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주현진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 백민경
    2025-08-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776
  • [시진핑號 어디로] (2) 민주화와 정치 개혁

    [시진핑號 어디로] (2) 민주화와 정치 개혁

    시진핑(習近平) 시대의 최대 화두는 단연 정치개혁이다. 망국병으로까지 거론될 정도로 심화된 부정부패를 척결하기 위해 정치개혁은 미룰 수 없는 과제라는 점에 대해서는 중국사회 내 이견이 없다. 그러나 각론으로 들어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언론통제 완화, 사법개혁, 당정 분리 등 정부 감독 강화와 정부 권력 제한을 골자로 하는 정치개혁 구체안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는 민주화와 직결되고 공산당 일당 독재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이 때문에 공산당 지도부는 정치개혁은 하되 서구식 민주제 도입은 절대로 안 된다고 쐐기를 박고 나섰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은 지난 8일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식 정치보고에서 중국의 정치노선과 관련, “폐쇄된 옛길로 가지 않겠지만, 동시에 깃발을 바꿔 달고 사악한 새 길로 가지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언론들은 “폐쇄된 옛길이란 개혁·개방 이전의 (마오쩌둥식) 소비에트 사회주의를, 사악한 새 길이란 자본주의 정치 체제와 서구식 입헌민주주의 노선을 말하는 것”이라고 부연설명했다. 시진핑 총서기도 “18차 전대 정치보고는 당이 어떤 깃발을 내걸지, 어떤 길을 갈지를 명확히 선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3권 분립, 양원제 등 서구식 민주주의는 안 된다는 것이다. 중국 내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시 총서기의 정치개혁 의지가 부족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자신을 덩샤오핑(鄧小平)의 중국특색 사회주의 계승자로 강조한 대목도 예사롭지 않다는 지적이다. 베이징의 한 우파 지식인은 “덩샤오핑의 중국특색 사회주의는 경제적으로는 개혁·개방을 허용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일당 독재 구조와 사회 통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 덩샤오핑 이후 중국 지도자들은 ‘강경 진압’에 나섰던 공통점이 있다. 후 주석은 1989년 티베트자치구 당서기 당시 철모를 쓰고 시위대 제압에 성공해 최고지도자로 오르는 발판을 마련했고, 같은 해 톈안먼(天安門) 사건 당시 상하이시 당서기였던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은 상하이 지역의 격렬했던 학생시위에 적극 대처해 총서기로 발탁됐다. 시 총서기의 경우 지난 2009년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서 한족과 위구르족 간 민족 갈등이 폭발했을 때 위구르 분리독립 세력 탄압을 주도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중국 내 제도권 학자들은 서구식 민주주의가 아니더라도 당내 민주화 확대를 통해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한다. 급격한 서구식 정치체제를 도입하는 대신 당내 민주화 확대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내 민주화 역시 아직은 요원해 보인다. 이번 중앙위원 선거에서 중국 공산당이 당내 민주화의 척도로 여기는 차액선거(정원보다 많은 후보자를 등록시켜 득표 수가 적은 후보를 탈락시키는 선거방식) 비율이 5년 전에 비해 겨우 1% 포인트 늘어난 데 그친 것이 그 방증이다. 새 상무위원 대부분이 기득권층으로 대표되는 태자당과 상하이방인 점도 정치개혁 회의론을 부채질한다. 개혁파 후야오방(胡耀邦) 전 총서기의 아들인 후더핑(胡德平) 정협 상무위원은 최근 태자당 모임에 나가 정부에 대한 공산당의 지배력 제한을 주장했으나 별 호응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후진타오, 장쩌민式 ‘원로정치’ 어려울 듯

    17기 정치국 상무위원 9명 가운데 5세대 지도부로 올라선 시진핑(習近平)과 리커창(李克强)을 제외하고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비롯한 나머지 7인은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선거가 이뤄진 지난 14일을 기점으로 당무에서 손을 뗐다. 사실상 퇴임한 것이지만 이번 18차 전국인민대표대회(전대) 주석단에서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후 주석에 이어 서열 2위에 거명되는 등 원로 정치가 활발한 중국의 정치 환경을 감안할 때 이들의 퇴임 후 활동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단 후 주석은 장 전 주석처럼 퇴임 후에도 일인자에 이은 실질적인 당 서열 2위로 공식행사에 참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최고지도부 계파 분배에서도 태자당(당·군·정 원로 자제 그룹)과 상하이방(상하이 관료 출신)이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는 등 후 주석의 영향력이 장 전 주석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후 주석의 비서출신인 천스쥐(陳世炬) 중앙군사위 판공청 주임이 전날 중앙위후보위원 진입에 실패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풀이되고 있다. 이와 상관없이 후 주석은 내년 3월 전대가 열릴 때까지 국가주석직과 국가 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수행한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상무위원장·자칭린(賈慶林)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도 내년 3월까지 직무를 수행한다. 물론 당이 국가를 이끄는 특성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역할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선전을 담당했던 리창춘(李長春), 중앙기율위 서기였던 허궈창(賀國强), 당 정법위 상무위원이었던 저우융캉(周永康) 등 당직만 보유했던 인사들은 대외 활동 타이틀도 없다. 이런 가운데 허궈창이 튀임 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뉘앙스의 발언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그는 전대 마지막 날인 15일 자신의 고향인 후난(湖南)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18차 전대를 끝으로 지도자 직책에서 물러난다.”면서 “은퇴를 하더라도 전처럼 고향의 발전을 위해 계속 공헌할 것이다.”라며 여운을 남겼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개막] 당권·군권 거머쥔 시진핑 “부정부패·관료주의 반드시 해결”

    [中 시진핑시대 개막] 당권·군권 거머쥔 시진핑 “부정부패·관료주의 반드시 해결”

    중국 공산당의 시진핑(習近平) 총서기가 첫 목소리에 강력한 힘을 실었다. 그는 15일 총서기 선임 이후 첫 공개행사에서 “당 간부들 사이에 부정부패, 민중들에 대한 외면, 형식주의, 관료주의 등의 문제가 있다.”며 모든 힘을 기울여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역설했다. ‘보시라이(薄熙來) 사건’과 빈부격차 확대 등으로 공산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위험수위에 도달했다는 인식이어서 주목된다. 첫 국정과제를 부정부패 척결 등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대대적인 사정 태풍이 몰아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시 총서기가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완전한 권력교체가 이뤄졌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으로부터 당권과 함께 군권(중앙군사위 주석)까지 넘겨받았다. 이 같은 완전한 권력교체는 중국 건국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18기 1중 전회(제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를 열고 시 총서기를 비롯해 5세대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 7인을 선임했다. 상무위원에는 시 총서기와 리커창(李克强), 장더장(張德江), 위정성(兪正聲), 류윈산(劉雲山), 왕치산(王岐山), 장가오리(張高麗)가 선임됐다. 리커창은 국무원 총리, 장더장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위정성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류윈산은 국가부주석, 왕치산은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장가오리는 상무 부총리를 맡게 된다.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 출신인 리커창을 제외하고 나머지 인사들이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의 자제그룹) 및 그 연합 세력인 상하이방(상하이 지역 정치세력)인 점은 시 총서기에게 더욱 큰 힘이 될 수 있다. 2002년 당시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후임자인 후 주석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권력을 물려주면서 당초 7인이던 상무위원 수를 9명으로 늘려 자기 계파 사람들을 대거 밀어넣었고, 후 주석은 첫 번째 임기 5년 동안 자신만의 정책을 펼 수 없었다. 시 총서기 입장에서는 최고지도부가 7인으로 줄어들어 의사결정의 효율성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5세대 지도부 인사 대부분이 중도 보수 성향이어서 중국 사회가 갈망하는 개혁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류윈산은 언론과 인터넷 통제를 주도해 온 인물이고, 장더장은 중국 사회의 최대 개혁 과제인 국유기업의 발전을 외쳐 지식인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20여년간 석유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장가오리도 향후 중국 국유 석유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할 인물로 꼽힌다. 후 주석의 ‘완전퇴진’과 관련해선 장 전 주석보다 군 장악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비난을 감수하고 실익이 없는 중앙군사위 주석 자리를 지키는 것보다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정치적 실익을 도모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중앙군사위 주석직 이양과 측근 인사들의 미래를 연계했을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후진타오 통치이념 마오쩌둥 반열 올라

