주석이 완패했다는 설명이다. 상무위원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던 리위안차오(李源潮) 중앙조직부장과 왕양(汪洋) 광둥성 당서기는 고배를 마신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이들이 배제된 것은 상대적으로 젊어 다음 기회가 있다는 점을 장 전 주석 등 공산당 원로들이 주장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시 부주석과 리 부총리를 제외한 나머지 5명은 연령 제한에 걸려 19차 전대 때 자동으로 물러나게 된다. 한편 전대를 앞두고 베이징에서 시행되고 있는 과도한 보안 조치들로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미국에 서버를 둔 중국어 매체 보쉰(博訊)이 이날 보도했다. 일부 택시 뒷 좌석의 창문 개폐 장치가 제거됐고, 비둘기와 탁구공까지 감시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전단이 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것. 가위와 연필 깎는 칼, 그리고 리모컨으로 조종되는 소형 장난감비행기도 판매가 제한된 상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파벌 파워 줄고 시진핑 권력 강화… 藥일까 毒일까

    파벌 파워 줄고 시진핑 권력 강화… 藥일까 毒일까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의 준비회의 격인 17기 7중전회(제17기 중앙위원회 제7차 전체회의)가 1일 개막함에 따라 중국의 권력교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향후 10년간 중국을 이끌어 갈 5세대 지도부가 탄생하는 18차 전대, 권력교체 등과 관련된 궁금증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Q 권력교체는 18차 전대에서 완료되나. A 엄밀하게는 아니다. 이번 전대에서는 공산당 최고권력기구인 18기 중앙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대 폐막 다음 날 열리는 18기 1중전회(제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앙정치국 위원과 상무위원, 총서기를 선출하게 된다. 중국은 공산당이 국가와 정부, 군대를 모두 지휘한다는 점에서 총서기 선출을 권력교체로 본다. 국가주석, 총리 등의 승계 작업은 내년 3월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완성된다. Q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총서기직과 주석직을 승계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나. A 절대 불가능하다. 사실상 이미 5년 전 17차 전대에서 계파 간 타협에 따라 시 부주석을 차기 공산당과 국가 지도자로 결정했다. 2010년 시 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에 선임되면서 권력승계를 확정지었다. Q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까지 넘겨주나. A 현재로선 반반이다. 중국에선 후 주석이 중앙군사위 주석직까지 모두 넘겨 ‘완전 승계’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울 것이란 기대가 크지만 후 주석이 전임자인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처럼 2년여간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틀어쥐고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도 여전하다. 장 전 주석은 이 같은 비정상적인 승계에 대해 자신이 마지막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최근에는 후 주석이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시진핑 주석’에게 넘겨주는 대신 총리를 맡게 될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에게 중앙군사위 부주석직을 겸임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마오쩌둥(毛澤東) 집권 시절 저우언라이(周恩來) 당시 총리도 중앙군사위 부주석직을 맡은 바 있다. Q 정치국 상무위원 숫자가 9명인지 7명인지 왜 중요한가. A 중국은 집단지도체제를 표방하기 때문에 상무위원이 적을수록 의사결정이 빨라진다. 최고지도자의 권력도 상대적으로 강해진다. 이번에 상무위원이 기존 9인에서 7인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 당면한 개혁과제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권력집중이라는 부작용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Q 전대에서 선거는 전혀 없나. A 최고지도부를 선출하는 중앙위원회 중앙위원과 후보위원을 뽑을 때 차액선거(후보자를 정원보다 많이 내세워 득표순으로 선출)를 한다. 