    [中 시진핑시대] 후진타오 통치이념 마오쩌둥 반열 올라

    중국은 14일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통치 이념인 ‘과학발전관’을 ‘마오쩌둥(毛澤東) 사상’과 같은 반열로 승격시켰다. 중국 공산당이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마지막 날인 이날 당헌 격인 당장(黨章)을 수정, ‘과학발전관’을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鄧小平) 이론’,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3개 대표 중요 사상’과 함께 당의 행동 지침으로 삼기로 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후 주석의 과학발전관은 4년 전 17차 전대 때 당장에 삽입됐지만 당시에는 당의 행동 지침으로 등재되지 못했다. 이로써 후 주석은 퇴임 뒤에도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장 전 주석처럼 ‘상왕’(上王)의 지위를 확보하게 됐다는 평이다. 개정 과정에서 삭제 여부를 놓고 주목됐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 사상’은 그대로 유지됐다. 다만 덩샤오핑이 주창한 “개혁·개방만이 중국과 사회주의,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대목을 삽입하는 등 개혁·개방을 강조했다. 좌파의 반발을 우려해 ‘마오 사상’ 등을 삭제하지는 못했으나 중국의 미래가 여전히 개혁·개방에 달려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공산당은 또 과학발전관의 주요 내용인 ‘생태문명건설’을 당장에 중점적으로 명시했다. 경제성장 방식의 전환, 내수 확대, 도시와 농촌의 균형 발전,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호를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과학발전관의 핵심 내용이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中전대 중앙위원 1·2번 시진핑·리커창

    14일 폐막한 중국 공산당 18차 전대에서 중앙위원과 후보중앙위원이 선출돼 18기 중앙위원회가 구성됨에 따라 중국의 권력교체 드라마는 15일 하이라이트인 최고 지도부 선출만 남겨 놓게 됐다. 이번에 뽑힌 18기 중앙위원은 205명으로 17기에 비해 한 명이 많다. 205명 가운데 116명은 새로 중앙위원에 선임돼 교체 비율이 50%를 넘었다. 이날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17기 정치국 상무위원 9명 가운데 총서기와 국무원 총리로 각각 내정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제외하고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나머지 7인은 18기 중앙위원 명단에 없어 퇴진을 확정했다. 후 주석의 ‘완전퇴임’ 여부는 15일 18기 1중전회에서 그가 중앙군사위 주석직을 유지하느냐로 판가름나게 된다. 보쉰 등 일부 해외 중화권 매체는 후 주석의 ‘완전퇴임’을 점치고 있다. 시 부주석과 리 부총리 등 5세대 지도부를 승계할 6세대 주자로 꼽히는 후춘화(胡春華)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당서기, 저우창(周强) 후난(湖南)성 당서기, 쑨정차이(孫政才) 지린(吉林)성 당서기 등은 지난 17기에 이어 18기에도 중앙위원에 선출됐다. 후 주석 계열인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의 루하오(陸昊) 중앙서기처 제1서기 등도 중앙위원에 선임돼 차기 경쟁에 합류했다. 시진핑 체제에서 중책을 맡을 것으로 보이는 얼굴들도 대거 중앙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멍젠주(孟建柱) 공안부장은 공안·사법 분야를 총괄하는 중앙정법위 서기, 장춘셴(張春賢) 신장(新疆)자치구 당서기는 중앙조직부장, 류치바오(劉奇?) 쓰촨(四川) 성 당서기는 중앙선전부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중앙위원이었던 조선족 출신 전철수(全哲洙) 중앙통전부 부부장이 중앙위원에 입성해 한동안 끊겼던 조선족 중앙위원의 명맥을 이어 가게 됐다. 김진길(金振吉) 지린성 정법위 서기는 득표 서열 6위로 후보중앙위원에 선임돼 19기 중앙위원 자리를 예약했다. 중국작가협회 주석 출신인 지한파(知韓派) 여류 소설가 톄닝(鐵凝)도 중앙위원에 선임됐다. 톄닝을 포함, 여성은 전체 중앙위원의 4% 수준인 총 10명이 뽑혔다. 부총리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류옌둥(劉延東) 국무위원과 톈진(天津)시 당서기로 유력한 쑨춘란(孫春蘭) 푸젠(福建)성 당서기는 여성으로서 정치국위원에 선임될 것으로 알려졌다. 탈락할 것으로 알려졌던 후 주석의 측근 링지화(令計劃) 중앙통전부장과 태자당 출신 군 고위 간부인 류위안(劉源)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정치위원은 예상과 달리 중앙위원에 재선임됐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號 어디로] (1)강한 힘의 외교 펼친다

    [시진핑號 어디로] (1)강한 힘의 외교 펼친다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15일 드디어 중국의 1인자로 올라선다. G2(주요 2개국)의 한 축이 시진핑에게 맡겨진 것이다. 막강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물려받았지만 그의 앞에는 세계 경기침체의 지속과 빈부격차에 따른 사회갈등 고조 등 안팎 도처에 해결해야 할 과제가 즐비하다. ‘시진핑의 중국’을 다섯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평화로운 굴기(?起·우뚝 일어섬)는 불가능하다.” 중국 공산당은 지난 8일 시진핑 시대 10년을 여는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식 당시 밝힌 외교·군사 노선 보고에서 기존의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며 힘을 기르다) 기조를 버리고, 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한 ‘패권 외교’를 펴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중국은 군비경쟁을 벌이지 않을 것이고, 어떤 국가에 대해서도 군사적 위협을 조성하지 않겠다.”(17차 전대 ‘정치보고’)던 메인 테마를 삭제하는 대신 “중국 국방건설의 목적은 국가 주권, 안전, 영토의 완전한 보존, 평화발전을 위한 보장에 있다.”(18차 전대 ‘정치보고’)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2020년 군 기계·정보화 예사롭지 않아 특히 “국제적 지위에 걸맞고 국가 안보와 발전 이익에 부응하는 강한 군대를 건설하는 것이 전략적 임무”라고 선언했다. 절대로 타협할 수 없는 ‘국가 주권’과 ‘핵심이익’ 개념이 군사 분야에도 등장했다는 점은 예사롭지 않은 대목이다. 중국은 과거 주권과 이익이란 개념을 시짱(西藏·티베트), 신장(新疆) 등 자국 영토에 국한해 사용해왔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필리핀·베트남 등과 분쟁 중인 남중국해, 일본과 대치 중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 영토분쟁 지역에까지 확대시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군대의 국가발전 수호 목표를 적시한 것은 중국이 패권 외교를 관철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 같은 점에서 ‘시진핑 시대’의 중국은 미국과 협력보다 경쟁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부주석이 연초 워싱턴을 방문하면서 내세웠던 ‘신형 대국관계 구축’은 ‘아시아·태평양 중시’를 선언한 미국의 ‘중국 봉쇄’에 맞선 개념이다. 당초 시 부주석이 내세웠던 신형 대국관계 구축은 ▲조화 추구 ▲선의 경쟁 ▲상호 공영 등 3원칙을 통해 서로 ‘윈·윈’하자는 것이지만, 역설적으로 ‘중화 패권’을 꿈꾸는 중국으로서 경쟁에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美 견제·영토갈등 심화에 부담 느낄 수도 실제 중국은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군 기계화와 정보화에 중대한 진전을 이루겠다며 일정표를 구체화했다. 군사력 강화 영역도 확대했다. 정치보고에서 항공모함 건설 등을 통한 원양 해군 육성과 우주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뜻을 강조한 바 있다. 세계적인 군비 절감 추세 속에 군의 현대화를 내세워 나홀로 확충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이 향후 10년간 4920억 달러(약 541조원)의 국방예산을 줄이겠다고 밝힌 것과는 달리 중국은 올해 국방비를 1000억 달러 이상으로 늘렸다. 첫 항공모함인 랴오닝(遼寧)을 진수시킨 데 이어 향후 5년 내 3척 이상의 항모군단을 배치한다는 계획도 가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진핑이 튼튼한 군 배경을 가졌다는 점에서 군사력 강화 노선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한 군사와 외교를 강조한 18차 전대 정치보고의 초안을 시진핑이 작성했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실제로 그는 1979년 중앙군사위원인 겅뱌오(耿飇) 국방부장의 비서로 3년간 군을 경험했고, 푸젠(福建)성과 저장(浙江)성 등에서 근무할 때 군을 직접 지휘했다. 국내적으로 고조되는 민족주의 정서를 무시할 수도 없다. 다만 중국이 자기 목소리를 내면서 미국의 견제를 받고 주변과는 영토갈등이 잦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진핑 체제가 강경 일변도로 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시대 열렸다… 15일 1인자 총서기 ‘등극’

    시진핑 시대 열렸다… 15일 1인자 총서기 ‘등극’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마침내 중국의 1인자로 등극한다. 중국 공산당은 15일 오전 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18기 1중전회)를 열어 시 부주석을 당 권력서열 1위인 총서기로 선출할 예정이다. 이로써 시 부주석을 필두로 한 중국의 5세대 지도부가 출범하게 된다. 5세대 지도부에는 내년 3월부터 국가주석으로서 명실상부하게 당과 국가를 책임질 시 부주석과 국무원 총리로서 보조를 맞추며 정부를 이끌 리커창(李克强) 부총리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중국 공산당은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마지막 날인 14일 18기 중앙위원회를 구성할 중앙위원 205명과 후보중앙위원 171명 등을 선출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전대 폐막식에서 “오늘 새로운 중앙위원들이 선출됨으로써 우리는 ‘신로교체’(新老交替)를 실현했다.”며 사실상 ‘시진핑 시대’가 열렸음을 선포했다. 18기 중앙위원에는 시 부주석과 리 부총리를 비롯해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임돼 5세대 지도부 합류가 유력시되는 장더장(張德江) 충칭(重慶)시 당서기, 위정성(兪正聲) 상하이시 당서기, 류윈산(劉雲山) 중앙선전부장, 장가오리(張高麗) 톈진(天津)시 당서기, 왕치산(王岐山) 부총리 등이 선출됐다. 반면 후 주석을 비롯해 우방궈(吳邦國)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자칭린(賈慶林)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 등 4세대 지도부는 18기 중앙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아 사실상 퇴진이 확정됐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후의 남자’ 링지화 중앙위 탈락하나

    [中 시진핑시대] ‘후의 남자’ 링지화 중앙위 탈락하나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폐막일인 14일 실시되는 18기 중앙위원 및 후보중앙위원 선거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오른팔인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이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3일 보도했다. 중앙위원 선출은 차액선거(정원보다 많은 후보를 등록시켜 최소 득점자 순으로 탈락시키는 선거) 형태로 이뤄지는데 이번 18차 전대에서는 후보 가운데 모두 19명이 탈락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여기에 링 부장이 포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 주석의 향후 입지가 크게 좁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링 부장이 탈락 위기에 놓인 것은 지난 3월 발생한 아들의 페라리 교통사고 스캔들을 은폐하면서 도덕성이 도마에 올랐기 때문이다. 당시 링 부장의 아들은 반나체의 여성 두 명을 페라리에 태우고 가던 중 사고를 내고 현장에서 즉사했다. 사건은 조용히 묻혀지는 듯했으나 지난 9월 해외 매체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고, 링 부장은 중앙판공청 주임(청와대 비서실장 격) 자리에서 현 직책으로 밀려났다. 입장이 곤란해진 것은 링 부장의 보스인 후 주석이다. 원로들과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시 당서기 추종자들은 링 부장 역시 보 전 서기와 공평하게 조사를 받아야 한다며 후 주석을 압박하고 있다. 후 주석이 영향력을 발휘해 링 부장을 중앙위원회에 밀어넣더라도 링 부장은 당 내부 조사를 피할 수 없고, 그렇다고 구명을 포기할 경우 자신의 세력을 보호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후 주석이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한편 보 전 서기는 당초 20년 징역형이 예상됐지만 지금은 사형 가능성도 있다고 이날 홍콩 명보가 보도했다. 신문은 최고인민검찰원 고위 관계자가 최근 공산당 창당 이래 고위급 간부 가운데 유일하게 사형 처리된 청커제(成克杰) 전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부위원장 사건을 언급한 것을 근거로 보 전 서기에 대한 처리 수위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당국은 현재 보 전 서기의 형제들까지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부친 실각·입당 10차례 퇴짜… ‘고난’이 키운 1인자