탈락자 비율(차액 비율)이 높으면 그만큼 공산당 중앙조직부가 후보로 내세운 사람들이 떨어질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7차 전대 때의 중앙위원 선출 당시 차액 비율은 15%로, 2002년 열린 16차 전대보다 5% 포인트 늘었다. 이번에는 차액 비율이 30%까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달라이 라마, 시진핑에 ‘러브콜’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중국의 권력승계가 이뤄지는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대권을 승계할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부친인 시중쉰(習仲勛) 전 부총리와의 인연을 새삼 강조했다.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對)티베트 강경정책 완화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1일 중국어 홈페이지를 통해 달라이 라마가 지난 8월 인터뷰에서 시중쉰과 맺었던 인연을 소개하면서 “그는 우호적이고 사상이 자유로우며 사람이 매우 좋다.”고 회고했다고 보도했다. 달라이 라마는 자신이 1954년 베이징에서 중국어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배울 당시 시중쉰을 알게 됐고, 시중쉰에게 고급 시계를 선물했다고 소개했다. 시중쉰은 이 시계를 차고 다니면서 ‘달라이의 선물’이라고 자랑하곤 했으며, 사망하기 전에 자신을 만나고 싶은 희망을 밝히기도 했다는 것이다. 달라이 라마가 중국의 권력교체를 앞두고 시중쉰과의 인연을 내세운 것은 시 부주석에 대한 간접적인 ‘러브콜’이라는 분석이다. 시 부주석이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오른다면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아니냐는 것이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에 실질적인 자치가 이뤄지길 바라고 있으나 중국 정부는 분리독립 의도라며 허용하지 않고 있다. 달라이 라마의 조카로 역시 시중쉰을 만난 적이 있는 카이두 둔주도 지난 8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중쉰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 타이완에 거주 중인 카이두 둔주는 “시 부주석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처럼 강경한 입장을 취하진 않겠지만, 그렇다고 유연한 자세를 보일지 아직은 알 수 없다.”면서 “개방적인 태도를 보여 주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원자바오 재산 폭로’ 권력투쟁 탓?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가족들의 ‘비밀재산’을 폭로한 뉴욕타임스 보도에 추가 대응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 보도가 당내 권력투쟁의 결과라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는데다 ‘서민총리’ 이미지가 타격을 받은 만큼 명예회복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와 관련, 원 총리 일가가 뉴욕타임스에 보내기 위한 친필 항의서한을 작성했으며, 이달 중순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끝나는 즉시 이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해외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명경뉴스넷이 31일 보도했다. 서한 전달 시점을 18차 전대가 끝난 직후로 정한 것은 중국의 권력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려 차원이라고 명경은 소개했다. 원 총리의 추가대응과 관련해선 중국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베이징대 법학과 허웨이팡(賀衛方) 교수는 “추가대응은 사건을 통제불능의 상태로 비화시킬 수 있는 리스크가 있다는 점에서 실현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베이징이공대 후싱더우(胡星斗)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보도통제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사건을 알고 있고, 원 총리의 해명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원 총리 스스로 대응하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폭로가 원 총리 등을 음해하려는 태자당의 ‘작품’이라는 관측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뉴스사이트 보쉰(博訊)은 이날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서기와 가까운 태자당 세력이 원 총리가 보시라이 처벌을 앞장서 주장한 것에 불만을 품고 ‘비밀재산’을 제보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후원’시대 지고 ‘시리’ 10년체제 시작된다