    [中 시진핑시대] 부친 실각·입당 10차례 퇴짜… ‘고난’이 키운 1인자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은 15일 새로 출범하는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의 첫 번째 전체회의(18기 1중전회)를 통해 13억명의 중국인, 8200여만명의 중국 공산당원 가운데 서열 1위의 인물로 올라서게 된다. ‘만인지상’의 자리인 공산당 총서기에 오르기까지 시 부주석은 여러 차례 중요한 고비를 넘겨야 했다. 태자당(당·정·군 혁명원로 자제 그룹) 원로이자 시 부주석의 정치적 후원자인 쩡칭훙(曾慶紅) 전 부주석이 2007년 “모든 계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인물”이라며 그를 5세대 지도자로 천거했을 때만 해도 시 부주석의 입지는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밀었던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에 비해 넓지 않았다. 시 부주석은 평생 크게 네 차례의 중대 고비를 넘겨 중국의 1인자가 된다. 첫 번째 고비는 1962년 부친인 시중쉰(習仲勛·1913~2002) 전 부총리의 실각과 뒤이어 찾아온 문화대혁명(1966~1976년)의 광풍 속에서 시작됐다. 공산당 고위 간부들의 집단거주지인 베이징 중난하이(中南海) 출신의 ‘홍색 귀족’ 태생이지만 아홉살 때 아버지가 류즈단(劉志丹) 사건에 연루돼 권력투쟁에서 밀려나면서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했다. 4년간은 그럭저럭 버텼으나 문혁이 시작되자 사상 비판을 받고 13세의 나이에 소년관리소라는 교화시설에 다녀온 데 이어 15세 되던 해에 ‘지식청년’으로 분류돼 산시(陝西)성 옌안(延安)시 량자허(梁家河)촌으로 하방됐다. 하지만 시 부주석은 3개월을 못 버티고 베이징으로 탈출했다. 만약 복귀하지 않았다면 오늘의 시진핑은 있을 수 없다. ‘소년 시진핑’은 백부와 백모의 설득에 따라 농촌에서 뼈를 묻는다는 각오로 량자허로 돌아갔고 이때부터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훗날 그는 당시 생활에 대해 오관(五關·5대 관문)을 거쳤다고 회고했다. 벼룩, 노역, 배고픔, 고된 일상, 부적응이다. 그는 2000년 잡지 중화아녀(中華兒女)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의 내가 있는 것은 량자허촌에서의 체험 때문이다. 그 기간 동안 나는 실사구시가 무엇인지 대중이 무엇인지를 알게 됐고 나 스스로에 대해 굳은 자신감을 키웠다.”고 회상했다. 두 번째 고비는 공산당 입당 거절이다. 하방 기간 동안 그는 공산당에 입당하려 애썼지만 당국은 부친의 사상 등을 문제 삼아 열 차례 퇴짜를 놓았다.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다행히 그의 성실성을 눈여겨본 간부의 추천으로 부친에 대한 명확한 평가가 나오기 전인 1974년에 입당을 허가받을 수 있었고, 이어 량자허 당지부 서기도 됐다. 1975년 칭화대에 입학할 수 있는 공농병 청강생 정원 두 자리가 옌안에 할당됐고, 한 자리가 그에게 돌아가면서 7년간의 하방 생활을 접고 베이징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 지식청년으로 분류되면서 중2 중퇴의 학력이 전부인 그에게 학업의 기회가 주어졌고 인생의 반전이 시작된 것이다. 시 부주석은 1985년부터 2002년까지 무려 17년 동안 남동부 푸젠(福建)성에서 근무했다. 샤먼(厦門)시 부시장부터 시작해 성장까지 역임했다. 그런 그가 ‘위안화(遠華)그룹 밀수 사건’의 폭풍 속에서 살아남은 것은 세 번째 고비를 넘은 것으로 평가된다. 위안화그룹은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인 530억 위안(약 9조 5400억원)의 밀수에 관여했고, 위안화그룹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푸젠성의 주요 간부들이 줄줄이 처벌됐다. 시 부주석이 이 사건을 계기로 청렴성을 인정받았다고도 하지만 일각에서는 그가 1999년 푸젠성 대리성장 당시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007년 6월 25일은 시 부주석이 잊을 수 없는 날이다. 2002년 공산당 16차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시 부주석은 가까스로 16기 중앙위원이 됐다. 반면 리 부총리는 후 주석의 총애를 받으며 차세대 주자로 떠올랐다. 국내외 언론도 리 부총리를 집중 조명했다. 하지만 17차 전대를 석 달여 앞둔 2007년 6월 25일 공산당 간부와 원로 400여명을 상대로 실시한 ‘차기 정치국위원 선임과 관련한 민주적 추천’ 조사에서 시 부주석은 압도적인 표차로 리 부총리를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이 고비를 끝으로 시 부주석은 5세대의 1인자 ‘티켓’을 당당히 거머쥐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시·리 시대’ 앞둔 中 ‘親民’ 이미지 띄우기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14일 18기 중앙위원회를 구성할 중앙위원과 후보중앙위원을 선출하고 폐막된다. 공산당은 이어 15일 18기 1중전회(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를 열어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포함한 5세대 지도부를 선출한다. 국가주석과 국무원 총리를 예약한 시 부주석과 리 부총리 띄우기가 본격화됐다. 시 부주석이 하방했던 산시(陝西)성 옌안(延安)시 대표 자격으로 전대에 참가한 야오인량(姚印良) 당서기는 지난 12일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 부주석의 ‘지식청년’ 시절 활동상을 대대적으로 선전했다고 관영 신화통신 등이 13일 보도했다. 야오 서기는 “시 부주석은 1969년 당시 베이징에서 옌안으로 하방된 2만 8000여명의 지식청년 가운데 한 사람이었지만 7년간 작은 토굴에서 지내면서 생산 대대 간부까지 올라간 인물”이라면서 “현지 주민들은 모두 그를 ‘훌륭한 젊은이’로 기억하는 등 그에 대해 매우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시 부주석을 한껏 치켜세웠다. 리 부총리가 당서기로 재직했던 랴오닝(遼寧)성의 국유기업 ‘판진’의 리샤오둥(李曉東) 회장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리 부총리의 ‘친민(親民)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리 회장은 “랴오닝성에서 리 부총리를 접해 본 사람들은 모두 그가 매우 똑똑하고 지혜로우며 통이 큰 데다 선량하고 친절하다는 느낌을 가졌다.”면서 “무엇보다 기층 민중들에 대해서도 각별히 신경 쓰는, 따뜻한 지도자였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후진타오, 예상 깨고 깨끗이 용퇴할 것”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권력교체 과정에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에게 공산당 총서기는 물론 중앙군사위 주석까지 모두 물려주고, 내년 3월이면 모든 공직에서 완전히 은퇴할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2일 보도했다. 후 주석은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폐막 다음 날인 15일 열리는 18기 1중전회(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 부주석에게 총서기직을 넘겨 주고,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국가주석직도 물려줄 예정이다. 하지만 중앙군사위 주석직의 이양과 관련해선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과 마찬가지로 퇴임 후에도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었다. SCMP가 인용한 소식통의 말에 따르면 후 주석은 장 전 주석이 권력을 이양하면서 중앙군사위 주석을 2년간 더 맡았던 당시 벌어졌던 논쟁을 피하고 싶어 하며, 좋은 평가와 이미지를 남기고 떠나려 하기 때문에 중앙군사위 주석직도 총서기 자리와 함께 물려주기로 결정했다. 장 전 주석의 ‘나쁜 선례’를 따르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후 주석이 완전한 은퇴를 결심한 이유에 대해서는 분석이 엇갈린다. 중국 역사학자 장리판(章立凡)은 “장 전 주석과 달리 후 주석은 야망이 큰 지도자는 아니었다.”면서 “10년간의 지도자 업무에 많이 지친 것처럼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자신이 지원하는 인물들의 승진을 위한 ‘협상 카드’로 이 같은 선택을 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보수파 상무위 장악땐 中 미래 없어 시진핑 시대 개혁 장애물은 기득권”

    [中 시진핑시대] “보수파 상무위 장악땐 中 미래 없어 시진핑 시대 개혁 장애물은 기득권”

    중국의 대표적인 개혁파 지식인인 베이징이공대 경제학과 후싱더우(胡星斗) 교수는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을 필두로 한 5세대 지도부의 성공 여부는 개혁적인 성향의 인사들이 얼마나 포진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와 18기 1중전회(18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 기간인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비판적인 지식인들의 외신 인터뷰를 금지했다. 후 교수도 추가 인터뷰 요청에 대해 “오는 20일까지 (당국에) 외신과 인터뷰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털어놨다. 이번 인터뷰는 전대 개막 전인 지난 6일 베이징이공대의 한 식당에서 이뤄졌다. →5세대 상무위원에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계열의 비교적 나이 많은 인사들이 선임된다는 보도가 있는데. -언론은 15일 직전까지도 계속 인사 변동 기사를 쏟아내겠지만 중국의 5세대 지도부 7인은 진작 확정됐다. 우리만 모를 뿐이다. 핵심은 개혁적인 인사들이 얼마나 포진되느냐다. 5세대 지도부는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집권 10년간 손대지 못한 정치·경제 등 각 분야의 개혁을 단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또다시 보수적인 인사들로 집단지도부가 구성될 경우 중국의 미래는 희망이 없다. →‘시진핑 시대’ 중국 정치개혁의 최대 장애는 무엇인가. -기득권이다. 일인자인 공산당 총서기는 국민이 아닌 중앙위원들이 뽑는다. 중앙위원들은 당·정·군의 핵심을 도맡는 중국의 기득권 집단이다. 개혁에는 기득권의 희생이 필요하다. 시 부주석은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희생을 요구해야 한다. 그의 지지 기반은 그의 강점인 동시에 최대 장애물이다. →시진핑 시대에 최소 7%라도 성장을 이어 갈 수 있나. -향후 10년간 중국의 경제 성장을 장담하기 어렵다. 공권력이 개입된 경제는 발전에 한계가 있다. 지난 10년간 중국의 경제 성장은 (수출, 내수, 투자 가운데) 정부 투자로 이뤄졌다. 해외 경기가 좋지 않아 중국은 이제 수출로 활로를 모색하기도 힘들다. 당국은 17차 전대 당시 ‘내수 확대’를 대안으로 내놨지만 인민들의 수입이 낮아 실현되지 못했고 앞으로도 개혁이 없으면 실현될 수 없다. →시진핑 시대의 핵심 과제와 전망은. -중국의 지난 10년은 국부민궁(國富民窮·나라는 부유한데 국민은 가난하다)으로 요약된다. 부와 자원이 국유기업에 쏠렸다. 기득권의 특권만 강화됐고, 이로 인해 부정부패와 비리가 양산됐으며 양극화라는 결과가 초래됐다. 기득권만 배 불리는 국가주도형 경제에서 민간주도형 경제로 전환하지 않으면 심각한 동란이 일어날 것이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극좌 보시라이·극우 왕양 배제… ‘중도보수’ 집단지도체제 구축

    [中 시진핑시대] 극좌 보시라이·극우 왕양 배제… ‘중도보수’ 집단지도체제 구축

    이미 확정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를 비롯해 집단지도 체제를 구축할 중국의 5세대 최고 지도부가 ‘중도 보수’ 성향의 인사들로 채워지게 됐다. 실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확정됐거나 거론되는 7인 모두 ‘중도 보수’ 성향이다. 마오쩌둥(毛澤東)과 덩샤오핑(鄧小平) 이후 절대 권력자가 사라진 상황에서 계파 간 합의가 지도부 선발의 기준이 되면서 기득권층의 이익을 수호하면서도 여러 계파가 용인할 수 있는 인물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우선 시 부주석은 ‘각 계파가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인물’이어서 5년 전 ‘1인자’ 자리를 예약했다. 반면 극단적인 인물들은 이번 상무위원 경쟁에서 배제됐다. 극좌 아이콘인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重慶)시 당서기는 솽카이(雙開·당적과 공직 동시 박탈) 처리됐고 보 전 서기의 라이벌로 개혁파 주자인 왕양(汪洋) 광둥(廣東)성 당서기도 상무위원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진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 직계 후배로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통해 국무원 총리에 선임될 리 부총리도 과감한 개혁을 언급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역시 중도 보수로 꼽힌다. 허난(河南)성 성장 재직 시절 매혈 및 수혈로 인한 대규모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 감염 사고를 미온적으로 처리하는 등 개혁과는 무관한 내부 정치가란 평을 받아 왔다. 다른 상무위원 후보들도 여러 계파에 발을 두루 걸치고 있어 개혁보다는 기득권층을 대변할 가능성이 높다. 국회의장 격인 전인대 상무위원장으로 유력한 장더장(張德江) 부총리는 상하이방(상하이 기반 정치세력)을 대표하는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과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 자제 그룹) 보스인 쩡칭훙(曾慶紅) 전 부주석의 고른 지지를 받고 있다. 광둥성 당서기 재직 시절 시 부주석의 아버지인 시중쉰(習仲勛) 전 부총리를 깍듯이 모신 인연으로 시 부주석과도 가깝다. 권력 서열 4위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으로 거론되는 위정성(兪正聲) 상하이시 당서기는 태자당과 같은 훙얼다이(紅二代·혁명 2세대) 출신으로 상하이방이기도 하다. 2007년 시 부주석에 이어 상하이 당서기에 선임되자 ‘시진핑을 배우자’고 소리 높여 외치는 등 정치 감각도 탁월하다. 류윈산(劉雲山) 중앙선전부장은 공청단 출신이지만 장 전 주석의 사람으로 분류된다. 장가오리(張高麗) 톈진(天津)시 당서기는 15년간 석유업계에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 국유 석유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할 인물로 꼽힌다.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로 거론되는 왕치산(王岐山) 부총리도 보수파 원로인 장인 야오이린(姚依林) 전 부총리의 영향을 받아 중도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다. 홍콩 명보는 12일 이들 7인 모두 ‘중도 보수’ 색채가 강하다는 점을 근거로 “시진핑 1기인 향후 5년 동안 중국에서 큰 폭의 개혁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시 부주석을 비롯해 리 부총리, 장 부총리, 왕 부총리 등 5세대 지도부 대부분이 문화대혁명 당시 농촌으로 하방돼 노동을 하는 등 민중들의 고된 삶을 직접 체험했다는 점에서 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혁을 외면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미국의 대표적 ‘중국통’인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은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통해 탄생할 5세대 지도부는 중국의 혼란기를 몸소 경험했으며 이로 인해 그들은 각종 도전에 더욱 강하게 맞설 것”이라며 5세대 지도부에 대한 기대감을 밝혔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전문가가 본 시진핑 시대의 대미전략