    中 ‘후원’시대 지고 ‘시리’ 10년체제 시작된다

    중국 공산당이 1일부터 4일까지 17기 7중전회(제17기 중앙위원회 제7차 전체회의)를 개최한다. 2007년 공산당 17차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구성된 17기 중앙위원회의 마지막 회의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4세대 지도부의 두번째 임기인 지난 5년에 대한 평가 및 송별의 자리이다. 하지만 7중전회의 개막 의미는 정작 다른 데 있다. 8일부터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리는 18차 전대 등 향후 보름간 지속될 숨가쁜 권력교체 일정이 본격화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같은 일정이 마무리되면 중국은 ‘후원(胡溫·후 주석-원 총리) 체제’에 이어 5세대 지도부인 ‘시진핑(習近平·왼쪽) 주석’과 ‘리커창(李克强·오른쪽) 총리’가 ‘시리(習李) 체제’를 이뤄 향후 10년을 이끌어가게 된다. 1일 개막하는 17기 7중전회의 또 다른 하이라이트는 ‘보시라이(薄熙來) 사건’에 대한 당의 입장을 확인하는 것이다. 지난 달 28일 중앙정치국회의를 통해 결정한 보 전 서기의 당직과 당적 박탈, 사법처리 개시 등을 추인함으로써 번복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중국 정법대 법학과 퉁즈웨이(童之偉) 교수는 “개혁·개방을 선언하기에 앞서 문화대혁명을 부정했듯 이번 18차 전대에서도 보시라이를 비판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면서 “다시는 홍색 포퓰리즘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민주주의와 법치를 유린한 ‘충칭 모델’의 폐해를 (전대에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는 8일 18차 전대 개막식에서는 후 주석의 ‘정치보고’에 이목이 쏠리게 된다. 4세대 지도부의 10년 성과를 결산하고, 향후 공산당의 노선을 제시하는 연설이다. 정치개혁과 민주주의에 대한 지도부의 의지를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대 폐막일(14일)에는 공산당 당헌인 당장(黨章) 수정안 등 각종 심의안을 의결한다. 당장 수정안에는 덩샤오핑(鄧小平) 이론, 장쩌민(江澤民)의 3개대표, 후진타오(胡錦濤)의 과학발전관이 ‘중국특색 사회주의 이론’으로 묶여 지도사상으로 채택된다. 소문대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毛澤東) 사상’이 당장에서 삭제될지 관심이다. 폐막일 선출되는 18기 중앙위원과 후보위원들은 다음 날인 15일 18기 1중전회(제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를 열어 최고지도부를 선출한다. 비공개로 열리는 이 회의에서 정치국위원 25명을 선출하고, 이 가운데 정치국 상무위원, 총서기를 차례로 뽑는다. 현재 부주석인 시진핑이 총서기직을 승계할 예정이다. 현재 9명인 상무위원 정원은 7명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스텔스기 ‘젠31’ 첫 시험비행 성공

    中스텔스기 ‘젠31’ 첫 시험비행 성공

    중국이 31일 오전 10시 33분쯤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의 한 비행장에서 제2형 스텔스 전투기인 ‘젠(殲)31’의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고 홍콩 봉황TV가 보도했다. 방송은 기체가 온통 까맣게 색칠된 젠31이 젠11BS 2대의 호위 아래 약 10분간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전했다. 또 선양항공기 제조공사가 개발한 젠31이 착륙할 때 낙하산을 펼쳤다고 덧붙였다. 방송은 자체 사이트에서 기체에 ‘31001’이라는 번호가 선명히 새겨진 전투기 사진들도 공개해 젠31 시제품이 완성됐음을 시사했다. 사진은 누리꾼이 찍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2형 스텔스 전투기 젠31 시험 비행은 제18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이뤄졌다. 중국인에게 자부심을 심어줘 순조로운 권력교체를 진행하는 동시에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놓고 대립 중인 일본에 경고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1월 미국 국방장관의 방중에 맞춰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20’의 시험비행을 과시한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언론 ‘3조원 재산스캔들’ 원자바오 구하기