    中전문가가 본 시진핑 시대의 대미전략

    타오원자오 연구소장 “조화와 경쟁, 윈윈할 것” →시진핑 시대 대미 전략에 대한 전망은. -시 부주석이 지난 2월 미국 방문 때 이야기한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이다.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의 3원칙은 ▲화해공처(和諧共處) ▲양성경쟁(良性競爭) ▲호리공영(互利共?)이다. 즉 조화롭게 지내고 선의의 경쟁을 펴면서 서로 윈윈하는 것이다. 물론 아직은 중국의 장밋빛 희망 사항이다. 신형 대국 관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양측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미국의 ‘중국 봉쇄’ 정책이 오바마 2기에도 이어지고 있다고 보는가. -경쟁과 협력 모두 공존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봤을 때 경쟁보다는 협력이 양국 관계의 주류다. →중국의 굴기가 계속되면 양국 간 충돌 가능성이 커지는데. -그런 생각은 중국의 굴기가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주도적 지위에 도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그래서 내놓은 해법이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이다. 신형 대국 관계가 실현될 때 비로소 양국의 관계가 세계 평화에 도움이 된다. →미국과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및 남중국해 갈등을 어떻게 조정할 것으로 보는가. -미국의 개입으로 중·미 간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 더이상 개입하지 않길 바란다. 중국이 관련 국가들과 알아서 갈등을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시대의 대미(對美) 전략으로 두 나라가 상호 존중하며 협력 공영하는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을 내세운다. 그러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집권 2기 첫 해외 순방지로 중국의 앞마당 격인 미얀마와 태국, 캄보디아를 방문하기로 하면서 양국 간 패권 경쟁이 가열되는 분위기다. 중국은 오바마 1기 때의 아시아·태평양 중시 정책이 이어지고 있다며 ‘중국 굴기(?起)’를 실현하기 위한 강한 반격을 모색하고 있다. 11일 타오원자오(陶文釗) 중국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장과 스인훙(時殷弘) 중국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미국연구소장의 인터뷰를 통해 시진핑 시대 중국의 미국 전략과 전망을 짚어봤다. 스인훙 연구소장 “잦은 충돌… 새친구도 필요하다” →시진핑 시대 중국의 미국 전략은. -겉으로는 신형 대국 관계의 구축이다. 그러나 신형 대국 관계 구축은 어디까지나 중국의 희망 사항이다. 중국 정부가 그렇게 순진하지도 않다. 당연히 다른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를 해야 한다. →다른 가능성이란. -신형 대국 관계라는 게 그렇게 낙관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을 양측 모두 잘 안다. 외교·경제적 측면에서 계속 충돌하고 있지 않은가. 오바마가 2기 첫 해외 방문지를 아시아 3국으로 정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3국 방문을 어떻게 보는가.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중시 전략은 외교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중국은 (미국의 봉쇄가 이어지고 있는) 이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옛 친구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새 친구를 만들어야 한다. →중국의 당면 과제는. -(주변 국가들과 겪고 있는) 일시적 불안정성에 대해 너무 과도한 반응을 보여서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너무 담담하게 대응해서도 안 된다. 자칫 아시아에서 중국의 외교적 영향력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법은. -미국은 중국을 겨냥해 아시아에서 ‘친구 경쟁’(편 끌어들이기)을 하고 있다. 중국의 전략은 주변국과의 외교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중국은 미국과 아시아에서 공정하게 친구 만들기 경쟁을 펴야 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중앙위원 후보 확정… 절반 물갈이 예고

    中 중앙위원 후보 확정… 절반 물갈이 예고

    오는 15일 모습을 드러낼 중국의 핵심 권력인 당 중앙 정치국 위원(25명·정치국 상무위원 7인 포함)을 선출할 18기 중앙위원회 구성원 후보자 명단이 확정됐다. 11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18차 전대 주석단은 전날 후진타오(胡錦濤) 총서기 겸 국가주석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고 18기 중앙위원회를 구성할 예비 인선안을 마련했다. 14일까지 7일간 열리는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2270명의 대표위원들은 18기 중앙위원회 위원 200여명을 선출한다. 이어 이들 중앙위원들은 15일 열리는 1차 회의인 18기 1중 전회(18기 중앙위원회 1차 회의)에서 중국의 집단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7인)을 포함한 정치국 위원 25인을 뽑는다. 중앙위원들은 공산당 총서기, 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 당·정 핵심 부서의 부장(장관), 성·직할시·자치구의 1인자인 당서기, 핵심 국영기업의 총재 등을 맡게 된다는 점에서 중국의 핵심 권력 집단으로 불린다. 중앙위원회 구성의 경우 ‘차액(差額)선거’(정원보다 많은 후보를 내서 일부를 탈락시키는 선거)로 이뤄지는 만큼 확정된 예비 인선안 가운데 일부는 떨어진다. 차액비율(탈락자 비율)은 16차가 5%, 17차가 8% 수준이었고 이번 18차는 최소 15% 이상으로 커지는 등 매해 확대되는 추세다. 18기 중앙위원 선거에서는 기존 중앙위원 가운데 절반 이상이 물갈이될 것으로 보인다. 후 총서기와 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상무위원장,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를 비롯한 현 최고 지도부를 포함해 중앙위원 다수가 정년 규정에 따라 물러나고 차세대 인물들이 그 자리를 채우게 된다. 18기 중앙위원 신규 진입자는 대부분 17기 중앙후보위원 가운데서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리잔수(栗戰書) 당 중앙판공청 주임, 왕광야(王光亞) 홍콩·마카오 주재 연락판공실 주임, 궈수칭(郭樹淸) 증권감독위 주석, 샹쥔보(項俊波) 보험감독관리위 주석, 왕안순(王安順) 베이징 시장, 천취안궈(陳全國) 티베트자치구 당 서기, 리훙중(李鴻忠) 후베이성 당 서기, 주샤오단(朱小丹) 광둥성장 등이 유력한 신규 중앙위원 후보들로 거론된다. 비록 현재 17기 중앙후보위원은 아니지만 자오커즈(趙克志) 구이저우성 당 서기, 장딩즈(蔣定之) 하이난성 성장, 바이마츠린(白瑪赤林) 티베트자치구 주석 등의 중앙위원 진출도 유력시된다. 한편 후 주석 계열의 저우창(周强) 후난(湖南)성 당서기가 정치국 위원 진입에 실패하는 대신 최고인민법원장으로 안배될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시진핑, 서방 민주주의 배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이 자신의 정치 노선에서 서방 민주주의 체제를 배격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필두로 하는 4세대 지도부 대부분이 서방 민주주의 배격을 주장해왔듯 시 부주석 역시 이 같은 입장을 계승할 것임을 천명한 것이다.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11일 “후 주석이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식에서 낭독한 정치보고에서 ‘중국은 폐쇄되고 경색된 옛길로 가지 않되 깃발을 바꿔 달고 사악한 길로도 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은 중국이 정치체제 개혁에 있어 서방의 정치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전문가들은 앞서 시 부주석이 지난 8일 상하이 대표단 토론회에서 “이번 18차 전대 정치보고는 우리가 앞으로 어떤 기치를 들고 어떤 길을 갈 것인지에 대한 확실한 노선을 제시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시 부주석 자신도 후 주석이 시사한 ‘서방 민주주의 체제 배격’ 정치 노선을 계승할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민망도 이날 해설 기사에서 ‘폐쇄되고 경색된 옛길’이란 중국이 개혁·개방 이전에 도입했던 소비에트식 공산주의를, ‘사악한 길’이란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의 정치 체제를 말한다고 설명했다. 인민일보는 한 발 더 나아가 “정치체제는 (국가의) 안위와 존망에 연결돼 있고, 추호도 경거망동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서방식 3권 분립제, 양원제 도입 등과 같은 ‘과도한’ 기대를 차단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언론보도서 빠진 원자바오… ‘왕따설’