    중국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일가가 27억 달러(약 3조원)에 달하는 ‘비밀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폭로한 것과 관련해 중국 정부와 관영 언론들이 ‘원 총리 구하기’에 나섰다. 원 총리가 재산 공개나 법적 대응을 통해 시비를 가릴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민일보의 포털인 인민망은 30일 ‘뉴욕타임스, 오랜 조작꾼’이란 제목으로 2003년부터 뉴욕타임스를 통해 보도된 허위 보도를 총망라하는 기획 기사를 내놨다. 인민망은 특히 “뉴욕타임스에는 정치적 선전을 위해 허위 보도를 일삼는 사례들이 많이 게재돼 관련 일화를 모아 만든 ‘신문 기만’이라는 제목의 책까지 나왔을 정도”라고 꼬집었다. 원 총리를 언급하진 않았으나 우회적인 반격인 셈이다.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뉴욕타임스의 관련 보도는 중국을 흠집 내기 위한 공작”이라며 연일 뉴욕타임스의 정치성과 공신력을 문제 삼는 데 주력하고 있다. 중화권 매체들도 외곽에서 돕는 분위기다. 둬웨이(多維)뉴스는 당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원 총리가 사건 직후 당 지도부에 보낸 서한에서 “전담 기구를 통해 재산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표해 달라.”고 요청했다며 원 총리의 결백함을 강조했다. 타이완의 중국시보는 원 총리 관련 보도가 중국 내 제보자로부터 의도적으로 나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폭로는 개혁파인 원 총리를 음해하기 위한 좌파의 음모라는 것이다. 원 총리의 동정은 기관지의 주요 기사로 소개돼 그의 신변에 아무런 이상이 없을 것임을 예고했다.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원 총리가 라오스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에 참석하기 위해 새달 4일부터 2박 3일간 출국할 예정이라고 이날 1면에 기사로 보도했다. 원 총리 일가를 대변하는 왕웨이둥(王衛東) 변호사는 홍콩 명보에서 “필요하면 성명을 또 낼 것”이라고 밝히며 자신감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원 총리가 법적 대응이나 실질적인 조사 등을 통해 이번 사건을 확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서기의 아들 보과과(薄瓜瓜)의 방탕한 해외 유학 생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 형제들의 축재설 등이 해외 언론을 통해 전해졌을 때와 마찬가지로 조용히 넘길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중국판 트위터 격인 웨이보(微博)에선 원 총리 관련 언급이 봉쇄된 상태다. 뉴욕타임스 측 변호사인 리진진(李進進)은 이날 명경뉴스망과의 인터뷰에서 “원 총리는 의혹에 대해 해명할 수 없다면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중국 이외 매체에선 원 총리의 소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여론이 조성되고 있는 것과 전혀 다른 분위기다. 대신 웨이보에는 돌연 중국 최고 부동산 개발 기업인 완커(萬科)그룹의 왕스(王石·61) 회장이 30세 이상 차이 나는 20대 중국 여배우와의 열애로 이혼했다는 소식이 보도되면서 온통 왕 회장과 여배우의 신변잡기성 이야기들로 달궈지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주룽지 전총리, 全大 앞두고 깜짝 등장

    새달 8일부터 열리는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앞두고 비교적 대외활동이 뜸했던 주룽지(朱鎔基) 전 총리가 이례적으로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 전 총리는 부인 라오안(勞安) 여사와 함께 지난 24일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서 열린 2012년 칭화(淸華)대 경영관리학원 자문위원회에 참석했다고 관영 중국중앙(CC)TV가 30일 보도했다. 주 전 총리는 행사에서 “칭화대 경영관리학원을 하버드대 경영대학원과 같은 세계 일류 비즈니스스쿨로 키워 가자.”고 당부했다. 이 자리에는 자문위원회 명예위원인 왕치산(王岐山) 부총리, 류옌둥(劉延東) 국무위원, 마카이(馬凱) 국무원 비서장, 위안구이런(袁貴仁) 교육부 부장(장관),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 궈수칭(郭樹淸)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 천위안(陳元) 중국개발은행 회장, 러우지웨이(樓繼偉) 중국투자공사 회장, 창전밍(常振明) 중신그룹 회장 등 경제계 유력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현재 칭화대 경영관리학원 자문위원회 명예주석을 맡고 있는 주 전 총리는 중국의 경제성장을 이끈 주역으로 국내외에서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으며 경제, 금융분야에서 막강한 인맥을 형성하고 있다. 후싱더우(胡星斗) 베이징이공대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주 전 총리는 개혁·개방을 강조하는 개혁파 인물로 전대를 앞두고 돌연 공개활동에 나서 얼굴을 비친 것은 이번 전대에서 권력을 승계할 개혁파 인사들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후 교수는 이번 전대에서 선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당 중앙 상무위원(최고 지도부) 후보들 중 주 전 총리가 지지하는 개혁파 인물들로 왕치산 부총리, 리위안차오(李源潮) 당 중앙 조직부장, 왕양(汪洋) 광둥(廣東)성 당서기 등을 꼽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불도저 행정’ SNS에 제동 걸렸다