    권력교체가 이뤄지는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의 관영 언론들이 원자바오(溫家寶) 당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국무원 총리의 전대 동정을 늦장 보도해 공산당 내부 권력투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9일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등 관영언론들은 일제히 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들의 담화를 소개했으나 유독 원 총리만 제외시켰다. 전날 전대 개막식에서 정치보고를 발표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제외한 나머지 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들은 모두 같은 날 오후 각자 소속된 지역의 대표단 분임 토론에 참석했고, 관련 담화 내용은 당일 저녁 전국 뉴스 프로그램인 신문연보와 9일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지면 등 조간 신문에서 각각 상세히 소개됐으나 원 총리만 이례적으로 빠진 것이다. 원 총리의 담화는 하루 늦은 9일 오후 4시쯤에야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보도됐다. 중국에서 주요 지도자의 보도 누락, 지연 등은 비정상적인 실각이나 퇴진을 암시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표적인 우파 인물인 원 총리만 이례적으로 ‘왕따’를 당한 것은 중국이 권력교체기를 맞아 당내 노선 논쟁과 권력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방증으로 보고 있다. 원 총리는 9명의 상무위원 가운데 유일하게 서방의 보편가치를 인정하는 등 ‘튀는’ 언행으로 배척을 당해 왔으며 최근 일가의 ‘비밀 재산’ 폭로 기사도 좌파의 공격이란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일각에서는 원 총리에 대한 보도 누락은 당의 단합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전대에서 정치체제 개혁과 관련한 민감한 발언을 쏟아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원 총리는 전날에도 “공산당과 국가의 영도(지도) 제도를 개혁하고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한편 법치를 실현해야 한다.”며 “이 같은 임무는 매우 중요하고 절박한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시진핑-리커창 극과극 미래 비전

    [中 시진핑시대] 시진핑-리커창 극과극 미래 비전

    중국 5세대 지도부의 핵심 2인, 시진핑(習近平) 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부총리는 ‘태생’부터 완전히 상반된다. 시 부주석은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 리 부총리는 총리를 예약해 놓고 있다. 5세대 지도부를 ‘시·리 체제’로 부르는 이유다. 업무스타일까지 180도 다른 두 사람은 양대 계파인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 자제 그룹)과 공청단(공산주의청년단)을 대표하고 있다. 계파 이익이 우선한다면 불협화음은 불가피해진다. 벌써 그런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시진핑 부주석은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첫날인 지난 8일 자신이 개혁·개방을 완수할 ‘덩샤오핑(鄧小平)의 후계자’란 점을 부각시켰다. 상하이 대표들과의 토론회에서 그는 덩샤오핑이 국가발전의 키워드로 제시했던 ‘중국특색 사회주의’, ‘샤오캉(小康·먹고살 만한)사회’, ‘개혁·개방’ 등을 중점 강조한 반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과학발전관’은 언급하지 않았다. 후 주석의 뒤를 이어 중국의 1인자가 될 시 부주석이 전임자의 통치철학을 외면한 셈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시 부주석이 덩샤오핑의 적자임을 강조하면서 벌써부터 후 주석과의 차별화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태자당 대표주자인 시 부주석은 ‘홍색 엘리트’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분배를 중시하는 후 주석 등 공청단 계열과는 달리 태자당과 상하이방의 정치적 기반인 동부연안 중심의 성장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인과 중산층이 그를 지지한다. 때문에 일각에선 리 부총리와의 ‘원초적 갈등’이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 부주석이 덩샤오핑을 외치던 시간, 리 부총리는 산둥(山東)성 대표들과의 토론회에서 후 주석의 ‘과학발전관’ 계승을 강조했다. 자신이 후 주석에 이어 공청단을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점을 새삼 상기시킨 것이다. 5세대 지도부에서 공청단 지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리 부총리는 “과학발전관은 당과 국가사업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관철돼야 할 핵심으로,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강령이다.”라고 후 주석의 과학발전관을 치켜세웠다. 과학발전관은 덩샤오핑과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등의 성장 일변도 정책과 달리 분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리 부총리 역시 농촌 출신 도시 일용직 노동자인 농민공 문제 해결, 낙후된 서부개발 등에 역점을 둬 왔다. 태자당과 함께 권력을 양분할 공청단 계열의 차기 수장이자 실세 총리를 예약해 놓은 리 부총리가 권력교체를 앞두고 후 주석의 과학발전관을 거론한 것은 공청단의 ‘힘’을 다시 한번 과시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中 시진핑시대] “시진핑 권력승계 둘러싼 中의 정치암투… 뿌리째 끝장내는 잔혹성 더해져 진행중”