    中 ‘불도저 행정’ SNS에 제동 걸렸다

    중국 지방정부가 주민 저항에 굴복해 대형 프로젝트를 중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주민들의 높아진 권리 의식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성화 등으로 중국에서도 더 이상 ‘불도저 행정’이 통하지 않게 된 것이다. 저장(浙江)성 닝보(寧波)시 정부가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시노펙)와 진행 중이던 석유화학공장 증설 프로젝트를 백지화하기로 했다고 중국신문망이 29일 보도했다. 앞서 닝보 시민 수만명은 공장 증설에 따른 환경오염을 우려해 지난 22일부터 일주일 넘게 대규모 시위를 벌여 왔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게 될 화학물질 파라크실렌(PX)이 중추신경계와 간, 신장 등의 장기를 손상시킬 수 있고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소문이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면서 시위가 격화됐다. 급기야 지난 주말 시위에는 ‘유모차 부대’까지 나섰으며 시위 현장에는 ‘닝보를 수호하자’, ‘다음 세대를 위해 투쟁하자’ 등의 플래카드와 함께 일부 반정부 구호까지 등장했다. 주민들이 환경오염을 우려해 지방정부의 대형 개발 계획을 무산시킨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6월 쓰촨(四川)성 스팡에서는 104억 위안(약 1조 8600억원) 규모의 구리합금 공장 건설 계획이 주민 반발로 백지화됐고 7월에도 장쑤(江蘇)성 치둥(啓東)시 정부가 주민 저항에 굴복해 폐수 배출관 건설 계획을 포기했다. 지난해 8월에는 수만명이 연일 대대적인 시위를 벌여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의 석유화학공장 가동을 중단시킨 바 있다. 중국의 지방정부들은 경제 성장 실적을 높이기 위해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기업 유치에 나섰고 지금까지 주민들의 반발을 무시하면서 프로젝트를 강행해 왔다. ‘실적=승진’이라는 지방정부 지도자들의 그릇된 공직관도 한몫했다. 하지만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활성화된 가운데 주민들이 자신들의 권리에 눈을 뜨기 시작하면서 이런 밀어붙이기식 ‘개발 독재’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중국측 역사왜곡 실태

    중국측 역사왜곡 실태

    고구려사와 발해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된 것은 지난 2002년 무렵이다. 겉으로는 동북지역 역사에 관한 연구라는 이름으로 포장했으나 실제로는 한반도 통일 이후 제기될 수 있는 동북지역 영토 귀속 분쟁과 헤이룽장(黑龍江)성, 지린(吉林)성, 랴오닝(遼寧)성 등 동북 3성과 관련 있는 소수민족을 통제하려는 목적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관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을 동원해 당초 5년 시한으로 추진됐던 프로젝트가 지금까지 계속 확대 진행되고 있다. 고구려와 발해 등을 포함해 고대 동북지역 부족 및 국가의 역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기 위해 ‘고대 동북 속국·방국사’ 발간을 중앙정부가 전폭 지원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현재의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와 문화는 중국에 귀속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연구 대상에는 고구려, 발해, 고조선, 부여뿐만 아니라 중국 동북 3성 안에서 일어난 모든 역사가 포함되어 있다. 지난 8월에는 만리장성의 길이를 기존 발표치보다 2배 이상 늘어난 2만 1196㎞라고 주장하면서 그 동쪽 끝을 고구려와 발해가 지배하던 지린성과 헤이룽장성까지라고 억지주장을 펴기도 했다.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동북공정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의도다. 관영 중국중앙(CC)TV는 지난해 말 한 달여에 걸쳐 매주 토요일마다 ‘창바이산’(長白山·백두산의 중국식 이름)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발해를 세운 주체가 중국 동북지역의 소수민족으로, 발해가 당나라의 지방정부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713년 당나라 황제 현종이 대조영을 발해의 군왕으로 책봉했다고도 주장했다. 역사적 사실과 배치되는 내용 일색이어서 논란이 됐다. 중국은 또 지난해 6월 자국 내 소수민족의 민요와 풍습이 포함된 제3차 국가무형문화유산을 발표하면서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의 ‘아리랑’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