    [中 시진핑시대] “시진핑 권력승계 둘러싼 中의 정치암투… 뿌리째 끝장내는 잔혹성 더해져 진행중”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오는 15일 18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 이어 열리는 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18기 1중전회)를 통해 일인자인 총서기로 등극하더라도 그 위상이 확고하다고 장담할 수 없다. 시 부주석의 권력승계를 둘러싸고 건국 이후 최대의 권력투쟁이 벌어졌고, 그 수법은 더욱 잔혹해졌다. 그리고 장막에 쌓인 권력암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우파 역사학자인 장리판(章立凡)은 시 부주석의 권력승계를 둘러싸고 치열한 암투가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그가 전하는, 장막에 가려진 중국 권력교체의 이면은 사뭇 충격적이다. 장리판과의 인터뷰는 18차 전대 개막 전날인 지난 7일 베이징 중심가인 총원먼(崇文門)의 한 타이완 식당에서 이뤄졌다. →시진핑 권력승계 과정을 평가한다면. -총칼만 안 들었을 뿐 신중국 건립 이후 최대 권력투쟁이다. 시작은 결국 솽카이(雙開·당적과 공직 동시 박탈) 처리된 보시라이(薄熙來)의 권력 찬탈 기도에서 비롯됐다. 과거 권력투쟁 사례들과 비교할 때 퇴로와 체면을 남겨주지 않고 뿌리째 뽑아내 끝장을 보는 잔혹성이 중국 권력투쟁의 새로운 추세로 자리잡고 있다. →암투가 어떤 식으로 진행됐나. -시 부주석이 지난 9월 2주간 모습을 감춘 것은 권력투쟁 과정의 ‘시위’ 성격이었다. 어떤 혼란이 생기는지 보여줌으로써 일련의 사건을 처리하는 데 있어 자신의 지분을 강조한 것이다. 권력암투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보시라이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면서 노골화됐다. 한쪽에선 부인 구카이라이(谷開來)와 단절시킴으로써 보시라이를 구하려 했지만(※좌파의 시도로 해석됨), 다른 쪽에선 보시라이의 죄상을 공개해 그의 일가를 멸문(滅門)시켰다(※후진타오, 원자바오 등 우파의 공세가 이어졌다는 뜻). 이 과정에서 시각장애 인권운동가 천광청(陳光誠)이 산둥(山東)성에서 탈출, 사법계통을 관장하는 저우융캉(周永康) 정법위 서기에게 치명상을 남겼다(※우파들이 보시라이의 후원자인 저우융캉을 공격하기 위해 천광청 탈출을 도왔다는 뜻). 공격과 반격은 계속됐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로 촉발된 반일시위에서 마오쩌둥(毛澤東) 지지자들을 대거 동원함으로써 위협감을 줬고, 원 총리의 비밀재산도 폭로했다(※좌파들의 반격). 원 총리는 돌연 ‘선샤인법’(공직자 재산공개법)을 전면 추진할 것 같은 제스처를 취했는데 이는 재산을 공개하려면 다 같이 공개하자는 역공인 셈이다. →시진핑이 권좌에 오를 수 있었던 배경은. -중국에는 마오쩌둥·덩샤오핑(鄧小平)과 같은 절대권력자가 사라지면서 각 파벌의 원로들에 의해 후계자가 합의로 낙점되는 문화가 생겨났다. 시진핑이 첫 사례다. 원로들은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지 않고 후덕하며 말을 잘 듣는 사람을 좋아한다. 혼란을 만들지 않고 (자신들의)이익을 지켜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시진핑은 어떤 색깔을 가졌는지 그동안 드러낸 적이 없고, 동시에 적도 만들지 않았다. →중국의 미래 권력구도는.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의 자제그룹)과 퇀파이(團派·공산주의청년단파)의 양대 구도가 될 것이다. 상하이방(상하이지역 기반 정치집단)의 수장 장쩌민(江澤民)도 엄밀히 말하면 태자당과 같은 훙얼다이(紅二代·혁명2세대)이고, 상하이방은 태자당을 통해 그 권력을 영속시키기 때문에 양대 구도가 형성된다. 시진핑은 태자당 위주의 권력을 구축하려 들 것이고, 후진타오의 계승자인 리커창(李克强)은 공청단이 세력을 잡기를 바란다. 중요한 변수는 파벌이 아닌 이익이 사람을 움직인다는 데 있다. 류윈산(劉雲山) 중앙조직부장은 공청단 출신이지만 장쩌민의 사람이 됐고, 장더장(張德江) 충칭(重慶)시 당서기는 장쩌민 계열이지만 광둥(廣東)성 당서기 시절 시진핑의 아버지 시중쉰(習仲勛)을 극진하게 모셔 시진핑과도 끈끈하다. →시진핑의 앞날은. -중국은 지금 외세 침략이 없다는 점을 빼고 청나라 말기와 꼭 닮았다. 풍랑을 만난 배가 침몰하지 않기 위해 무거운 짐을 내던져야 하듯 시진핑 역시 기득권 세력의 이익 보따리를 도려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집권 초기에는 감세, 사회보장 강화 등 민생을 챙기는 쪽으로 국민들의 불만을 달래겠지만 ‘밑천’이 그리 넉넉하지 않다. 시진핑의 과제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 역사학자 장리판은 공산당 거침없이 비판하는 우파 지식인 장리판(章立凡·62)은 마오쩌둥(毛澤東) 옹호자들이 ‘공공의 적’으로 꼽는 대표적인 우파 지식인이다. 중국 역사학계 대표 주자로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을 지냈다. 건국 후 식량부 부장(장관) 등을 지낸 부친 장나이치(章乃器)는 마오쩌둥 통치 시절인 1957년 우파로 몰려 숙청됐다. 홍콩의 명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중화권 언론을 통해 중국 공산당을 거침 없이 비판해 왔다.
  • [니하오 시진핑] “新간섭주의” 美에 일침… “국제문제 적극 개입” G2 자신감

    [니하오 시진핑] “新간섭주의” 美에 일침… “국제문제 적극 개입” G2 자신감

    ‘주요 2개국(G2)에 걸맞은 힘을 갖추고, 당당히 목소리를 내겠다.’ 8일 중국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개막식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공개한 ‘정치보고’에는 며칠 뒤 공산당 총서기에 선임돼 10년간 중국을 이끌어 나가게 될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의 생각도 담겨 있다. 그 역시 후 주석을 비롯한 4세대 지도부의 일원으로서 정치보고 작성에 참여했고, 그 내용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후 주석의 ‘정치보고’를 철저하게 곱씹어야 할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정치보고는 ‘시진핑 시대’ 중국이 걷게 될 정치, 외교, 국방, 사회, 경제적 노선을 알 수 있는 ‘참고서’ 격이다. 무엇보다도 이번 정치보고의 핵심은 경제 총량에서 G2로 올라선 만큼 이를 바탕으로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 ‘힘’을 과시하면서 새로운 국제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후 주석이 직접 낭독한 ‘정치보고’의 외교 부분은 미국을 향한 선전포고를 연상케 한다. 그는 우선 “후진국들의 실력이 전체적으로 강해져 국제적인 힘의 균형이 세계 평화 수호에 유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자국의 달라진 위상을 강조한 뒤 “그러나 패권주의, 강권정치, 신(新)간섭주의가 대두되고 있다.”며 미국을 겨냥했다. 미국이 인권을 빌미로 중국을 공격하고 있으며, 중국이 주변 국가들과 벌이고 있는 영토분쟁에서 미국이 상대편을 들어 중국을 몰아세우고 있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비난한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은 반드시 국가주권과 발전이익을 수호하고 외부의 어떤 압력에도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4년전 17차 전대 정치보고 당시 “중국은 오로지 평화발전의 길만을 걸을 것이다.”라며 낮은 자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영토분쟁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이익 수호’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이 영토 문제에서 보다 강경한 태도를 견지할 것임을 드러냈다. 대국으로서의 지분도 요구했다. 후 주석은 “중국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국제 문제에 참여할 것”이라면서 “대국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해 전 세계적인 각종 도전에 대응하겠다.”고 선언했다. 신국제질서 구축에 대한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시진핑 시대’ 역시 공산당 일당 독재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서방의 민주제도와는 선을 긋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드러냈다. 다만 법치를 강화하겠다고 언급한 점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후 주석은 “누구도 헌법과 법률을 초월해 특권을 누려선 안 되며 말로 법을 대체하거나, 권력으로 법을 짓누르거나 개인적인 정에 얽매여 법을 어겨서는 안 된다.”며 ‘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치’가 횡행했던 과거를 비판하고, 법치를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실천’이지만 공산당 간부 등 기득권층의 저항을 어떻게 제압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 분야에서는 17차 전대 정치보고 때와 마찬가지로 내수 확대를 강조한 점이 눈에 띈다. 내수를 키워야 성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만큼 기존의 투자와 수출 의존형에서 소비·투자·수출 등 ‘3두마차’를 고루 중시하는 쪽으로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는 지난 10년간의 미미한 성과를 반성한다는 뜻도 있어 보인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위로